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해외 탄소크레딧 구매로 탄소감축?..."탄소투자 위축" 비판

송상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8-08 11:59:43
  • -
  • +
  • 인쇄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전문가들의 자문도 거치지 않고 개발도상국 등 해외에서 탄소크레딧을 구매해 탄소감축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한 것이 뒤늦게 탄로나면서 지탄을 받고 있다.

EU는 204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90%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수립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개발도상국의 탄소감축 실적을 구매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EU 기후총국 전문가들의 자문을 전혀 받지 않은 것으로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확인돼 논란이 되고 있다. 지난해 공개된 2040년 목표 영향평가에도 탄소배출권 사용에 대한 분석은 포함되지 않았다.

EU 역외에서 감축한 실적을 확보해 목표 배출량을 달성하자는 논의는 올초부터 진행됐다. 그리고 최종안에 목표의 최대 3%포인트를 해외 감축분으로 충당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약 1억4400만톤 규모로, 네덜란드의 연간 배출량과 맞먹는 수준이다.

비영리단체 탄소시장감시(Carbon Market Watch)는 상한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해외에서 최대 7억톤의 배출권을 구매하게 될 수 있다고 추산했다. 현재 국제 탄소시장의 평균 가격은 톤당 5달러(약 7000원) 미만으로 거래되지만 EU에서는 약 82달러(11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EU 입장에서는 개발도상국 등 역외에서 탄소크레딧을 구매해 배출량을 충당하면 탄소감축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셈이다.

하지만 신뢰할 수 있는 해외 감축실적은 단가가 매우 높아서 EU 내부의 투자기회를 오히려 잠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탄소배출권을 누가 구매할지에 대해서도 정해진 것이 없다. 기업이 부담할 것인지, 납세자가 떠안게 될 것인지도 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외에서 탄소크레딧을 구매하면 역내 감축을 위한 투자여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고품질 배출권을 활용하면 감축 비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기후운동가와 과학자문위원단은 해외에서 탄소크레딧을 구매하는 것은 EU내 감축 노력을 약화시키고, 탄소거래제의 신뢰성을 해칠 수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특히 배출권 구매 비용이 EU 내부의 산업 탈탄소화 투자로 이어지지 못할 가능성을 우려했다.

이같은 우려에 집행위는 내년에 탄소배출권 사용에 관한 세부 입법안을 마련하고, 이 과정에서 경제적·환경적 영향을 포함한 '철저한 영향평가'를 제출하겠다고 약속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간] ESG 전략 마스터 클래스: 실전 가이드

전략(S)–공시(D)–성과(P)를 연결하는 ESG 설계 기준서가 출간됐다. 이 책은 ESG 전략이 의무공시 체계에 부합하고 기업가치 제고의 실질적 도구로

KCC·효성중공업 건설PU '콘크리트 탄산화' 억제해 건물 부식 예방한다

응용소재화학기업 KCC가 효성중공업 건설PU와 손잡고 콘크리트 건축물의 탄산화를 억제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융복합 기술을 공동 개발했다고 29일

HD현대오일뱅크, 폐수 처리비 450억 아끼려다 1761억 과징금 '철퇴'

환경부가 특정수질유해물질인 페놀이 함유된 폐수를 불법적으로 배출한 HD현대오일뱅크에 대해 '환경범죄 등의 단속 및 가중처벌에 관한 법률'(이하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실사도 의무화해야"

올 6월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대응 관련조항이 빠져있어, 이를 추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기업인권환경실사법'은 기업의 인권과 환

아워홈, 실온에서 분해되는 ‘자연생분해성 봉투’ 2종 개발

아워홈은 ESG 경영 강화를 위해 친환경 제품 2종을 개발해 전국 단체급식, 외식 매장에 도입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친환경 제품은 자연생분

남양유업 ‘찾아가는 친환경 교실’ 참가 초등학생 1000명 모집

남양유업은 서울·경기권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친환경 교실' 하반기 교육신청을 오는 9월 9일까지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한다고 28일 밝

기후/환경

+

이 정도일 줄이야?...매일 미세플라스틱 6만8000개 '꿀꺽'

한 사람이 매일 6만8000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집안이나 차에서 흡입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28일(현지시간) 나디아 야코벤코 툴루즈대학 박사가

상반기 세계 온실가스 또 늘었다..."美 화석연료 사용 증가탓"

올 상반기동안 미국 제조업 분야의 탄소배출량이 증가하면서 전세계 탄소배출량이 늘어나는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나타났다.비영리단체 클라이밋 트

100년에 한번이던 유럽 대형산불..."기후변화로 10년꼴로 발생"

최근 그리스와 튀르키예, 스페인 등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한 가운데 앞으로 유럽에서 이같은 산불이 발생할 가능성이 10배 높아졌다는 연구결과다.세

해상풍력 확대 필요하지만..."인권·환경 보호장치도 마련해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인권과 환경을 두루 고려해야 지속가능한 전환이 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이 입을 모았다.29일 국회 기후위기탈탄소경제

'톨루엔·자일렌' 화학물질...규제대상 아니라고 배출하다 '딱' 걸렸다

경기도의 일부 산업시설에서 미규제 오염물질을 계속해서 배출해온 것으로 드러났다.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경기 북부 산업시설 5종을 대상

'시베리아 흙탕물' 확산..."원인은 기후변화로 약해진 해류"

기후변화로 북극해 해류 흐름이 변하면서 시베리아 흙탕물이 수백km 밖까지 퍼지고 있다.극지연구소는 전미해·정진영·양은진 박사 연구팀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