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살균제와 발암물질 함유된 '방향제와 탈취제' 적발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08-11 17:55:59
  • -
  • +
  • 인쇄
환경부, 623개 제품 제조·수입·판매 금지 조치
인조속눈썹 붙이는 미용접착제가 26개로 최다
▲방향제 (사진=연합뉴스) 


유해물질 기준치 위반으로 적발된 미용접착제, 방향제, 탈취제 등의 제품이 대거 퇴출됐다.

11일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유해물질 기준치를 초과해 화학제품안전법을 위반한 생활화학제품 623개에 대해 제조·수입 및 판매금지 조치를 내렸다.

623개 위반 제품 가운데 68개 제품은 신고 당시 안전기준에 적합했지만 실제 유통 제품에서 유해물질 함유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543개 제품은 시장 유통전에 안전기준 확인·신고 등 절차를 위반했고, 12개 제품은 신고번호 등의 표시기준을 위반했다.

위반 제품 가운데 미용접착제가 26개로 가장 많았고, 문신용 염료가 15개, 광택코팅제와 방향제 각각 7개, 다림질 보조제와 감염병 예방용 살균소독제 등 기타 13개였다.

미용접착제에서는 나와서는 안될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가 검출된 경우가 많았다. 한 제품에서는 1㎏당 517밀리그램(㎎)이나 나왔다. MMA가 눈이나 피부에 접촉될 경우 자극, 홍반, 통증, 가려움 및 알레르기성 피부 반응 등을 유발한다.

문신용 염료 10개 제품에서는 니켈이 최대 13.6mg/kg 검출됐다. 니켈은 부종·발진·가려움증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광택코팅제와 방향제, 탈취제에서는 가습기 살균제 원료로 사용된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CMIT)과 발암물질인 폼알데하이드 등이 나왔다. 한 제품에선 폼알데하이드가 기준치 16.7배가 검출됐다.

코로나19를 겨냥한 감염병 예방용 살균소독제 2개는 당국에서 승인받은 것과 다르게 제조해 문제가 됐다.

이번에 제조·수입과 유통이 금지·차단된 제품 가운데 안전기준에 적합한지 확인하지 않거나 당국의 승인을 받지 않은 제품은 543개다. 방향제가 232개로 가장 많았고 초 133개, 문신용 염료 23개, 기타 155개 등이다.

기타 제품 가운데 살균제 14개는 안전기준을 확인받지 않았다. 가습기 향균·소독제 1개 제품은 미승인 상태로 유통돼 적발됐다. 벌레에 물리지 않게 해준다는 보건용 기피제와 살충제 13개 제품도 승인을 받지 않는 등 불법하게 제조·판매가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회수명령이나 판매금지 조치 등에도 불구하고 회수되지 못한 제품이 시장에서 판매되지 않도록 이들 제품의 재유통 여부를 집중적으로 감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법을 위반해 이번에 적발된 제품들은 초록누리(생활환경안전정보시스템·ecolife.me.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위반제품은 제조·수입업체에서 교환·반품할 수 있다. 위반제품을 발견하면 초록누리나 국민신문고로 신고하면 된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 활성화 대책 하반기 발표"

정부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을 활성화하는 대책을 하반기 발표하겠다고 밝혔다.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탄소크레딧 유

화석연료 보험 늘리는 국내 손보사들...기후위험 대응력 높이려면?

글로벌 주요 보험사들은 화석연료 배제를 선언하고 있지만 국내 석탄 보험은 1년 사이에 82%가 늘어날 정도로 기후위기에 둔감하다는 지적이다. 이승준

네이버·국립생태원, 생물다양성 보호 나선다

네이버와 국립생태원이 13일 생물다양성 대응 및 생태계 보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네이버 본사에서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국립생태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기후/환경

+

'루돌프' 못보는 거야?...세기말 온난화로 80% 줄어든다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북유럽과 북극 등에 서식하는 야생 순록 개체수가 지난 수십 년간 3분의 2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추세로 간다면 세기말

신라때 만든 저수지 인근 공장화재로 유해물질 '범벅'...물고기 떼죽음

신라 시기에 만들어진 국보급 저수지가 인근 화장품 공장 화재로 발생한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다.14일 연합뉴스에 따르

"현 2035 NDC는 위헌"...국가온실가스 결정절차 가처분 신청

정부의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결정절차에 가처분 신청이 제기됐다.14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환경보건위원회와 기후위기 헌법소원

에어로졸의 반전...지구 식히는줄 알았더니 온난화 부추겨

햇빛을 반사해 지구를 식히는 '냉각효과'로 지구온난화를 억제한다고 알려진 에어로졸이 오히려 온난화를 부추기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광

[연휴날씨] 폭우 끝 폭염 시작…낮에는 '찜통' 밤에는 '열대야'

물벼락을 맞았던 서울과 수도권은 광복절인 15일부터 또다시 불볕더위가 찾아온다. 폭우 끝에 폭염이 시작되는 것이다. 광복절을 시작으로 이번 연휴

잠기고 끊기고 무너지고...수도권 200㎜ 물폭탄에 곳곳 '물난리'

7월 경남과 광주를 할퀴었던 집중호우가 이번에는 수도권 일대를 강타하면서 많은 피해를 낳았다.13일 서울과 수도권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내린 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