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50세 미만 암 발병률' 30년새 79% 증가..,원인은?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9-06 18:17:25
  • -
  • +
  • 인쇄
▲1990년과 2019년 암 환자 및 사망자 분포 (사진=BMJ Oncology)

지난 30년간 전세계 50세 미만 암 발병률이 79% 증가했다. 

5일(현지시간) 영국 에든버러대학 연구팀이 1990~2019년 204개 국가·지역에서 29개 암을 분석한 '세계 질병 부담'(Global Burden of Disease) 데이터를 조사한 결과, 연간 신규 암 환자가 이같이 늘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14~49세 연령층의 암 신규 발병, 사망의 기여 위험요인 등을 조사하고 1990년에서 2019년 사이의 연간 변화율을 분석해봤더니, 2019년 50세 미만의 암 진단 건수가 총 326만건으로 1990년 182만건보다 79.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조기 발병 암(early-onset cancers)으로 인한 사망률은 1990년 83만명에서 2019년 106만명으로 27.7% 증가했다.

가장 빠르게 급증한 암은 기관지암·전립선암이었고 사망자가 많은 암은 유방암·기관지암·폐암·장암·위암 순이었다.

특히 유방암은 세계 인구 10만명당 환자 13.7명, 사망자 3.5명으로 조기 발병 및 사망률이 가장 높았다. 기관지·폐·위·장암이 그 뒤를 이었고, 사망 증가율이 가장 가파르게 오른 암은 신장암과 난소암이었다.

조기 발병률이 가장 빠르게 증가한 암은 기관지암과 전립선암으로 각각 연간 2.28%와 2.23%로 늘었다. 반면 조기 발병 간암은 매년 2.88%씩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조기 암 발병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북미(10만명 당 273.2명), 가장 낮은 곳은 사하라 이남 서부 아프리카(10만명 당 37.4명)로 나타났다. 조기 발병 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은 곳은 오세아니아(10만명당 39.1명), 동유럽(10만명당 33.7명), 중앙아시아(10만명당 31.8명) 등이었고, 낮은 지역은 고소득 아시아·태평양 지역(10만명당 16.3명)이었다.

암은 노년층에서 흔하게 발생하지만 1990년대 이후 50대 미만에서 발병률이 증가했다는 증거들이 많이 나왔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2030년 전세계 조기 발병 암 환자 수와 관련 사망자 수가 각각 31%, 21% 더 증가하고 40대 연령층이 가장 취약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 원인으로 유전적 요인과 더불어 붉은 육류 및 염분 위주에 과일과 우유가 적은 식단, 알코올, 흡연, 신체활동 부족, 과체중, 고혈당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았다.

벨파스트 퀸즈대(QUB) 공중보건센터 애슐리 해밀턴 교수는 "생활습관이 이러한 추세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지만 확실하지는 않다"며 "조기 발병 암에 대한 최적의 치료법을 찾는 것과 더불어 예방 및 조기 발견을 위한 조치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의학저널 'BMJ 종양학'(BMJ Oncology)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은행 'K-택소노미 AI' 도입으로 녹색금융 지원 강화

우리은행은 시중은행 최초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여신 심사에 활용하는 'K-택소노미 전문상담 AI'를 도입했다고 25일 밝혔다. 'K-택소노미'는 지난 202

金총리 "태양광·풍력 대폭 확대…RE100 전용 산업단지 조성할 것"

김민석 국무총리가 탄녹위 주최 콘퍼런스에 참가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부 차원의 에너지 대전환 추진 의지를 분명히 했다.김민석 국무총리는 22

상가 셔터가 작품으로 변신...KCC, 5명 작가와 을지로에 '셔터아트'

최근 젊고 힙(Hip)한 공간으로 탈바꿈하며 '힙지로'로 불리우는 을지로가 KCC의 컬러로 물들고 있다. KCC는 '셔터 아트 프로젝트'를 통해 서울 을지로 일

신한은행, 한국형 녹색채권 1000억원 발행..."녹색수송 사업에 투입"

신한은행은 22일 환경부가 주관하는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이차보전 지원사업'에 참여해 10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했다.한국형 녹색채

"영농형 태양광, 활성화하려면 '농민·농업' 중심 정책 일관돼야"

영농형 태양광을 활성화하려면 농민과 농업을 중심으로 일관되게 단계적인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이 나왔다.최근 정부는 농촌 인구소멸과 에너지

포스코이앤씨 감전사고 外근로자 8일만에 깨어나..."음식물도 섭취"

포스코이앤씨 고속도로 연장 공사현장에서 감전을 당해 의식불명에 빠졌던 30대 미얀마인 근로자가 건강을 회복했다는 소식이다.21일 연합뉴스에 따르

기후/환경

+

"생수·햇반·컵라면으로 살아요"...강릉 시민들, 물 부족에 아우성

서쪽지역은 최대 100mm의 폭우가 예보돼 있지만 강원도 강릉은 극심한 가뭄으로 물 부족 사태가 극에 달했다.지난 20일부터 계량기의 50%를 잠그는 제한

경기도, 퇴근길 폭우 대비 오후 6시 '비상1단계' 발령

퇴근길 폭우가 예상됨에 따라, 경기도가 25일 오후 6시를 기해 '비상1단계'를 발령한다.경기도는 25일부터 26일 오전까지 경기 북부와 남동부 지역을 중

알프스는 녹고 해변은 사라지고...관광산업 종말 오나?

기후변화로 폭염과 산불 등이 빈번해지면서 80년 후 관광산업이 사라질 수도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지속가능한 교통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자인 스테

[날씨] 내일까지 중서부 '세찬 비'...가뭄 겪는 강릉은 '찔끔'

25일 인천과 서해안 지역에서 시작된 비는 중부지방으로 범위를 넓히면서 26일까지 이어지겠다. 서쪽과 중부지역은 매우 강하게 비가 내리겠지만 현재

3V 저전력으로 CO2 95% 포집 기술 '세계 최초' 개발

3볼트(V) 스마트폰 충전전압 수준의 저전력으로 95% 이상 고순도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는 기술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AIST)

아마존 보호해제...브라질 '콩 모라토리엄' 19년만에 중단

COP30 의장국인 브라질이 '콩 모라토리엄'을 19년만에 중단하면서 아마존 열대우림이 파괴될 위기에 처했다.21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브라질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