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채택될 '젠더 행동계획'을 앞두고 일부 국가가 '젠더' 정의에 이견을 제기하며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는 COP30에서는 기후위기 대응 과정에서 여성과 취약집단의 경험을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젠더 행동계획이 논의된다. 그러나 사전협의에서 아르헨티나·파라과이 등이 '젠더'를 남성과 여성의 생물학적 성으로 한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논쟁이 불거졌다. 바티칸도 '젠더' 대신 'sex' 사용을 제안했고, 사우디아라비아·러시아·이란·이집트 등도 유사한 입장을 보였다.
여성권리 단체들은 이를 유엔 체계가 쌓아온 포용적 젠더 표현을 후퇴시키는 시도로 보고 있다. 코스타리카 전 외교차관 로레나 아길라르는 "일부 국가는 우리를 30년 전으로 되돌리려 한다"며 "이미 합의된 기준 아래로는 물러설 수 없다"고 말했다.
기후위기는 성별 격차를 심화한다. 물·식량 불안정이 심해질수록 여성의 돌봄·생계 부담은 커지고, 재난 이후 여성 대상 폭력이나 조혼 증가도 보고된다. UN우먼은 2050년까지 기후위기로 식량 불안정에 놓일 여성·소녀가 최대 2억 36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한다.
그러나 여성은 기후정책 결정 과정에서 여전히 배제되는 경우가 많다. 이번 젠더 행동계획은 각국 정책 설계에 젠더 관점을 체계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시도로 평가된다.
EU·캐나다·노르웨이는 젠더 개념을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교차성', '성다양성' 등을 문서에 포함하자고 주장한다. 반면 일부 국가는 문화·법 체계와 충돌한다며 반발했다.
여성환경개발기구(WEDO)는 "젠더 정의 논쟁이 협상을 지연시키고 본질적 논의를 막고 있다"고 지적했다. 개도국 활동가들은 핵심은 용어가 아니라 재정 지원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2022년 기후적응 공적원조 가운데 젠더가 주요 목표인 사업은 4%에 불과하다.
브라질 젠더 고위대표 바네사 돌스치 데 파리아는 "젠더 관점 없는 기후정책은 효과적일 수 없다"고 말했다.
COP30에서 젠더 행동계획이 어떤 형태로 합의될지는 미지수지만, 이번 갈등은 기후정책 협상의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