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대보초 해역 400년만에 '최고 수온'...하얗게 죽어가는 산호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08-08 15:01:48
  • -
  • +
  • 인쇄


기후위기로 호주의 산호초 군락지인 대보초 인근 해역의 수온이 400년만에 가장 높은 온도를 기록하면서 산호가 소멸위기에 근접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호주 멜버른대학교 벤저민 헨리 교수연구팀은 올 1~3월 세계 최대 산호 군락인 호주 대보초 해역의 수온이 1900년 이전 평균치에 비해 1.73℃ 높았고, 이는 적어도 407년 안에 가장 높은 온도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대보초 산호의 골격 표본을 채취해 화학적 구성 변화를 토대로 1618~1995년 대보초 해역의 수온 변화를 측정했다. 산호는 환경조건만 맞으면 수백년을 넘게 살 정도로 수명이 길다. 이 데이터에 1900~2024년 인간이 직접 해수온도 측정기기를 활용해 얻어낸 수온기록을 결합했다. 이를 기반으로 산호가 수온상승으로 하얗게 변하는 백화현상이 주로 발생하는 1~3월의 온도 추이를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1618~1900년 중반까지 대보초 해역의 해수온도는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하지만 1960~2024년 인간활동에 의한 지구온난화가 본격화되면서 1~3월 해수온도는 10년에 0.12℃ 꼴로 지속적으로 늘었고, 1998년부터 대보초에서 대규모 백화현상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백화현상은 산호가 하얀 골격을 드러내는 것으로, 산호에 색상과 에너지를 제공하는 작은 조류(藻類)가 수온 상승으로 떠나거나 죽으면 나타난다. 보통 산호 덮개의 10% 이상이 표백될 경우 백화현상으로 규정한다. 백화현상이 일어나도 산호는 일정 기간 생존하지만 지속되면 성장이 더뎌지고 질병에 취약해져 결국 폐사하게 된다. 대량 폐사 전에 수온이 내려가야 수생생물들이 돌아와 산호들이 살아날 수 있다.

문제는 이같은 백화현상은 해수온도 상승으로 점차 발생 빈도가 잦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1998년 대보초에서 처음 벌어진 대규모 백화현상은 2002년에 또다시 발생한 뒤 한동안 잠잠했지만, 이후 2016년, 2017년, 2020년, 2022년에 이어 올 3월에도 벌어지는 등 지난 10년새 5번이나 벌어졌다. 1900년대 이전 평균치와 비교했을 때 2016~2024년 대보초 해역의 1~3월 수온 상승폭은 1.5℃에서 1.73℃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1618~2024년 1~3월 대보초 해역 평균수온 상승폭 추이. 점이 붉을수록 현재, 푸를수록 1618년에 가깝다. 2024년으로 가까이 올수록 상승폭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자료=네이처)


이에 따라 연구팀은 파리협정에서 국제사회가 약속한대로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1.5℃ 이내로 억제하더라도 전세계 산호의 70~90%가 사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생태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적잖은 파장을 일으킨다는 우려도 나온다.

산호 군락이 형성한 산호초는 '바다의 열대우림'으로 불릴 정도로 생태적 가치가 크다. 바다 생물의 4분의 1가량이 산호초에 기대어 살고 있기 때문이다. 산호초는 이산화탄소를 줄이고 산소를 만들어 기후위기 대응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산호초와 연관된 산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수천만명에 달해 경제적으로도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연구에 참여한 호주 퀸즐랜드대학교 오브 회그 굴드버그 교수는 학술매체 더컨버세이션에 7일(현지시간) 기고한 글에서 "호주 대보초에서 현재 벌어지고 있는 일은 전세계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며 "호주 대보초 뿐 아니라 다른 전세계 산호 생태계도 위험에 처해있어 1.5℃ 목표에 따른 탄소저감 목표는 최소한의 조처로, 반드시 이행돼야만 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 온라인 7일자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경기도, 업사이클 참여기업 모집...최대 1000만원 지원

경기도와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이 '2025년 경기도 업사이클 기업육성 지원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한다고 10일 밝혔다.공모는 △집중육성 과제(최대

올해 신규 사외이사 평균연령 60.3세...女비중 첫 30% 돌파

올해 국내 100대 상장기업에 신규 선임된 사외이사의 절반 이상이 교수 출신이고, 평균연령은 60.3세로 나타났다. 사외이사 재선임 비중은 54%로 높아지

아워홈 사고직원 결국 사망...중대재해법 처벌수위 촉각

경기도 용인에 있는 아워홈 공장에서 사고를 당한 직원이 9일 끝내 사망했다. 구미현 아워홈 대표이사는 이날 입장문에서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말

LG '올레드TV' 탄소·플라스틱 줄이고 자원효율 높였다

LG전자 올레드 TV가 해외 유력 인증기관들로부터 탄소 배출 저감, 지속가능한 자원 효율성 등 환경 관련 인증을 잇따라 획득했다.LG전자는 최근 프리미

국내 中企 ESG 경영수준 2년새 대폭 '개선'...비결은?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의 ESG 성적이 대기오염물질, 온실가스 등 환경분야를 중심으로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중소&m

SK C&C, AI DX로 사고 줄이고 환경오염 막는다

SK C&C가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안전·보건·환경(SHE) 서비스를 통해 제조현장 안전수준을 한층 강

기후/환경

+

산불지역 '산사태' 위험성 2시간전 파악하는 예측기술 개발

산불지역이 폭우로 인해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여부를 2시간 30분 이전에 파악할 수 있는 예측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10일 한국지질자원연구

기후솔루션 "NDC 수립시 지방정부도 참여시켜야"

우리나라가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수립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지방정부 참여가 사실상 배제돼 있어 기후대응을 어렵게 한다는 지적이다.10일

'차기 정부가 해야 할 기후정책 30가지'...기후싱크탱크 제안서 발간

차기 정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생태국가 원리를 헌법에 반영하고, 기후시민의회 제도화를 통한 민주적 기후거버넌스를 구현하는 것과 아울러 기후경

'대기의 강' 2023년 튀르키예 지진 피해 키웠다

엄청난 양의 비를 몰고 오는 '대기의 강' 현상이 재작년 발생한 튀르키예 지진의 피해를 키운 것으로 밝혀졌다.8일(현지시간) 톨가 괴륌(Tolga Görü

美주택보험료 8% 이상 오른다...잦은 재난과 관세 여파

미국 전역에서 극단적인 기후재난이 잇따라 발생하는 데다, 올초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쏘아올린 관세폭탄으로 경제 불안이 가중되면

문닫고 '향초' 피우면...'미세먼지' 실내농도 1.5배 증가

실내에서 향초를 피울 때 환기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고스란히 흡입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9일 세명대 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