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든 지구' 사실이었다...8개 지표로 검진했더니 7개가 '위중'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6-01 13:24:19
  • -
  • +
  • 인쇄
'지구위원회' 인간과 사회 영향 첫 정량화
수질·토양·생물다양성 대부분 '위험수준'


지구가 더 이상 사람에게 안전하지 않은 상태라는 진단이 나왔다.

31일(현지시간) 국제과학자네트워크 '지구위원회'( Earth Commission)가 기후위기가 인체 건강과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처음으로 '안전 및 공정성 한계선'으로 이름지어진 8개 지표로 정량화시켜 측정해본 결과, 8개 지표 가운데 7개가 이미 한계를 넘어선 위험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8개 지표는 기후, 생물다양성, 물 이용, 생태계 면적, 토지 이용, 비료(질소·인산) 및 에어로졸 영향 등이다. 이 8개 지표는 기존 '지구위험 한계선'을 확대한 것이다. '지구위험 한계선'은 지구 스스로의 회복가능성에 초점을 맞췄다면 '안전 및 공정성 한계선'은 인체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까지 포괄한다.


◆지구위원회가 '안전 및 공정성 한계선'을 기반으로 측정한 현 지구 건강 상태. (자료=지구위원회 네이처지 논문 갈무리)
지표 현황 안전 및 공정성 한계선
산업화 이전 대비 전세계 평균기온 상승폭 1.2℃ 1.0℃
인간에 의해 20% 이상 흐름이 변경된 하천의 면적 34% 0%
지하수 보충량보다 추출량이 더 많은 하천유역 47% 0%
거의 훼손되지 않은 상태의 자연생태계가 덮고 있는 면적  45~50% 50~60%
1㎢마다 20% 이상이 반(半)자연적인 서식지인 도시 및 농경지 면적 36% 100%
농업 잉여질소량(질소유입량-질소유출량) 1억1900만톤 5700만톤
농업 잉여인산량(인산유입량-인산유출량) 1000만톤 450만~900만톤
에어로졸 오염물질 농도 0.05 0.15

측정결과, 8개 지표 가운데 한계선을 넘지 않은 것은 '에어로졸 오염물질 농도' 뿐이다. 논문의 공동저자이자 '지구위험 한계선' 개념을 처음으로 제시한 요한 록스트롬 독일 포츠담대학교 환경과학 교수는 "극단적인 기후는 거주지 이전, 식량안보, 수질악화를 유발해 사람들의 생계를 직접 위협할 뿐 아니라 국가간 분쟁으로도 이어지고 있다"며 "지구가 그 어느 때보다 연약한 처지에 놓여있어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지표는 사람들의 안전과 공정성을 해치지 않는 기온상승폭 한계치를 1℃로 설정하고 있다. 하지만 지구 평균기온은 이미 산업화 이전보다 1.1℃ 이상 오른 상태다. 지금 추세로 지구온도가 스스로 회복 불가능한 1.5℃까지 오르면 전세계 2억명이 해마다 전례없는 이상고온으로 고통받고, 5억명이 해수면 상승 등으로 직접 피해를 입게 된다.

농경지는 질소와 화학비료를 과도하게 사용해 심각한 수질오염을 유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암모니아와 질소산화물이 인근 식수원을 뒤덮으면서 사람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연구진은 "지표가 제시한 한계선을 넘지 않으려면 현재 비료 사용량을 절반 수준으로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논문에 참여한 연구원들은 기후 문제를 사회정의 관점에서 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자산 상위 1%가 내뿜은 탄소배출량은 하위 50%의 2배에 달하고 있고, 이로 인해 사회 각 분야에 연쇄적으로 문제들이 불거지면서 책임이 적은 쪽이 더 많은 피해를 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논문의 공동저자로 참여한 호주국립대학교의 바이쉐메이 교수는 "이번 연구는 환경에 대한 인간의 수요와 영향에 대해 숫자를 붙임으로써 지구를 보호하는 일이 한 공동체, 사회, 경제의 성공과 불가분한 관계에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Nature) 5월 31일자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안전사고 나면 감점...ESG평가 '산업재해' 비중 커지나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에서 산업재해가 '핵심요소'로 부상하고 있다.31일 ESG 평가기관에 따르면 기업의 ESG 평가에서 감점 사례

SK온-SK엔무브 합병결의..."8조 자본확충해 사업·재무 리밸런싱"

SK온과 SK엔무브가 11월 1일자로 합병한다. 지난 2월 SK온이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SK엔텀과 합병한지 6개월만에 또다시 덩치를 키운다.SK이노베이션과 SK

'텀블러 세척기 사용후기 올리고 상품받자'...LG전자, SNS 이벤트

스타벅스 등 커피 매장에서 LG전자 텀블러 전용세척기 'LG 마이컵(myCup)'을 사용한 후기를 소셜서비스(SNS)에 올리면 LG 스탠바이미나 틔운 미니 등을 받을

올해만 5번째 사망자...李대통령, 포스코이앤씨 강하게 질타

올들어서만 4번의 사고로 5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포스코이앤씨가 이재명 대통령의 질타를 받았다. 고용노동부는 포스코이앤씨 본사와 전국 65개 공사

폭염에 맨홀 사망자 또 발생...서울 상수도 작업자들 질식사고

한낮 최고기온이 38℃까지 치솟는 폭염 속에서 맨홀 작업을 하던 노동자가 숨지는 사고가 또 발생했다. 이 작업자들은 맨홀로 진입하기전에 안전여부

LG전자 "자원순환 캠페인으로 폐배터리 100톤 수거"

LG전자가 고객 참여형 자원순환 캠페인 '배터리턴'으로 폐배터리를 100톤 이상 수거했다고 29일 밝혔다.배터리턴 캠페인은 LG전자 청소기의 폐배터리 등

기후/환경

+

"온실가스도 車배기가스 규제도 폐지"...美 환경규제 '흔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미국 환경규제의 근간이 되는 온실가스 평가를 폐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동차 배기가스 배출제한도 폐지할 계획이다.리

밭에서 익어버린 단호박…폭염에 농산물과 축산 피해 잇달아

단호박이 밭에서 그대로 익어버리는 등 폭염에 농작물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제주시 한경면에서 미니 단호박 농사를 짓는 제주볼레섬농장 대표는 지

전담부서 해체한 美 'COP30' 불참할듯...기후리더십 中으로 이동?

미국이 올해 브라질에서 열리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 불참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최근 유럽연합(EU)과 기후협력까지 맺은

업종별 배출량 전망 모두 빗나갔다...엉터리 통계로 NDC 수립한 尹정부

윤석열 정부 시절에 산업 부문 탄소배출량 감축목표를 기존 14.5%에서 11.4%로 낮추는 근거로 삼았던 당시 산업연구원의 2024년 배출 전망이 완전히 빗나

캄차카반도에 '8.7 초강진'...일본·러시아 쓰나미 경보

30일(현지시간) 러시아 동부 오호츠크해에 접한 캄차카반도에 대규모 강진이 잇따라 발생해 근처 지역에 재난 가능성이 우려된다.러시아와 일본에는 '

[날씨] 38℃ 펄펄 끓는 '중복'...내륙은 '열저기압' 발생

중복인 30일에도 한낮 최고기온은 32∼38℃에 달하는 폭염이 이어지겠다.대전은 38℃, 서울과 대구는 36℃, 광주는 35℃, 인천·울산·부산은 33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