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월드컵'이라더니...카타르월드컵 '그린워싱'으로 뭇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5-31 17:45:21
  • -
  • +
  • 인쇄
CMW "탄소배출량 산정방식에 문제있어"
"조직위 탄소배출권 구매도 실효성 없어"


'2022년 카타르월드컵'이 사상 첫 '탄소중립 월드컵'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실현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30일(현지시간) 국제환경단체 탄소시장감시(CMW)는 "2022년 카타르월드컵의 예상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축소 보고됐다"고 지적했다. 이는 지난해 9월 "FIFA월드컵 역사상 첫 탄소중립 월드컵을 개최하겠다"는 카타르월드컵 조직위원회의 선언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대목이다.

CMW이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오는 11~12월 4주간 총 32개국 국가대표팀이 출전하는 카타르월드컵의 예상 방문객은 약 150만여명으로 추산된다. 이 시기에 숙박과 건설, 교통 등에서 총 360만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될 전망이다.

CMW는 7개의 신규 경기장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월드컵 기간 외에 이들 경기장의 전체 생애주기에서 발생하는 탄소발자국을 종합하면 기존 카타르월드컵 조직위가 추산한 양보다 8배 많은 140만톤에 달한다. 이는 약 18만가구의 연간 에너지 사용량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맞먹는 수치다.

CMW는 또 탄소배출권을 구매해 이산화탄소 배출을 상쇄하겠다는 조직위의 목표에도 의문을 표했다. 조직위는 국제탄소위원회(GCC)로부터 180만주를 사들이기로 합의했지만, 현재 상장된 탄소 상쇄사업은 2건에 불과하며, 해당 사업들이 발행하는 탄소배출권을 전부 합쳐도 현행 공급량은 15만주에 불과한 상황이다.

이마저도 실효성이 전혀 없다는 지적이다. 조직위는 탄소배출권 구매를 통해 나무 및 잔디 묘목장 사업과 터키의 풍력발전사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하지만 카타르의 기후로 볼 때 인공적이고 취약한 녹지가 지속가능하지 못하다는 점, 또 터키가 해당 풍력발전사업을 이미 2018년에 시작했고, 유럽 내 풍력발전장치 4위 국가라는 점에 비춰보면 조직위의 투자 성과가 매우 미미할 전망이라는 것이다.

게다가 CMW는 "가장 집약적이기 때문에 가장 친환경적"이라는 조직위의 홍보 방식이 납득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카타르월드컵 경기장들은 모두 카타르 수도 도하의 중심부로부터 50km 이내에 위치해 있다. 조직위는 이 덕에 선수나 관광객들이 먼 거리를 이동할 필요가 없어 친환경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문제는 정작 이들이 머무는 숙소는 멀리 떨어져 있고, 일일 168회 비행기편이 제공된다는 점이다.

보고서의 저자 질 뒤프랑은 "조직위의 주장은 신뢰할 수 없다. 해당 행사가 탄소중립을 달성했다고 하기엔 문제가 있다"며 "일반 대중과 팬들에게 월드컵과 같은 대형 행사를 기후에 아무런 영향없이 치를 수 있다는 그릇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기 때문에 관계당국이 환경영향에 대해 투명하게 소통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화석연료에 46조 투자한 유럽 ESG펀드들...규제 앞두고 '이름지우기' 분주

유럽 투자회사들이 'ESG펀드'를 통해 화석연료 기업에 투자한 규모가 330억달러(약 46조1200억원)가 넘는다는 폭로가 나왔다. '무늬만 EGS펀드'는 이달부터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KCC, 지역 사회시설 환경개선 활동..."ESG경영 앞장"

KCC가 전국 사업장 소재지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밀착형 사회공헌 활동으로 ESG경영에 앞장선다.KCC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위치한 지적장애인 거주시설

SPC삼립, 제빵공장 근로자 사망사고에 "죄송하다" 사과문

경기 시흥시에 위치한 SPC삼립 제빵공장에서 50대 여성 노동자가 숨지는 사고가 또 발생했다.사고는 19일 오전 3시쯤 시화공장에서 발생했으며, 숨진 A씨

KB국민은행, 2만3000여명 소상공인 금융지원 '100억' 돌파

KB국민은행이 비대면 대출받은 소상공인에게 보증료 및 대출 이자를 지원해주는 'KB소상공인 응원 프로젝트'의 지원금액이 100억원을 돌파했다고 19일

'청소기 폐배터리 반납하면 새제품 할인'..LG전자 '배터리턴' 캠페인

LG전자가 오는 6월 30일까지 청소기 배터리 등 폐부품을 반납하면 새 부품을 구매할 때 할인해주는 '배터리턴'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환경부

기후/환경

+

환경부, 수도권 폐기물 직매립 금지 유예 '고려'…환경단체 "정책 퇴보" 비판

환경부가 내년부터 시행하기로 한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조처를 유예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환경단체가 강도 높은 비판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올해 전기차 판매 2천만대 돌파예상...신차 판매 25% 차지"

올해 전기차는 신차 판매량의 25%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국제에너지기구(IEA)는 14일(현지시간) '2025년 세계 전기차 전망 보고서'(Global EV Outloo

지구 9가지 한계선 중 6가지 '위험상태'...되돌릴 5가지 방법은?

인류 생존을 위한 지구는 이미 한계선을 넘어 위험한 상태지만, 지속가능한 정책을 펼친다면 지구를 2015년으로 되돌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

남성 온실가스 배출량 여성보다 26% 많다...이유는?

여성보다 남성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요인이 자동차 운전과 육류 섭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 온딘 버

작년 우주쓰레기 3000개 발생…매일 3개씩 지구로 추락

지난해 우주에서 발생한 인공위성 잔해물이나 발사체 파편 등 '우주쓰레기'가 3000개 이상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우주쓰레기 가운데 하루평균 3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