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사 밀집한 성남시 '게임=중독' 공모전...게임업계 '기가막혀'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6-16 18:30:58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10여년째 이어지고 있는 게임중독 논란에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

성남시가 16일부터 오는 8월 17일까지 진행하는 중독예방콘텐츠 공모전에서 '게임=중독'이라고 표현한 것에 대해 게임업계의 잇딴 반발이 터져나오고 있다. 

남궁훈 게임인재단 공동이사장은 이날 자신의 소셜서비스(SNS)를 통해 "게임사들이 밀집한 판교가 있는 성남시에서 게임을 4대 중독이라고 표현하는 시대착오적인 발상을 하는 성남시 공무원들"이라며 강도높게 비판했다.

실제로 성남시에 있는 판교에는 넥슨과 엔씨소프트, 카카오게임즈 등 국내 간판급 게임사들이 즐비하게 있다. 그런데 성남시는 지역경제에 이바지하고 있는 이 게임업체들을 향해 '게임을 중독'이라고 규정해버린 것이다. 

게다가 이재명 정부가 들어서면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타당한 증거가 확보되기전까지 게임에 대한 질병코드가 국내 도입되는 것을 유보하는 등 침체된 국내 게임 되살리기에 나서고 있는데 성남시에서 이와 상반되는 내용으로 공모전을 진행한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도 이번 대선 과정에서 자신의 SNS에 게임 질병코드 도입 유보 등이 포함된 '9대 취향 저격 공약'을 발표하며 게임제도 개선을 시사한 바 있다.

게임을 포함한 '4대 중독'이라는 표현은 지난 2013년 당시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신의진 전 의원이 법안을 발의하면서 나온 것이다. 해당 법안에서는 게임을 알코올, 마약, 도박과 동일하게 중독을 유발하는 것으로 간주했다. 이 법안은 당시에도 큰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다. 

그런데 국민의힘 출신이 시장으로 재직중인 성남시가 이재명 정부가 출범에 맞춰 '게임=중독'으로 규정하는 중독예방콘텐츠를 공모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논란이 불거지자 성남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는 "세계보건기구(WHO)에 인터넷게임 중독이 질병으로 명시돼 있다"고 반박했다. WHO 국제질병분류 ICD-11에 '게임 이용장애'를 정신질환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해당 질병코드를 국내에 그대로 적용할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은 뉴스트리와 통화에서 "게임의 중독 카테고리화 논란은 지난 2013년부터 벌써 10년 넘게 이어지고 있다"며 "국내 게임사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에 대한 의지가 싹트고 있는 시점에 이같은 논란은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게임이 4대 중독에 포함되어 있는 공모전 안내문(사진=성남시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홈페이지 캡처)


한국게임이용자협회가 전국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의 중독관리 대상 표기 현황을 조사해보니, 성남시뿐 아니라 파주시, 김해시, 부산 사상구 등 10여개 센터에서 게임을 4대 중독관리 대상으로 명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30여개 센터는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항목이 사실상 게임중독을 묻고 있거나 세부항목에서 '게임 중독'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에 협회는 공개 청원을 통해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내 정신건강복지법에 명시되지 않은 '게임'이라는 표현을 즉시 삭제할 것과 성남시를 포함한 각 지역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가 중독관리 대상에 게임을 명시하지 않도록 지도·권고해 줄 것을 요청했다. 동시에 보건복지부가 홈페이지에 '인터넷 게임'을 중독 관리 대상으로 명시하게 된 근거 자료와 결정권자, 중독 관리 대상 관련 가이드라인 등의 자료에 대한 정보를 공개할 것을 청구했다.

이철우 한국게임이용자협회장은 "게임은 2022년 문화예술의 범주에 포함됐고, 2024년에는 한국인이 가장 즐겨찾는 취미로 선정되는 등 사회적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며 "게임을 중독관리 대상으로 내세우는 정책은 이같은 사회적 흐름을 역행하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한국게임산업협회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새 정부가 게임 산업 진흥을 약속하며 업계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던 상황에 이같은 논란이 터져 유감스럽다"면서 "오히려 이를 계기로 확실하게 근거없이 부정적인 낙인을 찍는 중독 논란을 멈춰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참붕어빵' 제품에서 곰팡이...오리온 "전량 회수조치"

오리온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가 검출돼 전량 회수 조치가 내려졌다.오리온은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 발생 사례가 확인돼 시중에

F1 '넷제로' 향한 질주 5년만에 탄소배출량 26% 줄였다

영화 'F1 더 무비' 개봉과 함께 서킷 위 스피드에 열광하는 팬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포뮬러1(F1)은 탄소중립을 향한 질주도 이어가고 있다. F1은 2019년 '20

수자원공사, 재난구호용 식수페트병 '100% 재생원료'로 전환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재난구호용으로 지급하는 식수페트병을 100% 재생원료로 만든 소재를 사용한다고 23일 밝혔다. 수자원공사가 제공하는 이 생

친환경 사면 포인트 적립...현대이지웰 '그린카드' 온라인으로 확대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의 토탈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이 녹색소비생활을 촉진하기 위해 친환경 구매시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그린카드 적립서비스

SK AX, ASEIC과 51개국 제조업 탄소중립 전환 나서

SK AX가 'ASEIC'과 손잡고 국내외 51개국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공급망 탄소관리, 기후공시 등 탄소중립 전환을 돕는다. SK AX은 ASEIC(아셈중

쿠팡 '비닐봉투' 사라지나?...지퍼 달린 다회용 '배송백' 도입

쿠팡이 신선식품 다회용 배송용기인 프레시백에 이어, 일반 제품 배송에서도 다회용 '에코백'을 도입한다.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는 인천, 부산, 제

기후/환경

+

전국 97%가 '지글지글' 폭염...2개의 고기압에 또 '열돔' 현상?

찌는 듯한 무더위가 이어지는 가운데 서울은 11일만에 다시 폭염경보가 발령되는 등 전국 97%에 폭염특보가 내려졌다.기상청은 24일 서울 전역과 경기

서식지 파괴로 중앙아메리카 수목종 46% '멸종위기'

멕시코 등 중앙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수목종의 46%가 멸종위기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23일(현지시간) '국제식물원 보존연맹' 연구팀은 인간활동과 기

'4대강 보 철거' 15년 숙원 이뤄지나...환경장관 "금강부터 재자연화"

'4대강 보'를 놓고 15년째 이어오던 논란이 종지부를 찍을 전망이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24일 금강 수계의 세종보와 백제보 그리고 금강 하굿둑 현장

F1 '넷제로' 향한 질주 5년만에 탄소배출량 26% 줄였다

영화 'F1 더 무비' 개봉과 함께 서킷 위 스피드에 열광하는 팬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포뮬러1(F1)은 탄소중립을 향한 질주도 이어가고 있다. F1은 2019년 '20

매년 탄소 130억톤 흡수하는 균류...90%는 보호구역 밖 서식

식물 뿌리 안쪽과 땅속에 서식하는 균근균은 매년 130억톤의 탄소를 흡수하지만 90% 이상이 보호구역 밖에서 서식하고 있어 보호대책이 필요하다는 지

국제사법재판소 "기후위기 대응 안하면 국제법 위반"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이 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국제법 위반일 수 있다는 국제사법재판소(ICJ)의 판단이 나왔다. 기후변화로 피해를 입은 나라가 선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