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길을 걸어다니는 무인자동차?...현대차, 변신형 이동로봇 '타이거' 공개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2-16 16:41:32
  • -
  • +
  • 인쇄
현대차 '뉴 호라이즌스 스튜디오'서 개발...첫 모델 'X-1' 공개
장애물도 상관없다...과학탐사, 응급구조, 오지배송에 적합
▲현대차그룹, 걸어다니는 무인 모빌리티 '타이거'(TIGER) 최초 공개 (사진=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가 4개의 다리와 바퀴로 울퉁불퉁한 길도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는 로봇을 선보였다.

이 로봇의 이름은 '타이거'(Transforming Intelligent Ground Excursion Robot, TIGER). 타이거는 변신하는 지능형 지상 이동로봇으로, 현대차그룹 산하의 미래 모빌리티 담당조직인 '뉴 호라이즌스 스튜디오'(New Horizons Studio)에서 개발했다. 2019년 CES에서 처음 공개된 이 로봇은 걸어다니는 모빌리티 '엘리베이트'(Elevate)와 유사한 모듈형 플랫폼 구조다. 

10일 공개된 타이거의 첫 번째 콘셉트 모델은 'X-1'으로 명명됐다. 'X'는 '실험용'(Experimental)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타이거의 길이는 약 80cm, 폭은 약 40cm, 무게는 약 12kg다. 4개의 다리와 바퀴가 달린 소형 무인 모빌리티여서, 차량도 갈 수 없는 험난한 지형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현대차는 '타이거' 용도를 △과학탐사 및 연구 △응급구조시 긴급 보급품 수송 △오지로의 상품배송으로 생각하고 있다. 대칭형 디자인이어서 전진과 후진뿐 아니라 좌우로 방향을 쉽게 전환할 수 있다. 장애물이 있거나 바퀴로 갈 수 없는 지형이면 로봇다리로 이동한다. 평탄한 지형에서는 4륜구동 차량으로 주행한다.

▲'타이거'는 차체에 화물 적재실이 별도로 있어 물품을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다. (자료=현대자동차)


차체 내부는 화물 적재실이 별도로 있다. 로봇다리로 항상 수평을 유지하도록 설계돼 있기 때문에 험난한 지형이나 극지 등에서도 물품을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다.

타이거는 오픈 이노베이션 방식으로 개발했다. 참여기업은 '오토데스크'와 '선드버그-페라'. 오토데스크와는 인공지능(AI) 기반의 '제너레이티브 디자인'(Generative Design) 기술을 개발했다. 즉 타이거의 다리, 휠, 섀시, 타이어까지 가볍고 견고한 3D 프린팅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설계부문에서 협업한 것이다. 선드버그-페라와는 외부 스타일링, 차체, 섀시, 다리 부품 설계 및 소프트웨어 개발 부문에서 협업했다.

현대차그룹은 앞으로도 뉴 호라이즌스 스튜디오을 중심으로 전세계 혁신기업들과 협력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의 새로운 가능성을 다각도로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차그룹 뉴 호라이즌스 스튜디오의 존 서(John Suh) 상무는 "타이거와 같은 미래 모빌리티와 그 토대가 되는 신기술은 우리의 상상력이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한다"며 "뉴 호라이즌스 스튜디오에서는 차량의 설계와 제조 방식 그리고 미래 모빌리티의 개념을 재정립할 수 있는 방안을 끊임없이 찾아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 '타이거'는 4개의 로봇다리로 불규칙한 지형에서도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다. (자료=현대자동차)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패션업계 그린워싱 잡는다…공정위, 자라·미쏘·스파오 등 제재

패션업체들이 자사 제품에 친환경적인 표현을 쓰며 거짓 광고를 하는 이른바 '그린워싱' 혐의로 잇따라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받았다.공정위는 표

국내 제조사 62.7% "탄소중립 정책은 규제"로 인식

국내 제조업 3곳 중 2곳은 현행 탄소중립 정책을 규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경제인협회에서 매출액 기준 1000대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우리은행, 공공기관과 손잡고 '자립준비청년' 지원한다

우리은행이 공공기관과 자립준비청년 지원에 나선다.우리은행이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자활복지개발원과 함께 '취약청년의 자립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코오롱ENP,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

코오롱ENP가 인천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하고 해양 생태계 보호 활동에 나섰다. 코오롱ENP는 14일 임직원 40명과 함께 첫 공식 반려해변

'우유·주스팩 수거해요'...카카오·환경부 '종이팩 회수서비스' 나선다

일반 종이로 재활용하기 힘든 우유나 주스팩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카카오가 손잡고 종이팩 회수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한다.카카오

[최남수의 ESG풍향계]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통합 논의' 필요

ESG 환경이슈 가운데 가장 중요도가 높은 사안을 고르라면 역시 '기후변화'다. 지구 기온의 상승폭이 저지선인 1.5℃를 이미 돌파했을 정도로 지구 온난

기후/환경

+

남성 온실가스 배출량 여성보다 26% 많다...이유는?

여성보다 남성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요인이 자동차 운전과 육류 섭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 온딘 버

작년 우주쓰레기 3000개 발생…매일 3개씩 지구로 추락

지난해 우주에서 발생한 인공위성 잔해물이나 발사체 파편 등 '우주쓰레기'가 3000개 이상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우주쓰레기 가운데 하루평균 3개

[새 정부에게 바란다] "화석연료 퇴출...확실한 로드맵 필요"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훼손된 산림 회복속도 길어진다..."기온상승과 수분부족탓"

나무가 훼손된 산림이 기온상승과 강수량 부족 등으로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주

탄소만 줄이는 온실가스 정책...'탄소고착' 현상 초래한다

영국 정부의 탈탄소화 정책이 오히려 새로운 기술혁신을 제한하고, 장기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아랍에미

곤충도 못 버티는 '열대야'...도시 꿀벌 65% 줄었다

꿀벌을 비롯한 곤충도 열대야를 견디지 못하고 있다.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JMU) 연구팀은 독일 바이에른주 전역 179곳에서 곤충 현황을 조사해보니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