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지는 머리카락으로 매트를?...오염물 흡착 뛰어나

전찬우 기자 / 기사승인 : 2022-12-30 08:30:02
  • -
  • +
  • 인쇄
머리카락 1㎏이 오염물질 7~8L 흡수해
하수구에 설치하면 오염물 거를 수 있어
▲머리카락 매트를 제작하는 모습 (사진=헤어리사이클 페이스북 캡처)

사람의 머리카락을 가공해 오염물질을 흡수하는 매트를 제작하는 사람들이 있다.

29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벨기에의 패트릭 얀센(Patrick Janssen)과 쿠엔틴 얀센(Quentin Janssen) 부자는 버려지는 머리카락을 모아 매트를 제작하는 모발 재활용 프로젝트 '헤어리사이클'(Hair Recycle)을 진행하고 있다.

이들은 벨기에 전역에서 머리카락을 수집한다. 이발사들은 고객의 머리카락을 버리지 않고 헤어리사이클 가방에 모아놓는다. 이렇게 모아진 머리카락은 얀센 부자에 의해 기름과 탄화수소 등을 흡수하는 '머리카락 매트'로 재탄생한다. 탄화수소는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84배나 높은 메탄의 일종이다.

1㎏의 머리카락은 7~8리터(L)의 기름과 탄화수소를 흡수한다. 패트릭 얀센은 "머리카락 매트를 도시의 하수구에 설치하면 강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머리카락 한 가닥은 자체 무게의 약 1000만배를 지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케라틴으로 구성돼 있어 탄력성이 매우 뛰어나며 안정성과 단열성까지 갖추고 있다.

프로젝트 시작 전 유럽에서는 연간 7만2000톤의 머리카락이 그냥 버려지고 있었다. 이는 도시 하수구를 막는 주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브뤼셀의 이자벨 불키디스(Isabelle Voulkidis) 헤어디자이너는 "요즘은 머리카락을 쓰레기통에 버리는 것이 부끄럽게 느껴진다"고 말했다.

머리카락 재활용 프로젝트는 얀센 부자가 처음 시도하는 것은 아니다. 2000년대 초 NGO '매터 오브 트러스트'(Matter of Trust)가 멕시코만의 기름유출 사태에 머리카락을 활용한 것을 계기로, 캐나다와 네덜란드, 영국 등 현재 12개국에서 모발 재활용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SPC, 야간근로 8시간 제한...新근무제 9월부터 시범운영

SPC그룹이 각 계열사별로 생산직 야간근로를 8시간 이내로 제한하는 새로운 근무제도를 9월부터 시범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SPC그룹은 이재명 대통령

대한항공-아시아나, 폐유니폼으로 만든 파우치 판매수익금 전액 기부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과 함께 업사이클링(Up-cycling·새활용) 보조배터리 파우치를 제작해 판매한 수익금 전액을 포함한 기부금을 사단법인 소

현대백화점그룹, ESG 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 그룹 내 계열사의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체계적으로 통합관

우리은행 'K-택소노미 AI' 도입으로 녹색금융 지원 강화

우리은행은 시중은행 최초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여신 심사에 활용하는 'K-택소노미 전문상담 AI'를 도입했다고 25일 밝혔다. 'K-택소노미'는 지난 202

金총리 "태양광·풍력 대폭 확대…RE100 전용 산업단지 조성할 것"

김민석 국무총리가 탄녹위 주최 콘퍼런스에 참가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부 차원의 에너지 대전환 추진 의지를 분명히 했다.김민석 국무총리는 22

상가 셔터가 작품으로 변신...KCC, 5명 작가와 을지로에 '셔터아트'

최근 젊고 힙(Hip)한 공간으로 탈바꿈하며 '힙지로'로 불리우는 을지로가 KCC의 컬러로 물들고 있다. KCC는 '셔터 아트 프로젝트'를 통해 서울 을지로 일

기후/환경

+

선체 수중청소시 발생하는 중금속 부산물 "해양생태계에 악영향"

선박을 로봇으로 청소하는 과정에서 떨어져나오는 부산물이 바닷물을 오염시켜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해양과학기술원(

"韓 2035 온실가스 60% 감축 가능"...국내 연구진이 방법 제시

'2050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는 우리나라가 203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 60%까지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환

[영상]"새로 개봉한 종말 영화인줄"...美 애리조나 덮친 거대 모래폭풍

미국 서남부 애리조나주에 거대 모래폭풍이 덮쳐 항공편이 지연되거나 건물이 파손되는 등 피해가 잇따랐다.26일(현지시간) AP통신, 가디언 등 주요 외

기후위기로 주목받는 '지수형 보험'…해외는 이미 도입했는데 우리는?

기후변화로 경제적 손실이 증가하면서 산불과 극한호우, 폭염 등 측정이 어려운 재난으로 피해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보상할 수 있는 '지수형 보험'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개막...기후위기 시대 'AI 역할' 조망한다

삼성전자와 LG전자, SK 등 국내 대기업들이 27일 부산 벡스코에서 막을 올린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 2025'에 참여해 인공지능(AI)을 주축으로 다양한 기

남극 빙하에서 깨어난 미생물...일부에서 인체감염성 확인

남극 빙하 속에서 오랜시간 잠들어 있던 미생물 가운데 일부가 인체감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극지연구소 김옥선 박사 연구팀은 남극장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