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유플러스가 구글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에 이어 클라우드 업계 1위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인공지능(AI) 분야에서 힘을 합친다.
홍범식 LGU+ 대표는 5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5' 현장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빅테크들과의 협력을 통해 치열해지는 글로벌 AI 경쟁에 대응해나간다는 비전을 발표했다.
이날 LGU+는 구글에 이어 AWS와 협업도 추진중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홍범식 대표는 "AWS의 제안으로 양사가 소버린(자립형) AI, AI 콘택트센터(AICC), AI 컨설팅 등 세 가지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소버린 AI는 자국의 데이터와 인프라를 동원해 만든 AI 모델로 공공·금융·의료 등 개인정보에 민감한 기업·기관이 해외 정보 유출을 줄이고 한국에 특화한 모델로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데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LGU+는 전날 MWC 2025 현장에서 AI 에이전트 익시오에 구글의 AI 모델 제미나이를 적용하기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LGU+는 제미나이 적용으로 익시오는 정교한 분석, 요약, 추천이 가능한 '액셔너블 AI'로 진화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홍 대표는 "구글은 일반적으로 함께 기술을 개발하고 그 기술을 파트너사가 판매하면 그 가운데 일부를 배분받는 방식으로 사업하는데, 이번처럼 시장 진출을 함께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며 "구글과는 올해부터 2028년까지 3억달러(4300억원)의 제휴 가치 창줄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일본 KDDI로부터 AI 분야 협업을 제안받아 검토중에 있는 등 글로벌 협력을 넓혀가면서 AI 분야 선두 싸움에 임할 전망이다.
홍 대표는 "통신 시장에서는 후발주자이지만 AI 시대에는 선발주자가 될 것"이라며 "엔터프라이즈 사업에서는 기존 구축형 사업이 아닌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사업을 통해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사업을 키우는 형태로 시장을 선점하겠다"고 말했다.
LGU+는 AI 사업 추진에서 'Assured(안심할 수 있는), Adaptive(딱 맞는), Accompanied(일상을 함께하는), Altruistic(이타적인)' 등 4A 전략을 중심으로 '보안'을 최우선으로 둘 것이라고 밝혔다. 다른 AI 프로젝트가 혁신을 기반으로 마지막에 보안을 점검하는 것과 반대로 보안 중심의 토대를 쌓는 것부터 시작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LGU+는 MWC 2025에서 '익시 가디언'이라는 명칭으로 AI 분야의 보안 기술인 안티딥보이스, 온디바이스 소형 언어모델(sLM), 양자암호(PQC) 기술 등을 선보였다.
홍 대표는 "실제 AI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이용을 고려하는 고객들을 인터뷰한 결과, 약 82%가 보안을 가장 큰 걱정거리로 꼽았다"며 "단순히 매출을 키우는 전략보다는 의미 있는 수익 성장을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사업을 이끌어가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