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치 100배"...일본, 수은 범벅 돌고래고기 버젓이 판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4-19 08:10:02
  • -
  • +
  • 인쇄

일본에서 시판되고 있는 돌고래고기에서 기준치의 100배에 이르는 수은이 검출되면서 판매중단을 외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8일(현지시간) 호주 돌고래보호단체 '액션포돌핀스'(Action for Dolphins;AFD)는 일본 중부 타이지에 수은에 오염된 돌고래고기 판매 중단을 촉구하는 형사고소장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AFD는 지난해 10월 일본 포털웹사이트 야후재팬에서 큰코돌고래 내장 2팩을 구입해 검사한 결과, 각각의 샘플에서 정부규제기준을 97.5배, 80배를 초과한 수은이 검출됐다고 했다.

해당 제품의 수은 농도는 39ppm, 메틸수은 농도는 1.58ppm으로, 권장수치를 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일본 보건부는 수산물의 수은 함량 안전기준을 0.4ppm 미만, 메틸수은은 0.3ppm 미만으로 규정하고 있다.

실험을 진행한 전문가들은 돌고래고기를 정기적으로 섭취하면 소비자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나 테이트(Hanna Tait) AFD 대표는 이번 검사결과와 고소를 계기로 야후재팬의 웹사이트뿐만 아니라 슈퍼마켓과 식당에서도 돌고래고기 판매가 중단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야후재팬을 통해 판매되는 고래고기에서 수은이 검출됐다는 보고가 10년 전부터 있었지만 소비자에게 정보전달이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임산부를 포함해 누구나 고기를 살 수 있다는 문제점을 지적했다.

아울러 그는 "이런 돌고래고기를 판매하는 것은 일본 식품위생법을 위반하는 일임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가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번 고소는 일본 태평양 연안에서 잡힌 고래고기를 야후재팬을 통해 판매하는 고래고기 전문점을 겨냥했다. 도쿄 소재 다카시다카노법률사무소가 AFD를 대신해 고소장을 제출했다.

야후재팬은 현재 고래류 제품을 판매 중인 일본 유일의 온라인 소매업체다. 일본 최대 온라인 소매업체 라쿠텐은 국제사법재판소가 일본에 남극해 고래잡이를 즉각 중단하라고 명령을 내리자 2014년 고래와 돌고래 고기 판매를 중단했다.

AFD가 2020년과 2021년에 실시한 실험에서는 돌고래고기의 수은 함량이 규제한도의 12~25배였다. 단체는 2021년도에도 고래·돌고래고기 판매에 대해 형사고발에 나섰지만 당시 검찰은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한편 고래고기를 정기 섭취하는 사람들을 연구한 바에 따르면, 수은 등 고래에 축적된 오염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파킨슨병, 고혈압, 동맥경화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태아발달 및 신경발달, 기억력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KB국민은행, 서울숲에서 어린이 꿀벌 체험 프로그램 진행

KB국민은행은 생태계 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자 서울숲 꿀벌정원에서 어린이 꿀벌체험 '안녕, 꿀벌'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이번 프로그램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기후/환경

+

산불 트라우마 '의사결정' 능력에도 영향..."적절한 결정 못해"

산불 등 기후재해를 겪은 생존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잘 내리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오랜시간 기다리면 더 큰

"한국 2035년까지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어떻게?

우리나라는 국제감축 활용 없이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61% 감축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1일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 글로벌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