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년 갇혀있던 美범고래 '토키'...방류 앞두고 돌연 사망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8-22 16:46:45
  • -
  • +
  • 인쇄
▲공연명 '롤리타'로 유명한 범고래 '토키'. 53년만의 자유를 앞두고 마이애미 해양수족관에서 숨을 거뒀다. (사진=마이애미 해양수족관 SNS 계정)

미국 마이애미 해양수족관에 갇혀 살던 범고래가 53년만의 자유를 앞두고 갑자기 세상을 떠났다. 이에 전미에서 범고래를 추모하는 움직임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 18일(현지시간) 마이애미 해양수족관(Miami Seaquarium)은 소셜서비스(SNS)를 통해 범고래 '토키'(Toki)의 이같은 비보를 전했다. 사인은 신장질환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수족관 측은 지난 며칠동안 토키의 건강이 악화됐으며 의료진이 적극 치료했지만 결국 숨졌다고 설명했다.

범고래 '토키' 혹은 '토키테'(Tokitae)는 공연명 '롤리타'로 더 잘 알려진 범고래다. 또다른 이름은 아메리칸 원주민 부족인 루미족이 지어준 '스칼리첼테너트'(Sk'aliCh'elh-tenaut)로 불리기도 했다.

태평양 북서부에서 태어난 토키는 4살 때 포획돼 마이애미의 수족관에 갇혀 지냈다. 수족관의 범고래 중 가장 나이가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토키는 53년만에 바다에 방류될 예정이었으며, 이번주부터 운반용 슬링 착용 훈련을 시작한 참이었다. 토키가 죽자 그 슬링은 사체를 치우는 데 사용됐다. 사망 당시 나이는 57세였다.

범고래 토키의 죽음은 미국 전역에 큰 파문을 일으켰다. 19일 저녁 워싱턴주 휘드비섬과 마이애미 해양수족관 밖에서 촛불집회가 열렸으며 동물보호단체 페타도 18~19일 두 차례에 걸쳐 토키를 기리기 위한 집회를 열었다.

잉그리드 뉴커크(Ingrid Newkirk) 페타 회장은 성명서에서 "많은 사람들이 토키의 지옥같은 삶을 끝내고 해양보호구역에 풀어줄 것을 간청했지만 그 계획은 너무 늦었고 토키는 53년동안 갇혀지내며 단 1분의 자유조차 박탈당했다"고 비판했다.

페타는 대중으로 하여금 해양수족관을 방문하지 않음으로써 토키를 기릴 것을 촉구했다. 또 수족관이 보유 중인 다른 모든 고래들도 해양보호구역에 방생할 것을 수족관 측에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활동가들은 토키가 지내온 수족관의 열악한 환경 문제를 비판했다. 2021년 9월 미 농무부(USDA) 동식물검역국은 마이애미 해양수족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공연으로 인한 토키의 턱 부상, 열악한 수질 등 심각한 문제들이 발견됐다고 보고했다. 직원들을 상대로 진행한 인터뷰에서는 2021년말 토키를 비롯한 수족관 동물들에게 썩은 생선을 먹이다 3주만에 돌고래, 점박이물범, 매너티가 폐사한 사실도 드러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키의 소유주는 범고래를 야생에 풀어주면 전문적인 보호와 먹이를 빼앗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오랫동안 방생 요구를 거절해온 바 있다.

미 해양대기청 고래연구센터는 토키의 죽음에 대해 "그는 결코 잊히지 않을 것"이라며 비통함을 전했다. 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토키가 속한 미 남부 야생 범고래의 최근 개체수는 73마리다.

범고래를 한 공동체로 여기며 토키의 자유를 위해 오랫동안 싸워온 루미족도 애도를 표하며 "우리의 마음은 이번 소식에 영향을 받은 모든 이들과 함께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은행, 대한적십자사와 '기부신탁' 업무협약 체결

우리은행이 대한적십자사에 적십자회비를 전달하고 기부문화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우리은행이 성숙한 기부문화 확산을 위해 대한적십자

KB국민은행, 새내기 장애대학생 135명에게 노트북PC 지원

KB국민은행이 새내기 장애대학생 135명에게 최신형 노트북과 학습보조기구를 지원했다고 14일 밝혔다.KB국민은행과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지금까지 2

하나은행, 지역 상생 '대전 D-도약펀드' 1000억원 출자

하나은행이 지역 상생을 위해 '대전 D-도약펀드'에 1000억원을 출자한다. 하나은행이 대전광역시, 대전투자금융과 함께 지역 스타트업 혁신성장 지원 및

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소재 사업회사 유상증자에 '1조원 출자'

포스코홀딩스가 그룹 이차전지소재 사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책임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사업회사 유상증자에 총 9226억원을 출자하기로 했다.포스코

CDP 환경평가 A등급 기업은 2만2777개 중 2%에 그쳐

지난해 전세계 2만2700여개 기업 가운데 환경성과 평가에서 A등급을 받은 기업은 2%에 불과했다.국제비영리기구 CDP(옛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가 지난해

국내 기업 69.6% "탄소중립 경쟁력에 도움"...그러나 현실은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은 탄소중립 대응이 기업 경쟁력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지만 투자리스크 때문에 선뜻 실행하기 어려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기후/환경

+

훼손된 산림 회복속도 길어진다..."기온상승과 수분부족탓"

나무가 훼손된 산림이 기온상승과 강수량 부족 등으로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주

탄소만 줄이는 온실가스 정책...'탄소고착' 현상 초래한다

영국 정부의 탈탄소화 정책이 오히려 새로운 기술혁신을 제한하고, 장기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아랍에미

곤충도 못 버티는 '열대야'...도시 꿀벌 65% 줄었다

꿀벌을 비롯한 곤충도 열대야를 견디지 못하고 있다.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JMU) 연구팀은 독일 바이에른주 전역 179곳에서 곤충 현황을 조사해보니

30년간 전세계 해수면 10cm 상승..."상승속도 점점 빨라져"

해수면 상승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9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이 위성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993년 이후 지구의 해수면은 약 10c

'EU 기후목표' 환영했던 오스트리아 입장 돌변...왜?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의 '2040 온실가스 90% 감축'을 가장 먼저 환영했던 오스트리아가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EU 권고안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나서

트럼프, 국가기후평가 직원 400명 해고…美보고서 발간 종료?

트럼프 행정부가 국가기후평가(National Climate Assessment) 보고서 작성을 주도해온 과학자 및 연구자 약 400명을 해고했다. 이들은 지난 4월 28일(현지시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