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C그룹이 각 계열사별로 생산직 야간근로를 8시간 이내로 제한하는 새로운 근무제도를 9월부터 시범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
SPC그룹은 이재명 대통령의 SPC삼립 시화공장 방문 간담회 직후인 지난달 27일 10월 1일부터 생산직 야간근로를 8시간 이내로 제한해 장시간 야근을 없애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후 생산체계 및 근무제 개편 작업과 함께 각 계열사별로 교섭대표 노동조합과 협의를 진행했다.
그 결과, SPC그룹은 당초 계획보다 한달 앞당긴 9월 1일부터 전 계열사 생산현장에서 야간 8시간 초과 근무를 없애고, 3조 3교대(SPC삼립∙샤니)를 도입하거나 중간조를 운영(SPL∙비알코리아)하기로 했다. 중간조는 야간근로 축소에 따라 생기는 공백 시간대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야간근로 개편으로 약 250명이 추가 고용된다. SPC그룹은 전체 직원 2만2000여명 가운데 생산직이 6500여명이다. 이 생산직 가운데 4%를 이번 기회에 충원하는 것이다.
야간근로 축소에 따른 임금의 총액감소 문제는 각 사별 기본급 인상과 추가 수당 신설, 휴일∙야간수당 가산 비율 상향 등으로 보완하기로 했다. 이는 노사간 협의를 통해 잠정 합의를 한 부분이지만, 앞으로 추가 조정이 필요한 부분은 단체협약을 통해 진행하기로 했다.
추가 고용과 임금 보전 등으로 인해 SPC그룹은 연간 330억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2024년 SPC그룹 전체 영업이익(768억원)의 약 43%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SPC삼립 시화공장 베이커리 라인의 경우 3조3교대 근무체제를 도입하면 생산직 근로시간은 주 52시간에서 주 48시간 이하로 줄어든다. 야근 및 근로시간 축소에 따른 임금감소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기본급을 인상하고, 휴일수당 가산율을 기존 50%에서 75%로 상향 조정했다.
SPL은 주간조와 야간조 사이에 중간조를 도입하고 일부 라인에 주 6일제를 도입해 야간근로 시간을 줄인다. 임금 보완책으로 야간수당 가산율을 50%에서 79%로 상향 조정하고, 특별수당을 지급한다. 파리크라상, 샤니, 비알코리아 등도 사별 환경에 맞게 조정하기로 노사가 잠정 합의했다.
SPC그룹 각 계열사는 9월 한달간 새로운 근무제도를 시범 운영하면서 시스템을 점검하고 추가 의견들을 반영해 10월 1일부터 전사에 안착될 수 있도록 꾸준히 보완할 계획이다.
SPC그룹 관계자는 "근로자의 안전강화를 위해 각 사 교섭대표 노동조합과 함께 최선의 방향을 찾고자 노력했다"며 "이번 근무제 개편과 함께 현장의 작업중지권 강화와 안전 스마트 신공장 건립도 조속히 추진해 안전 강화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