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에 '어름치'가 돌아왔다...복원작업 20여년만의 결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7-20 12:53:25
  • -
  • +
  • 인쇄
▲금강 어름치 치어무리 (사진=국립수산과학원)

1970년대 후반 이후 금강에서 완전히 사라졌던 천연기념물 '어름치'가 20여년 만에 돌아왔다.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천연기념물 제259호, 멸종위기 Ⅱ급어류 어름치를 금강 서식지에서 복원하는데 성공했다고 20일 밝혔다.

어름치는 금강과 한강 수계에 분포·서식하는 우리나라 고유 담수어류로 강과 하천의 중·상류 지역의 물이 맑고 바닥에 자갈이 많은 곳에 주로 서식한다. 어름치는 산란기에 수정란을 보호하기 위해 자갈을 쌓아 산란탑을 만드는데 이는 전세계에서 유일한 생태적 특성이다.

금강 어름치의 서식지인 충북 옥천군 이원면 용방리 일대는 1972년 5월 천연기념물 제238호로 지정됐다. 하지만 개체수가 감소해 1978년 8월 종 자체를 천연기념물 제259호로 지정해 보호했다. 그러나 분포지역과 개체수가 지속적으로 줄어들면서 금강에서는 1970년대 후반 이후 지역절멸했으며, 2022년 12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등재됐다.

이에 수과원 중앙내수면연구소는 금강에서 절멸한 어름치의 서식지 내 복원과 종 보존을 위해 지난 1999년부터 같은 종인 한강 어름치를 활용한 친어양성과 인공수정을 통한 대량생산기술을 개발, 2001년 인공종묘 생산기술을 확립했다.

이후 금강 전 구간에서 어름치가 복원될 수 있도록 2001년 금강 상류지역인 전북 무주군의 남대천을 시작으로 금강 본류인 충북 옥천군(2013~2017)과 충남 금산군(2018~현재)에 인공종자 방류를 추진하는 한편, 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해마다 서식지 모니터링을 수행해왔다.

그 결과 2020년 이후 해마다 충남 금산군 일대의 금강 본류에서 산란을 준비중인 어미 어름치와 산란탑 및 20cm 이하 준성어의 서식이 확인됐다. 특히 올해에는 3~4cm 크기의 치어까지 확인했다고 수과원은 밝혔다.

이로써 서식지 내 복원 추진 연구 20여년 만에 무주군에서 충남 금산군 일대의 금강 본류지역에 어름치가 완전 정착해 복원에 성공한 것으로 수과원 측은 평가했다.

우동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지역절멸 상태까지 이른 우리 고유어종을 살리기 위한 여러 연구자들과 민간보존단체의 20여 년에 걸친 집념 어린 노력의 결과로 의미가 큰 성과"라며 "앞으로도 사라져가는 고유 담수어류의 복원과 종 보존, 그리고 내수면 수산자원 보호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동물성 식재료 쏙 뺐더니...탄소배출 확 줄어든 '지속가능한 한끼'

지속가능한 식단을 직접 먹어보면서 알아보는 특별한 토크콘서트가 서울 성수동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에서 열렸다. 기후솔루션 주최로 16일 오후

기후/환경

+

산불 트라우마 '의사결정' 능력에도 영향..."적절한 결정 못해"

산불 등 기후재해를 겪은 생존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잘 내리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오랜시간 기다리면 더 큰

"한국 2035년까지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어떻게?

우리나라는 국제감축 활용 없이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61% 감축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1일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 글로벌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