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과잉발주 좌초자산 리스크 세계최대...2030년 LNG운반선 수요 62% 초과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10-14 09:00:03
  • -
  • +
  • 인쇄


한국이 전세계에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좌초자산 리스크에 가장 크게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독일 기후분석 전문기관 클라이밋애널리틱스(Climate Analytics)가 보고서를 발간해 LNG 예상수요와 LNG 운반선 발주현황을 비교한 결과, 2030년에 이르면 LNG 수송용량이 LNG 수요의 최대 62%를 초과해 LNG 운반선 400척이 과잉상태가 된다는 전망이다. 특히 2024년 현재 한국은 전세계 LNG 운반선 발주량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어 좌초자산 리스크에 가장 크게 노출된 상황이다.

보고서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1.5℃, 1.7℃, 2.4℃ 제한하는 시나리오에 따라 2030년, 2035년 LNG 수요와 LNG 수송용량의 공급과잉 정도를 분석했다. 가장 엄격한 1.5℃ 시나리오에 따르면 2030년 LNG 수송용량은 LNG 수요를 62% 초과하고, 2035년에 이르면 154%를 초과한다. 이는 약 630척의 과잉공급 상태로, 생산성이 급락하면서 금융 투자자, 조선소, 선주사 모두 리스크에 맞닥뜨릴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가장 보수적인 2.4℃ 시나리오로 보더라도 2030년 LNG 수송용량은 LNG 수요를 40% 초과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운반선 수로 따졌을 때 275척이 초과 공급되는 것을 의미한다.

▲3개 시나리오에 따른 LNG운반선 수송용량 공급과잉 추세 (자료=기후솔루션)


하지만 LNG 선박의 신규 발주는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 2024년부터 2026년까지 LNG 운반선 251척이 인도될 예정이며, 이는 2023년 기준 전체 운영 중인 LNG 선박 용량의 38%에 해당한다. 2023년에는 선박 64척이 발주됐고, 올해는 5개월 만에 이미 55척의 신규 발주가 이뤄졌다. 2030년까지 한국에서만 120척 이상의 LNG 운반선이 추가로 인도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보고서는 "과잉공급이 지속될 경우 한국 LNG 선박 산업이 경제적 좌초 자산으로 투자 손실을 겪을 것"이라며 "화석연료 운송 사업에 계속해서 자본을 투입하는 것은 시장에서 더 큰 손실을 초래할 위험한 도박이 될 뿐 아니라,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글로벌 에너지 전환 속에서 한국이 중요한 기회를 놓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조선업계가 기존 기술력과 공급망을 바탕으로 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한 사업과 연계하는 등 전환을 위한 돌파구를 마련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기후솔루션 가스팀 오동재 팀장은 "한국은 풍력 터빈 설치 선박(WTIV), 해상 풍력 하부 구조물 등과 같은 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조선 기술 및 공급망이 있다"며 "글로벌 에너지 전환의 흐름에 따르는 산업전환이 한국의 경제와 산업을 구할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