브라질 벨렝에서 열리고 있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연간 1조3000억달러 기후대응 재원(NCQG)을 어떻게 조성할 것인가를 놓고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됐다.
COP30에서는 지난해 열린 COP29에서 합의한 기후대응 재원을 '누가 얼마나 부담할 것인지', '기존 재원은 왜 제대로 흘러가지 않았는지', '어떻게 투명하게 집행할 것인지' 등이 협상의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12일(현지시간) 협상장에서 기후대응 재원과 관련된 첫번째 비공식 협의가 열렸고, 이 자리에서 개도국 그룹은 적응 지원의 확대뿐 아니라 집행 방식의 투명성, 실제 취약국으로의 전달 구조개선 등을 강하게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일부 선진국은 구체적인 재원 규모를 논의하기엔 이르다며 속도 조절을 강조했다. 이로 인해 논의 시작부터 의견차가 드러난 상황이다.
이번 논의는 지난해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COP29에서 합의된 기본틀에서 출발한다. COP29에서는 2035년까지 연간 1조3000억달러 규모의 신규 기후대응 재원(NCQG)을 조성하기로 합의했지만, '어떤 방식으로 1조달러를 마련할지', '선진국 외 어떤 국가가 공여국이 될지', '보조금과 대출 비중은 어떻게 할지' 등을 정하지 않았다. 특히 선진국 분담금 3000억달러를 제외한 나머지 자금조달 방식이 공란이어서 개도국들은 "약속만 있고 이행은 없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기후대응 재원이 다시 주목받는 이유는 기후위기의 피해가 이미 현실로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폭우, 폭염, 가뭄, 산불 등 이상기후가 잇따르며 취약 지역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개발도상국 대표단은 "감축도 중요하지만, 이미 발생하고 있는 피해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기후대응 재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COP30에서 기후대응 재원이 새로운 재원 목표(NCQG) 협상과 직접 연결되는 만큼 본격적인 줄다리기가 시작된 상태라고 평가하고 있다.
기후대응 재원관련 회의가 막 시작되면서 협상장 밖에는 재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요구가 빗발쳤다. 일부 시민단체와 원주민 단체는 벨렝 컨벤션센터 주변에서 집회를 열고 "기후위기의 최전선에 있는 지역에 실질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각국 정부의 결단을 촉구했다. 현지 소셜서비스(SNS)에는 '기후정의'와 '적응지원' 관련 메시지가 빠르게 공유되며 관심이 확산됐다.
아울러 개발도상국 대표단들은 각 세션을 통해 "기존 약속된 기후재원조차 충분히 이행되지 않았다"며 선진국들의 책임있는 재정 확대를 요구하고 있어, COP30 최종 문안에 기후대응 재원과 관련해 어떤 합의문구가 담길지 주목된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