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으면 돈이 안된다?...대형화되는 전기차들 "우려스럽다"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05-06 08:38:00
  • -
  • +
  • 인쇄
GM 쉐보레 볼트 단종 선언 "대형차에 집중"
대형일수록 배터리 수요크고 탄소배출 높아

전기자동차가 점점 대형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대형 전기차가 중준형과 소형에 비해 기후위기 해소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최근 제너럴 모터스 (General Motors)는 자사 중소형 전기차 모델 '쉐보레 볼트'(CHEVROLET BOLT EV)의 단종을 선언했다. 제너럴 모터스는 2025년까지 미국에서 100만대 이상의 전기차를 판매하는 것을 목표했음에도 이같은 결정을 단행한 것이다.

대신 제너럴 모터스는 "기존 볼트를 대형 픽업트럭인 '실버라도'(Silverado)와 GMC '시에라'(GMC SIERRA) 전동화 버전을 생산할 것"이라며 "저렴한 볼트보다 이들 모델이 더 큰 수익을 낼 수 있다"고 밝혔다. 2016년 출시된 쉐보레 볼트는 미국에서 판매되는 가장 저렴한 전기차 중 하나다. 미국 소비자들은 해당 전기차를 구매하면 7500달러 상당의 세금 공제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차량 업계 관계자들은 "원래 미국은 대형 다목적차량(SUV)과 픽업 트럭에 대한 수요가 높았다"며 "따라서 미국 내 자동차 업체들도 이런 추세에 맞게 대형차의 전동화에 더욱 열을 올리고 있다"고 했다.

그런데 이런 관행은 소비자의 선택폭을 줄여 전기차 보급을 더디게 만들 뿐 아니라 환경에도 되레 악영향을 끼친다는 지적이다. 실제 미국 내 전기차의 평균 가격은 가솔린 자동차보다 1만5000달러(약 1987만원)더 비싸다. 가뜩이나 비싼 전기차인데 값이 나가는 대형 모델만 출시되는 것이다. 또한 환경 전문가들은 "대형차에 들어가는 거대한 배터리를 위해 리튬과 코발트같은 희귀 광물을 대량으로 채굴해야 한다"며 더군다나 큰 차체가 구동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전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직접 시운전을 하기도 한 하머(Hummer) 전기차는 배터리 무게만 어지간한 소형차와 맞먹는다. 하머에 장착된 배터리는 만원 전기버스를 주행하는데 필요한 리튬의 절반을 소모한다. 또한 미국 에너지효율 경제위원회(American Council for an Energy-Efficient Economy, ACEEE)가 평가하는 '친환경 점수'에서 최악의 전기차로 평가받은 리비안 R1S(Rivian R1S)는 성체 아프리카 코끼리만큼 무겁다. 

ACEEE에 따르면 대형 전기차는 준중형·소형 가솔린 자동차보다 탄소를 더 많이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CEEE는 "구동방식뿐만 아니라 크기도 탄소배출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라고 설명했다. 실제 ACEEE 친환경 점수에 따르면 쉐보레 볼트의 점수는 57점으로 현재 미국 내 시판 중인 자동차 중 가장 친환경적인 차량이다. 반면 실버라도와 GMC 시에라는 47점에 불과하다. 

물론 동급 차량을 놓고 비교했을 때는 전기차가 가솔린차량보다 친환경적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문제는 전기차냐 가솔린차냐가 아닌 적절한 크기와 가격의 전기차 모델이 없다는 것"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캘리포니아대학교 데이비스(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의 환경공학자 알리사 켄달(Alissa Kendall)는 "더 작고 저렴한 대안이 없다"며 "나는 배터리가 단종된 구형 포드 C-Max를 대체할 저렴한 자동차를 필사적으로 찾고 있다"고 말했다. 켄달은 "현재 전기차 시장은 거의 전적으로 대형 고급 차량이 장악하고 있다"며 "이는 저소득층 등 환경오염과 기후변화의 최전선에 있는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우려했다.

ACEEE 수석연구원 피터 위더(Peter Huether)는 "볼트 같은 저렴하고 효율적인 전기차가 사라지고 대형 차량이 증가하는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라며 "ACEEE는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대형 전기차 모델을 더 많이 출시하는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배기가스를 줄일 수 있는 우리의 능력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 시장분석업체 IHS 마킷 (IHS Markit)은 2025년까지 미국 내 판매되는 모든 차량의 78%가 SUV, 밴, 픽업트럭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켄달은 "그렇다고 가솔린 대형차가 더 좋다는 이야기는 절대 아니다"며 "다만 적절한 크기의 자동차를 생산하도록 규제와 인센티브를 통해 차량업계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장기적인 과제는 모든 사람들이 거대한 차량을 운전하지 않고 효율적인 전기차를 보유하는 것"이라며 "더 작고 효율적인 차량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강릉에 '반가운 비'...폭우 쏟아졌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단비'가 내렸다. 아직 가뭄이 해갈될 정도는 아니지만 간밤에 내린 비 덕분에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주말날씨] 전국 이틀간 '세찬 비'...강릉에도 '가뭄에 단비'

이번 주말에는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린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번 비는 중국에서 형성된 비구름대가 우리나라로 진입하면서

"환경장관 약속 못믿어"...세종보 천막농성 철회 안한다

4대강 보 철거를 요구하며 금강 세종보에서 500일간 농성했던 환경단체들이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이를 철회했다.11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직접

화석연료 기업들 내뿜는 탄소...치명적인 폭염을 낳았다

엑손모빌 등 석유 대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이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발생했던 수십건의 폭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강릉 식수원 고갈 일보직전 '비소식'...이틀간 20~60㎜ 내린다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으로 쓰이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1일 오전 8시 기준 11.8%까지 낮아진 가운데 토요일인 13일 동해안에 비가 내린다는 소식이다.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