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간접착제'의 기막힌 변신...재활용 93% 가능한 플라스틱 소재로 재탄생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3-24 12:24:11
  • -
  • +
  • 인쇄
순간접착제 원료를 고분자 화합물로 다시 구현
플라스틱 식기류나 일회용 플라스틱 대체 가능
▲초강력 접착제로 만든 식기류 (사진=보이시주립대학교)


초강력 순간접착제가 플라스틱 그릇이나 생활용품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이 접착제로 만든 플라스틱 용기들은 재활용도 가능해 플라스틱 대체제로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미국 보이시주립대학교 연구팀은 석유에서 뽑아낼 필요도 없고 다른 생활폐기물과 섞여있더라도 원료로 되돌리기 쉬운 초강력 접착제 원료물질로 만든 '폴리에틸 시아노아크릴레이트'(polyethyl cyanoacrylate·PECA)를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초강력 접착제는 미국이 제2차세계대전에 참전한 1942년 코닥사의 연구원 헨리 웨슬리 쿠버가 총기 조준경에 사용할 투명 조준기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생겨났다. 이때 개발된 '에틸 시아노아크릴레이트'(ethyl cyanoacrylate·ECA)는 심하게 끈적거리고 지나치게 쉽게 굳는 바람에 실패한 소재로 여겨졌지만, 6년뒤 접착제로서의 상업성이 재발견되면서 최초의 초강력 순간접착제로 널리 팔리게 됐다.

연구팀은 이점에 착안해 쿠버의 연구를 발전시켰다. 쉽게 굳는 성질은 ECA가 분자길이가 짧은 단량체였기 때문인데, ECA의 분자 길이를 늘려 고분자 화합물인 PECA로 만들어내는 방법을 찾아낸 것이다. 초강력 접착제를 아세톤과 소량의 황산화메틸(DMSO)과 섞으면 ECA처럼 순식간에 굳어 쉽게 부러지지 않고, 접착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성질을 갖추게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PECA를 흔히 '타파웨어'로 알려진 식품 저장용 용기와 같은 재질의 폴리에틸렌 주형틀에 넣으면 주형틀에 들러붙지 않고 그대로 굳게 된다. 굳어진 PECA 덩어리를 미열에 20~30분 가열한 뒤 식히면 더 안정되고 단단한 형질로 바뀌게 된다. 연구팀은 PECA로 플라스틱 그릇이나 식기류를 손쉽게 만들 수 있고, 접착제, 아세톤, DMSO 등 원료들의 값이 매우 저렴하기 때문에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 대체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PECA는 성형성이 높아 다양한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사진=보이시주립대학교)


특히 연구팀은 순환경제 차원에서 폐기물을 배출하는 일을 최소화한 폐쇄형 자원순환망에 가까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초강력 접착제를 이루는 단량체 ECA의 경우 반응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PECA로 만든 제품을 21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하면 ECA가 기화하면서 분리된다. 이렇게 다시 기본 구성 원료인 단량체 ECA로 돌아가 수거되는 재질의 비중은 93%에 달한다.

다만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라마니 나라얀 화학공학과 교수는 "아세톤과 같은 잔여물들이 기화하면서 대기중으로 유출될 수도 있고, 미세플라스틱이 계속해서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게다가 ECA의 주재료인 클로로아세트산과 시안화나트륨 인체의 건강에 안전한 물질이 아닐 뿐더러 환경적으로 해롭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번 연구논문의 주요저자 앨리슨 크리스티 보이시주립대학교 대학원 보조연구원은 "플라스틱을 당장 없애기는 불가능하다"며 "지구상에 플라스틱 제품은 83억톤에 달하고, 이 가운데 79%는 재활용이 불가능해 그대로 매립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특히 석유를 기반으로 하는 폴리스티렌 재질로 이뤄져 분해가 어려운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들이 전체 플라스틱 폐기물의 6%를 차지한다"며 "PECA를 활용하면 일회용 플라스틱이 차지하는 6%만큼이라도 재활용을 통해 줄여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SPC, 야간근로 8시간 제한...新근무제 9월부터 시범운영

SPC그룹이 각 계열사별로 생산직 야간근로를 8시간 이내로 제한하는 새로운 근무제도를 9월부터 시범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SPC그룹은 이재명 대통령

대한항공-아시아나, 폐유니폼으로 만든 파우치 판매수익금 전액 기부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과 함께 업사이클링(Up-cycling·새활용) 보조배터리 파우치를 제작해 판매한 수익금 전액을 포함한 기부금을 사단법인 소

현대백화점그룹, ESG 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 그룹 내 계열사의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체계적으로 통합관

우리은행 'K-택소노미 AI' 도입으로 녹색금융 지원 강화

우리은행은 시중은행 최초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여신 심사에 활용하는 'K-택소노미 전문상담 AI'를 도입했다고 25일 밝혔다. 'K-택소노미'는 지난 202

金총리 "태양광·풍력 대폭 확대…RE100 전용 산업단지 조성할 것"

김민석 국무총리가 탄녹위 주최 콘퍼런스에 참가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부 차원의 에너지 대전환 추진 의지를 분명히 했다.김민석 국무총리는 22

상가 셔터가 작품으로 변신...KCC, 5명 작가와 을지로에 '셔터아트'

최근 젊고 힙(Hip)한 공간으로 탈바꿈하며 '힙지로'로 불리우는 을지로가 KCC의 컬러로 물들고 있다. KCC는 '셔터 아트 프로젝트'를 통해 서울 을지로 일

기후/환경

+

선체 수중청소시 발생하는 중금속 부산물 "해양생태계에 악영향"

선박을 로봇으로 청소하는 과정에서 떨어져나오는 부산물이 바닷물을 오염시켜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해양과학기술원(

"韓 2035 온실가스 60% 감축 가능"...국내 연구진이 방법 제시

'2050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는 우리나라가 203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 60%까지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환

[영상]"새로 개봉한 종말 영화인줄"...美 애리조나 덮친 거대 모래폭풍

미국 서남부 애리조나주에 거대 모래폭풍이 덮쳐 항공편이 지연되거나 건물이 파손되는 등 피해가 잇따랐다.26일(현지시간) AP통신, 가디언 등 주요 외

기후위기로 주목받는 '지수형 보험'…해외는 이미 도입했는데 우리는?

기후변화로 경제적 손실이 증가하면서 산불과 극한호우, 폭염 등 측정이 어려운 재난으로 피해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보상할 수 있는 '지수형 보험'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개막...기후위기 시대 'AI 역할' 조망한다

삼성전자와 LG전자, SK 등 국내 대기업들이 27일 부산 벡스코에서 막을 올린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 2025'에 참여해 인공지능(AI)을 주축으로 다양한 기

남극 빙하에서 깨어난 미생물...일부에서 인체감염성 확인

남극 빙하 속에서 오랜시간 잠들어 있던 미생물 가운데 일부가 인체감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극지연구소 김옥선 박사 연구팀은 남극장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