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지구온도 1.25℃ 상승…전세계 극단적 기후패턴 두드러져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8-07 13:10:25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7월 전세계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25℃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여파로 지구촌 곳곳에서 폭우가 쏟아져 피해가 잇따랐다.

6일(현지시간)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비스(C3S)에 따르면 올 7월 전세계 평균기온은 16.68℃로 평년보다 0.45℃ 높았다. 이는 2023년과 2024년에 비해 세번째로 높은 기록이다. 산업화 이전과 비교하면 1.25℃ 높다.

2024년 8월부터 2025년 7월까지 1년간 평균기온은 산업화 이전보다 1.53℃ 높게 나왔다. 전세계는 지난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에서 산업화 이전대비 지구 평균기온을 1.5℃ 이내로 억제하기로 합의한 바 있는데 이 임계점을 넘어버린 것이다. 임계점을 계속해서 넘게 되면 지구는 기온상승으로 해수면 상승, 생태계 파괴 등으로 돌이킬 수 없는 상태가 된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다.

극지방 해빙도 줄었다. 북극 해빙 면적은 평년보다 10% 줄어들면서 역대 두번째로 작아졌다. 남극 해빙도 평년보다 8% 줄어서 역대 세번째로 작아졌다. 해빙 면적이 줄어들면 극지방에 내리쬐는 햇빛을 반사하지 못해 해수면 온도가 올라가게 되고, 그로 인해 다시 해빙이 녹으면서 해수면 상승을 부추긴다. 실제로 전세계 평균 해수면 온도는 20.77℃로, 역대 7월 가운데 세번째로 높았다.

극심한 차이를 보인 것은 강수량이었다. 미국 동부와 멕시코 북부, 인도 북부, 중국 동·남부, 러시아 동부 등은 예년보다 많은 비가 내려 홍수 피해가 속출했다. 반면 북유럽과 그리스, 발칸반도, 흑해 연안, 프랑스 남부는 예년보다 훨씬 건조해 곳곳에 산불이 발생했다.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었지만 폭우성 강우로 비 피해를 입은 곳도 많았다. 우리나라는 7월 중순 남쪽의 고온다습한 대기와 북쪽의 차고 건조한 대기가 충돌하면서 폭이 좁은 구름대를 형성해 일부 지역에 '극한폭우'가 쏟아져 피해가 발생했고, 일본도 지난 7월 11일 도쿄에 시간당 100㎜를 넘는 '기습폭우'로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

극한폭우가 내린 곳은 고기압 영향권에 놓여 연일 폭염에 시달리고, 해수면 온도가 올라갔다는 공통점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전체적인 지구 기온 상승이 고기압 세력을 키우면서 이같은 극단적인 기후패턴이 늘어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대한항공, SAF 사용확대...고베·오사카 노선도 국산SAF 1% 혼입

대한항공은 국내에서 생산한 지속가능항공유(SAF·Sustainable Aviation Fuel)를 사용하는 상용운항 노선을 확대한다고 22일 밝혔다.SAF는 폐기름, 동·

폐기된 서버 '로그기록' 있었다...KT, 소액결제 사태 새로운 단서?

KT가 폐기한 서버에서 로그기록이 별도로 백업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중국 해커집단의 국내 통신사 해킹 수법의 새로운 단서가 될지 주목된다.22일 KT가

하이트진로, 제주 이호테우해변서 ‘해변 가꾸기’ 환경정화

하이트진로가 '국제 연안 정화의 날'을 맞아 지난 19일 제주 이호테우해변에서 환경정화활동을 펼쳤다고 22일 밝혔다.하이트진로는 2020년 제주 표선해

2027년부터 국내급유 국제선 지속가능항공유 '1% 의무화'

2027년부터 국내에서 급유하는 모든 국제선 여객기에 지속가능항공유(SAF) 1% 혼합이 의무화된다.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항공업계 탄소중

대기업 취업시장 '활짝'…하반기 2만5000명 채용한다

삼성과 현대차 그리고 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하반기 대규모 신규 채용에 나사면서 침체됐던 취업시장이 활기를 띨 것으로 보인다.19일 재계에 따

[알림]'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혁신 어워즈'...씨이텍 등 6개 기업 시상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진 기후테크 스타트업을 발굴하는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혁신 어워즈' 수상기업으로 선정된 6개사에 대한 시상식이 19

기후/환경

+

"美 산불 연기로 2050년까지 190만명 사망할 것"

북미지역에서 발생하는 산불 규모가 매년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에서 산불 연기로 인한 사망자가 2050년까지 190만명에 이를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

美서 '살 파먹는' 박테리아 번성...기후위기 때문이라고?

올해 미국 루이지애나주 해안에서 일명 '살 파먹는' 박테리아로 인해 5명이 사망했다. 기후변화로 인해 박테리아가 번성한 것이 원인이라는 지적이다.1

붉게 변하는 알래스카 연어 하천…녹고있는 영구동토층이 원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알래스카 북부 브룩스 산맥의 하천이 주황빛으로 변하며 새로운 수질 위기가 드러났다.미국 워싱턴대와 알래스카대 연구진은 9

트럼프는 반친환경 정책 펴지만...美 '기후주간' 역대 최대 규모로 개막

'클라이밋 위크(Climate Week) 2025'가 미국 뉴욕에서 21일(현지시간) 8일간의 일정으로 개막했다. 이번 행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반친환경적 정

저수율 52%로 가뭄 벗어났지만...강릉, 투명페트 쓰레기에 '몸살'

강릉은 열흘전만 해도 저수율이 11.5%까지 떨어져 최악의 상황에 직면했지만 최근 잇달아 내린 비 덕분에 저수율이 52%까지 높아지면서 가뭄에서 벗어났

가뭄 벗어난 강릉...단비에 도암댐 방류덕에 저수율 50.8%

강릉이 드디어 가뭄에서 벗어났다. 몇 일 간격으로 내린 단비에 평창 도암댐 방류까지 시작하면서 저수율이 50%를 넘어섰다.강릉지역 생활용수의 87%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