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ZARA 등 유명브랜드 '친환경 제품'...상당수 '거짓말'"

김현호 기자 / 기사승인 : 2021-07-08 15:51:22
  • -
  • +
  • 인쇄
CMF "패션업계 그린워싱 만연"
업계 친환경 주장 중 60% 거짓말

'아소스'(ASOS)·'에이치앤엠'(H&M) 등 국내에도 익숙한 유명 패션 브랜드들이 생산하는 친환경 제품 대부분이 '그린워싱'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친환경 제품 중 60%가 근거가 없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친환경 캠페인 기구 '체인징 마켓 파운데이션'(Changing Markets Foundation, CMF)이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명품 브랜드를 포함한 세계 유명 패션 브랜드에서 현재 그린워싱이 만연하다"고 지적했다.

패션업계에서 사용되는 섬유 중 합성 섬유는 69%에 달한다. 2030년까지는 75%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 중 85%는 화석연료로 생산되는 폴리에스테르다. 이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석유의 양은 전세계 석유 소비의 1.35%에 달하며, 이는 스페인의 연간 석유 소비량을 초과하는 수치다.

합성 섬유는 생산부터 폐기까지 매립, 소각, 온실가스 배출, 미세 플라스틱 배출 등 중대한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많은 패션 브랜드들은 친환경 제품을 출시하는 등 의류 산업 전반에 걸쳐 지속가능성을 위한 움직임을 가속화 하고 있다.

하지만 CMF는 보고서를 통해 패션 브랜드들의 이같은 움직임은 그린워싱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ASOS는 현재 지속가능 패션을 위해 '리스폰서블 제품'(Responsible Edit)이라는 친환경 의류를 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보고서에 따르면 이는 친환경 제품이 아니다.

CMF는 "ASOS는 자사의 친환경 상품이 단일 소재이기 때문에 재활용이 가능하다고 홍보한다"며 "그러나 실제로 나일론 54%와 폴리에스테르 46%가 혼합돼 있어 현재 기술로는 재활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ASOS의 친환경 제품 의류에는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물이 단 9%밖에 포함되지 않았다.

친환경이라고 주장하는 의류제품 중 89%는 영국 공정거래위원회(UK CMA)의 가이드라인을 위반한 것으로 드러났다.

H&M은 CMA의 가이드라인을 96% 위반했다. 분석한 제품들은 65%가 합성물질이었고 54%가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있었다. 심지어 H&M이 지속가능 패션을 표방하며 출시한 '컨셔스 컬렉션'(Conscious Collection)의 경우 72%가 합성 성분이었다.

CMF는 "친환경 제품에 대한 자격을 얻으려면 친환경 면과 같은 지속가능한 재료가 50% 이상 포함돼야 한다"면서 "그러나 H&M은 이를 인정할만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결국 소비자는 친환경 제품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조지 하딩롤 CMF 고문은 "친환경 제품 지침은 정확해야 하고 소비자들에게 관련 정보를 숨기지 않아야 한다"면서 "조사결과 수많은 패션 브랜드들은 친환경 제품이라며 거짓말하고 있었다"고 꼬집었다.

이밖에 '부후'(boohoo)는 합성성분을 85% 사용했고, '월마트'는 74%, '유니클로'는 79%, '포에버21'은 78%를 사용한 것으로 이번 조사에서 드러났다.

이같은 지적에 ASOS 대변인은 "합성 섬유에서 천연섬유로 한꺼번에 바꾸면 과도한 물 사용으로 오히려 토지 황폐화같은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우리는 합성 물질 사용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H&M 대변인은 "우리는 지속 가능성을 신뢰할 수 있는 제3자 인증체계를 기반으로 제품을 생산했기 때문에 전혀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경기도, 일회용품 없는 '특화지구' 6곳으로 확대

경기도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전국 최초로 운영하는 '일회용품 없는 경기특화지구'를 5곳에서 6곳으로 확대한다고 24일 밝혔다. 양평 양수리전통시장

LG화학, 한샘과 손잡고 세계 최초 친환경 소재 주방가구 생산

LG화학이 한샘과 손잡고 친환경 주방가구 소재 시장 공략에 나선다. LG화학은 지난 21일 한샘 송파점에서 한샘과 '친환경 가구용 성형자재 개발 업무협

프랑스, 내년부터 화장품·섬유에 'PFAS' 사용금지

프랑스가 내년부터 화장품과 섬유에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리는 과불화화합물(PFAS) 사용이 금지된다.프랑스의 일간 르피가로에 따르면 20일(현지시간)

경기도, 전국 최초로 '기후테크 산업육성 조례' 제정

기후테크의 정의와 사업 육성 지원에 대한 제도적 근거를 담은 '기후테크 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가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경기도에서

LG화학, 여수공장과 中텐진 '폐기물 매립제로' 국제인증 획득

LG화학이 폐기물을 매립하지 않고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국제인증을 한국과 중국 사업장에서 동시에 받았다.LG화학은 국내 여수 화치공장과 중국 톈진

SK케미칼, CDP 기후변화 분야 평가 'A등급' 획득

SK케미칼이 글로벌 평가기관으로부터 ESG경영 성과를 인정받았다. SK케미칼은 최근 국제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인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로부터 기

기후/환경

+

'2026 월드컵' 축구선수들 전례없는 기후스트레스 겪는다...왜?

오는 2026년에 치뤄지는 'FIFA 월드컵'에 참가하는 축구선수들은 높은 온도와 습도에 노출돼 건강에 큰 위협을 받을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20일(현

"석유 시추금지 풀지마"...환경단체들, 美트럼프 대상 소송제기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환경단체로부터 2건의 소송을 당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를 대상으로 제기한 첫번째 소송이다.19일(현지시간) 그린피스와 생물다

탄소감축의 획기적 방법?...CO2가 재생연료 '메탄올'로 변신

온실가스의 주범 이산화탄소(CO2)를 재생연료로 변신시킬 수 있는 촉매가 미국에서 개발됐다.왕해량 미국 예일대학 화학과 박사가 이끈 연구팀은 18일(

2000년 이후 해수면 1.8cm 상승..."빙하 6.5억톤 녹은탓"

2000년 이후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이 약 1.8cm 상승했고, 앞으로 녹는 속도가 더 가속화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19일(현지시간) 영국 스코틀랜드

'학교 탄소배출 줄이자'...본지 참여 '넷제로앳스쿨' 대구 20개교 진행

기후변화 뉴스를 중점 보도하고 있는 뉴스트리가 학교를 대상으로 탄소를 감축하는 '넷제로앳스쿨' 프로젝트의 '넷제로 얼라이언스'로 참여한다.'넷제

美 환경규제 '뒷걸음'?…트럼프 기후내각 친환경 반대자들 대거 포진

화석연료 옹호자부터 빅 오일 기업가까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기 내각은 '드릴, 베이비 드릴'이라는 선거 공약을 이행하기 위한 인선으로 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