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 삼겹살 다 중국문화"…中 황당 주장에 "이젠 지겹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5-02 10:36:13
  • -
  • +
  • 인쇄
▲삼겹살이 중국에서 유래했다고 표현한 중국 바이두 백과사전 (사진=서경덕 교수 SNS캡처)

중국 포털사이트에서 한옥과 삼겹살이 중국에서 유래됐다는 억지 주장이 또 나와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최근 에픽게임즈가 운영하는 '언리얼 엔진 마켓플레이스'에 올라온 한옥 애셋(Asset)에 "한국 문화가 아닌 중국의 전통문화"라는 댓글이 수십 건 달리며 평점 테러를 당했다. 애셋은 게임 제작에 쓰이는 데이터 일체를 뜻하며 언리얼 엔진 마켓플레이스는 애셋들을 구매·판매·공유하는 일종의 온라인 쇼핑몰이다.

중국 네티즌의 주된 테러 대상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문화정보원이 지난달 해당 마켓플레이스에 무료 콘텐츠로 올린 우리 문화유산 데이터였다. 앞서 한국문화정보원은 한옥 외에도 조선시대 건축물 다수와 다양한 전통문양 등을 공유한 바 있다. 특히, 한옥 애셋은 공개 직후 전세계 개발자로부터 호평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중국에 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일부 누리꾼들은 "한국 문화는 중국 문화의 갈래", "현판과 문양에 한자가 있으니 이는 중국 문화다", "한국은 잘 알려진 문화 도둑" 등의 주장을 펼쳤다. 한 누리꾼은 한국문화정보원이 올린 '창원의 집' 애셋 속 정자 '퇴은정'(退隱亭)을 보고 "한국인이 저 집에 적힌 한자가 뭔지 알고나 있는지 모르겠다"며 한국인을 조롱하기도 했다.

이같은 황당한 주장은 중국 누리꾼들 사이에서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다.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百度)의 백과사전에는 김치와 삼계탕에 이어 삼겹살이 중국의 요리라고 표기돼있다. 바이두에 삼겹살을 검색하면 삼겹살 구이가 중국 전병에 싸 먹는 대파 돼지고기볶음에서 유래했다고 나온다.

이에 대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2일 소셜서비스(SNS)를 통해 "중국이 삼겹살을 중국 음식이라고 주장해 논란이 예상된다"며 "이제는 '김치공정'을 넘은 '한식공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삼겹살에 대한 정확한 문헌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면서도 "음식 전문가들에 따르면 삼겹살을 구워 쌈을 같이 내어 파는 방식이 시작된 건 1970년대 중후반부터로 추정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삼겹살은 역사가 그리 길지 않은 한식을 대표하는 현대 음식이라는 게 정론"이라며 "한식공정을 막아내겠다"라고 덧붙였다.

국내 누리꾼들은 중국의 억지 주장에 대해 "이젠 지겹다", "다 자기들 거라면서 전염병이랑 황사는 오리발 내민다" 등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ESG '환경·사회' 지표 투자전략 반영했더니 지수 수익률 상회"

투자전략에 ESG 세부지표를 반영하면 시장대비 높은 장기수익률과 안정적인 위험관리 성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

'몸짱 소방관' 2026년 달력 만든다...'우리동네GS'에서 사전예약

오는 11월 9일 소방의 날을 맞아 2026년도 '몸짱 소방관 달력'이 나온다.몸짱 소방관 달력의 정식명칭은 '소방관 희망나눔달력'으로, 서울시 소방재난본

SK이노, 에이트린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전과정평가(LCA) 무상 지원

SK이노베이션이 소셜벤처 '에이트린'의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대한 전과정평가(LCA)를 무상 지원한다.SK이노베이션은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

KT도 '유심' 무상교체 시행...김영섭 대표는 연임포기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다시한번 사과하고,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

노동부 칼 빼들었다...'런베뮤' 지점과 계열사도 근로감독

고용노동부가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런던베이글뮤지엄'의 모든 지점과 운영사인 엘비엠의 계열사까지 근로감독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런던베이글

SPC 허진수-허희수 형제 '나란히 승진'...경영승계 '속도낸다'

SPC그룹은 허진수 사장을 부회장으로, 허희수 부사장을 사장으로 각각 승진 발령하면서 3세 경영승계 작업을 가속화했다.4일 SPC그룹은 이같은 인사단행

기후/환경

+

韓선박 무더기 운항제한 직면하나?..."탄소감축 못하면 국제규제"

한국 해운업계가 탄소배출을 줄이지 못해 일부 선박이 운항제한이나 벌금을 맞을 위기에 직면했다.기후솔루션은 5일 전세계 100대 해운사의 온실가스

화석연료 못버리는 국가들..."파리협약 1.5℃ 목표달성 불가능"

전세계가 지구온난화를 1.5℃ 이내로 억제하기로 합의한 '파리기후변화협약'이 사실상 실패했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5일(현지시간) 미국 시사주간

[뷰펠] 에너지 저장하는 '모래 배터리' 개발...베트남 스타트업의 도전

뉴스트리가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 '뷰티풀펠로우'에 선정된 기업을 차례로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뷰티풀펠로우는 지속가능하고 혁신적인

[단독] 정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률 '61%안'으로 가닥

2035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가 '61%안'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4일 정부 안팎 관계자들에 따르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5

국제기후기금 97%는 기술에 '몰빵'...사회적 지원은 '찔끔'

국제적으로 조성된 기후기금의 97%는 기술투자에 투입됐고, 사람과 지역사회를 위한 지원은 거의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3일(현지시간) 영국

갯벌도 탄소흡수원으로...IPCC 보고서 개요에 韓 입장 반영

2027년 발간될 'IPCC 기후변화 보고서'에 갯벌도 탄소흡수원으로 포함된다.유엔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2027년 발간할 '이산화탄소 제거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