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철강' 도입한 볼보, 이번엔 2030년까지 '천연가죽' 퇴출선언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9-24 11:35:38
  • -
  • +
  • 인쇄
가죽 대신 친환경 신소재 '노르디코' 도입
2025년까지 부품·소재 25% 친환경 전환
▲친환경 소재가 사용된 볼보 C40 모델 차량 내부 (사진=볼보)


스웨덴의 볼보자동차가 2030년까지 자사 자동차 내장재에서 천연가죽을 퇴출시키기로 했다.

23일(현지시간) 볼보는 새로 출시하는 전기자동차 'C40 리차지'(Recharge)를 시작으로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전제품 라인업에 동물가죽 대신 신소재 '노르디코'(Nordico)를 차량 실내마감재로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노르디코는 페트(PET)병을 재활용한 소재를 비롯해 스웨덴과 핀란드의 지속가능한 숲에서 얻은 바이오 기반 소재, 와인 산업에서 재활용된 코르크 등을 활용한 친환경 소재를 말한다. 다만 원료가 추적가능하고 동물복지에 대한 책임감을 인증받은 업체로부터 공급받은 양모에 한해 울혼방 소재는 계속 사용할 예정이다.

이어 볼보는 2025년까지 소재와 부품의 4분의 1을 재활용이나 바이오기반으로 대체하겠다고 밝혔다. 볼보는 지난달 세계 최초로 화석연료 대신 수소로 생산한 '그린철강'으로 제작한 트럭과 부품을 연내 선보이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볼보의 천연가죽 퇴출 움직임은 최근 환경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궤를 같이 한다. 보그 비즈니스 인덱스에 따르면 최근 명품 소비자의 3분의 2가 브랜드의 환경 정책을 중요한 요소로 고려한다. 벌목을 동반한 가축 사육은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전체 온실가스 배출의 1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볼보는 가축 사육으로부터 발생하는 부산물을 공정에 적극 도입할 예정이다. 해당 부산물은 플라스틱, 고무, 윤활유, 접착제 등 생산공정을 돕는 화학제품으로 쓰거나 제품 자체의 소재로 활용할 계획이다.

볼보의 글로벌 지속가능성 부문 책임자 스튜어트 템플러(Stuart Templar)는 "진취적인 자동차 제조사가 된다는 것은 곧 이산화탄소 배출만이 아니라 지속가능성 전반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의미"라며 "우리는 순수 전기자동차 내부 인테리어에서 가죽을 퇴출하면서 관련 이슈에 있어 한발자국 더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코오롱ENP,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

코오롱ENP가 인천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하고 해양 생태계 보호 활동에 나섰다. 코오롱ENP는 14일 임직원 40명과 함께 첫 공식 반려해변

'우유·주스팩 수거해요'...카카오·환경부 '종이팩 회수서비스' 나선다

일반 종이로 재활용하기 힘든 우유나 주스팩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카카오가 손잡고 종이팩 회수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한다.카카오

[최남수의 ESG풍향계]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통합 논의' 필요

ESG 환경이슈 가운데 가장 중요도가 높은 사안을 고르라면 역시 '기후변화'다. 지구 기온의 상승폭이 저지선인 1.5℃를 이미 돌파했을 정도로 지구 온난

우리은행, 대한적십자사와 '기부신탁' 업무협약 체결

우리은행이 대한적십자사에 적십자회비를 전달하고 기부문화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우리은행이 성숙한 기부문화 확산을 위해 대한적십자

KB국민은행, 새내기 장애대학생 135명에게 노트북PC 지원

KB국민은행이 새내기 장애대학생 135명에게 최신형 노트북과 학습보조기구를 지원했다고 14일 밝혔다.KB국민은행과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지금까지 2

하나은행, 지역 상생 '대전 D-도약펀드' 1000억원 출자

하나은행이 지역 상생을 위해 '대전 D-도약펀드'에 1000억원을 출자한다. 하나은행이 대전광역시, 대전투자금융과 함께 지역 스타트업 혁신성장 지원 및

기후/환경

+

[새 정부에게 바란다] "화석연료 퇴출...확실한 로드맵 필요"

"새 정부는 화석연료 퇴출에 대한 확실한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김주진 기후솔루션 대표는 새 정부가 기후정책으로 첫번째 해야 할 일로 '화석연료

훼손된 산림 회복속도 길어진다..."기온상승과 수분부족탓"

나무가 훼손된 산림이 기온상승과 강수량 부족 등으로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주

탄소만 줄이는 온실가스 정책...'탄소고착' 현상 초래한다

영국 정부의 탈탄소화 정책이 오히려 새로운 기술혁신을 제한하고, 장기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아랍에미

곤충도 못 버티는 '열대야'...도시 꿀벌 65% 줄었다

꿀벌을 비롯한 곤충도 열대야를 견디지 못하고 있다.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JMU) 연구팀은 독일 바이에른주 전역 179곳에서 곤충 현황을 조사해보니

30년간 전세계 해수면 10cm 상승..."상승속도 점점 빨라져"

해수면 상승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9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이 위성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993년 이후 지구의 해수면은 약 10c

'EU 기후목표' 환영했던 오스트리아 입장 돌변...왜?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의 '2040 온실가스 90% 감축'을 가장 먼저 환영했던 오스트리아가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EU 권고안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나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