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세계가 탈석탄을 가속화하는데 한국과 일본은 석탄발전소의 수명을 연장하는 방향으로 기후목표와 어긋나는 정책을 지속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석탄발전소에서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미미한 암모니아 혼소 기술을 배출 저감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비영리 연구기관인 글로벌 에너지 모니터(Global Energy Monitor, GEM)가 3일 발표한 연례보고서 '붐 앤 버스트 석탄 2025(Boom and Bust Coal 2025)'에 따르면 전세계 석탄발전소 신규 건설 규모는 2024년 44기가와트(GW)로, 20년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또 지난해 전세계 석탄발전 용량은 중국과 인도가 신규 용량을 늘리면서 18.8GW 순증을 기록했지만 석탄발전소를 퇴출시킨 국가들이 신규 건설한 곳보다 많아 전체적으로 용량이 9.2GW 감소했다. 신규 석탄발전소 건설을 제안하는 국가도 2015년 65개국에서 2024년 33개국으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이처럼 주요 선진국들은 탈석탄 행보에 앞장서고 있다. 특히 G7 국가 가운데 일본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은 모두 2030년까지 석탄발전을 퇴출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한국과 일본은 기존 석탄발전소의 수명을 늘리며 이 흐름에 역행하고 있다.
한국은 올 1월 삼척블루파워 2호기(1GW) 상업운전을 개시했으며, 현재 41GW의 석탄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절반 이상의 석탄발전소에 대해 20% 암모니아 혼소를 적용하고, 2050년까지 암모니아를 보조 연료로 유지할 계획이다.
일본 역시 총 55GW의 석탄발전소 중 일부에서 암모니아 혼소 실증을 진행 중이며, 2050년까지 100% 암모니아 발전소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나아가 일본 정부는 개발도상국에도 해당 기술의 수출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국제에너지기구(IEA)는 1.5℃ 목표 달성을 위해 OECD 국가들은 2030년 전후까지 석탄발전을 퇴출해야 하며,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실질적인 배출 감축을 인정받으려면 최소 90% 이상의 감축효과가 필요하다고 강조해왔다.
보고서는 암모니아 혼소가 두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며 "고비용, 저효율, 수명연장 영향 외에 기후목표에도 기여하지 않는 전략"이라고 비판했다.
GEM은 이러한 행보가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 파트너십(JETP)'을 비롯한 글로벌 탈석탄 흐름에 반할 뿐 아니라, 석탄발전소의 수명을 연장시켜 기후위기 대응에 역행한다고 지적했다.
키코 네트워크 프로그램 에반 개치 코디네이터는 "기후목표 달성을 위해 이 기술을 사용하기엔 시기적으로 이미 늦었다"며 "암모니아 조달 비용이 너무 비싸고, 암모니아 혼소가 탄소배출량을 의미있게 줄이지 못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고 말했다.
기후솔루션 홍영락 연구원은 "한정된 시간과 에너지를 투자해 생산한 암모니아를 석탄발전소에 연소시키는 것이 아닌, 재생에너지 기반의 그린수소로 생산된 그린 암모니아를 철강과 같은 기존의 산업 부문 탈탄소화에 사용해야 한다"며 "발전 부문 탈탄소화의 핵심은 혼소 발전 확대가 아니라 태양광, 풍력 등 청정에너지와 에너지저장장치(ESS) 투자 확대, 전력망 강화다"라고 말했다.
한편 보고서의 기반이 되는 글로벌 석탄발전소 추적기(Global Coal Plant Tracker, GCPT)는 전세계 30MW 이상 석탄발전소의 가동, 건설, 퇴출 정보를 수집·관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오픈 데이터베이스로, 1월과 7월 연 2회에 걸쳐 업데이트된 내용을 공개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