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산로·둘레길에 깔린 야자매트에 플라스틱 섬유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광주환경운동연합은 광주지역 7곳에 설치된 야자매트를 조사한 결과 6곳에서 플라스틱 섬유가 확인됐다고 24일 밝혔다. 야자매트는 코코넛 껍질 섬유로 만들어져 자연분해되는 친환경 소재로 내구성이 좋아 바닥재나 포대 자루 등에 주로 쓰인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 6일부터 9일까지 시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광주지역 산책로 6곳과 국립공원 무등산 탐방로 1곳을 직접 찾아 현장을 점검했다. 조사결과 설치된지 오래됐거나 통행량이 많은 구간의 야자매트에서 수많은 플라스틱 섬유가 발견됐다.
이는 일부 제조사가 비용 절감과 내구성 강화를 위해 폴리에스터나 나일론 같은 합성 섬유를 혼합해 제작하면서 플라스틱이 검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플라스틱이 섞인 야자매트가 마모되면 합성 섬유가 끊어지면서 미세플라스틱이 남아 토양에 침투한다. 이렇게 침투한 미세플라스틱은 미생물 활동을 저해하고 통기성과 배수성을 떨어뜨려 토질을 악화시킨다.
광주환경운동연합은 "토양 속 미세플라스틱은 식물 뿌리 성장을 방해하고 지렁이와 같은 생물이 섭취할 경우 먹이사슬에 침투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며 "전수 조사를 실시하고, 플라스틱 섬유가 포함된 야자매트의 설치를 금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