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44% "국민연금 석탄발전 투자 줄여야 한다"

장다해 기자 / 기사승인 : 2025-06-24 10:08:06
  • -
  • +
  • 인쇄
▲ 지난 4월 출범한 시민사회 연대체 '국민연금기후행동' (사진=국민연금기후행동)

우리나라 국민 44%가 국민연금이 석탄발전 투자를 중단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연금기후행동 연대체의 기후솔루션은 '기후변화·에너지 국민인식조사'에서 응답자의 44%가 국민연금이 석탄발전 투자를 '축소'(완전 중단+점진적 축소)해야 한다고 답했다고 24일 밝혔다. 투자를 '확대'(필요시 확대+적극적 확대) 해야 한다는 응답은 24.7%에 그쳤다. 이번 조사는 기후솔루션 의뢰로 한국리서치가 지난 4월 18~28일 전국 18세 이상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석탄발전 투자 '축소'에 찬성한 응답자들은 '기후변화 대응과 온실가스 감축'(23.2%)과 '미래 에너지 전환 전략에 부합하지 않는 투자 리스크'(22.0%), '환경오염과 대기질 악화 우려'(20.9%)를 이유로 꼽았다.

반면 석탄발전 투자 확대에 찬성한 응답자들은 '에너지 수급 안정성 및 신뢰도 향상'(22.9%), '국가 에너지 안보 강화'(18.9%), '석탄의 비용 경쟁력'(17%) 등을 이유로 들었다.

기금 운용시 '수익성' 만큼이나 '국민적 공감과 합의'와 'ESG' 책임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응답이 나왔다. 국민연금이 투자 결정을 내릴 때 '수익성'이 우선시돼야 한다는 비율(40.5%)이 1순위였지만 '국민적 공감과 합의'(30.1%)와 'ESG'(22.8%)가 중요하다는 비율을 합한 것(52.9%) 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국민연금은 국내외 자본시장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지만, 석탄 산업에 투자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국민연금은 운용자산 1200조원에 달하는 글로벌 3위 공적 연기금이자 국내 최대 기관투자자다. 그러나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상위 10위 안에 드는 포스코홀딩스, 현대제철, 삼성전자 등에 지난해 3월 기준 39조522억원을 투자했다. 엑슨모빌, 쉘, BP 등 전세계 화석연료 대기업에도 지난해 2월 기준 4조1941억원을 투자해 2020년 보다 5.3배 늘었다.

국민연금은 지난 2024년 12월 탈석탄 선언 3년여 만에 석탄채굴·발전 기업에 대한 투자제한 전략을 도입했다. 그러나 석탄 기업의 기준을 '석탄 관련 매출 50% 이상'으로 설정해 글로벌 연기금 대비 완화된 기준을 적용하고, 국내 기업에 과도한 유예기한을 주는 등 실효성 없는 대책을 내놓아 '그린워싱'에 불과한 정책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이종오 사무총장은 "국민연금 금융배출량의 상당 부분이 화석연료 및 철강 등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에 대한 주식 및 채권투자를 통해 발생한다"며 "국민연금이 금융배출량 감축을 위해 투자 포트폴리오를 기후친화적으로 재조정하거나 적극적인 기후행동으로 화석연료 기업들의 에너지 전환을 촉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후솔루션 기후금융팀의 황보은영 연구원은 "국민연금은 기후 변화를 중점관리사안으로 지정하고 지난해 말 석탄투자 제한전략을 발표하는 등 기후 리스크에 대응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면서도 "해외 주요 연기금과 비교하면 규모나 실효성, 투명성 측면에서 분명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고 비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간] ESG 전략 마스터 클래스: 실전 가이드

전략(S)–공시(D)–성과(P)를 연결하는 ESG 설계 기준서가 출간됐다. 이 책은 ESG 전략이 의무공시 체계에 부합하고 기업가치 제고의 실질적 도구로

KCC·효성중공업 건설PU '콘크리트 탄산화' 억제해 건물 부식 예방한다

응용소재화학기업 KCC가 효성중공업 건설PU와 손잡고 콘크리트 건축물의 탄산화를 억제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융복합 기술을 공동 개발했다고 29일

HD현대오일뱅크, 폐수 처리비 450억 아끼려다 1761억 과징금 '철퇴'

환경부가 특정수질유해물질인 페놀이 함유된 폐수를 불법적으로 배출한 HD현대오일뱅크에 대해 '환경범죄 등의 단속 및 가중처벌에 관한 법률'(이하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실사도 의무화해야"

올 6월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대응 관련조항이 빠져있어, 이를 추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기업인권환경실사법'은 기업의 인권과 환

아워홈, 실온에서 분해되는 ‘자연생분해성 봉투’ 2종 개발

아워홈은 ESG 경영 강화를 위해 친환경 제품 2종을 개발해 전국 단체급식, 외식 매장에 도입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친환경 제품은 자연생분

남양유업 ‘찾아가는 친환경 교실’ 참가 초등학생 1000명 모집

남양유업은 서울·경기권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친환경 교실' 하반기 교육신청을 오는 9월 9일까지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한다고 28일 밝

기후/환경

+

이 정도일 줄이야?...매일 미세플라스틱 6만8000개 '꿀꺽'

한 사람이 매일 6만8000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집안이나 차에서 흡입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28일(현지시간) 나디아 야코벤코 툴루즈대학 박사가

상반기 세계 온실가스 또 늘었다..."美 화석연료 사용 증가탓"

올 상반기동안 미국 제조업 분야의 탄소배출량이 증가하면서 전세계 탄소배출량이 늘어나는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나타났다.비영리단체 클라이밋 트

100년에 한번이던 유럽 대형산불..."기후변화로 10년꼴로 발생"

최근 그리스와 튀르키예, 스페인 등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한 가운데 앞으로 유럽에서 이같은 산불이 발생할 가능성이 10배 높아졌다는 연구결과다.세

해상풍력 확대 필요하지만..."인권·환경 보호장치도 마련해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인권과 환경을 두루 고려해야 지속가능한 전환이 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이 입을 모았다.29일 국회 기후위기탈탄소경제

'톨루엔·자일렌' 화학물질...규제대상 아니라고 배출하다 '딱' 걸렸다

경기도의 일부 산업시설에서 미규제 오염물질을 계속해서 배출해온 것으로 드러났다.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경기 북부 산업시설 5종을 대상

'시베리아 흙탕물' 확산..."원인은 기후변화로 약해진 해류"

기후변화로 북극해 해류 흐름이 변하면서 시베리아 흙탕물이 수백km 밖까지 퍼지고 있다.극지연구소는 전미해·정진영·양은진 박사 연구팀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