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소똥구리' 되살린다...9월에 200마리 방사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7-17 13:27:59
  • -
  • +
  • 인쇄
▲우리나라 자연에서 멸종된 소똥구리 (자료=국립생태원)

프랑스가 지역에서 완전히 사라진 '소똥구리'를 다른 지역에서 들여와 방사한 것처럼, 우리나라에서도 자연에서 사라진 소똥구리를 되살리기 위해 몽골에서 채집해온 200마리를 방사할 계획이다.

17일 환경부 국립생태원에 따르면 멸종위기종복원센터는 몽골에서 가져온 소똥구리 200마리를 오는 9월 적합한 서식지를 선정해 방사하기로 했다.

지난 4월 국립생물자원관이 발간한 '국가생물자료집 곤충 Ⅱ·Ⅲ'에 따르면 소똥구리는 '지역절멸'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절멸이란 '지역 내 잠재적 번식능력을 가진 마지막 개체가 죽거나 지역 내 야생에서 사라져 버렸다는 점을 의심할 이유가 없는 경우'를 뜻한다.

소똥구리는 한반도 전역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었지만 서식지 훼손과 합성사료 속 화학물질 등에 노출되면서 개체수가 줄어 1969년 8월 이후 공식적으로 채집된 적 없다. 그러면서 1970년대 이후 멸종 판정을 받았다. 

소똥구리는 똥을 먹고 사는 딱정벌레다. 말똥을 제일 좋아하지만, 인분(人糞)도 먹는다. 알을 낳을 때는 똥으로 '경단'을 만들어 굴린다. 경단을 굴려야 하다 보니 피복도(식물이 표면을 덮은 정도)가 20∼40%로 낮고 물기가 많지 않은 모래벌판에 산다.

센터는 이런 습성에 알맞은 방사지를 선정 중이다. 현재까지 서식지 적합도 평가를 받은 곳은 태안군 신두리사구, 제주시 해안동·노형동, 장흥군 운주리, 신안군 자은도 등이다.

센터는 2019년부터 소똥구리 복원을 추진해왔는데, 당시까지만 해도 소똥구리가 수입금지 대상이라 연구목적으로만 들여올 수 있었다. 소똥구리에 대해 알려진 내용이 별로 없었기 때문에 이때 도입된 소똥구리는 생활사와 한국 생태계 적응 가능성을 파악하는 데 활용됐다.

이후 소똥구리 수입금지가 해제됐고 지난해 몽골에서 소똥구리 230마리를 도입해 증식하면서 복원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센터는 지난달 300마리를 잡아왔고, 이달말에도 몽골로 떠나 300마리를 추가 채집해올 예정이다.

여기에 국내에서 증식한 개체까지 합하면 1000마리 정도 된다. 센터는 이 중 200마리를 오는 9월 서식지에 방사할 예정이다. 한 번에 200마리를 야생으로 돌려보내는 것은 여러 세대에 걸쳐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는 최소 개체수, 즉 유효 개체군 크기를 200마리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소똥구리 복원 필요성은 이들이 생태계에서 청소부 역할을 한다는 데 있다. 소똥구리가 먹지 않은 대형초식동물 분변은 분해되지 않은 채로 지표면에 남아있다가 비가 오면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 수질을 오염시킬 수 있다. 또 소똥구리는 똥으로 경단을 만들어 굴린 뒤 땅에 묻기 때문에 넓은 지역에 걸쳐 깊은 토양까지 유기물질과 영양분을 공급해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동물성 식재료 쏙 뺐더니...탄소배출 확 줄어든 '지속가능한 한끼'

지속가능한 식단을 직접 먹어보면서 알아보는 특별한 토크콘서트가 서울 성수동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에서 열렸다. 기후솔루션 주최로 16일 오후

기후/환경

+

산불 트라우마 '의사결정' 능력에도 영향..."적절한 결정 못해"

산불 등 기후재해를 겪은 생존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잘 내리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오랜시간 기다리면 더 큰

"한국 2035년까지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어떻게?

우리나라는 국제감축 활용 없이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61% 감축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1일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 글로벌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