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손' ABP, 화석연료 기업 '돈줄' 조인다...내년 1Q까지 20조 매각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10-29 16:20:36
  • -
  • +
  • 인쇄
ABP "투자중단 및 투자자산 매각" 결정
주주로서 에너지전환 가속화 위한 압박


세계 3대 공적연금인 네덜란드 공적연금(ABP)이 화석연료 기업에 대한 '돈줄'을 옥죄기 시작했다. 

최근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ABP는 화석연료 기업에 대한 투자를 중단하는 한편 이미 투자된 자산을 내년 1분기까지 모두 처분한다고 밝혔다. ABP의 자산규모는 총 5280억유로(716조원)로, 화석연료 기업에 투자한 비중은 전체 자산의 3%에 해당하는 174억달러(약 20조3500억원) 정도다. 여기에는 세계적인 정유기업 네덜란드 왕립 석유회사(로열더치쉘) 지분도 포함돼 있다.

매각대상은 석유와 천연가스, 석탄기업 등 화석연료 기업들이다. ABP는 기후변화로 인해 장기수익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다만 전력회사, 자동차기업, 항공사에 대해서는 유예기간을 둘 예정이다. 주주로서 기업들이 좀 더 지속가능하게 변화할 수 있도록 영향력을 행사하겠다는 의도다.

코리엔 보르트만 ABP 의장은 "지구온난화를 최소화해 기온상승을 1.5℃로 제한하는 데 기여하려 한다"며 "화석연료 생산자들에 대한 투자를 중단하는 이유는 주주로서 에너지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그들을 충분히 압박할 기회가 부족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ABP가 '기후위기를 저지하기 위한 마지막 기회'로 불리는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를 앞두고 이같은 성명을 발표한 이유이기도 하다.

네덜란드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대표 파이자 오울라센은 "ABP가 좋은 선례를 남겼다"면서 "ABP의 이번 조처는 매우 중요하며 석탄, 석유, 천연가스의 시대가 저물고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 이어 "화석연료를 퇴출시키는 것이 과학자들의 경고에 대한 유일한 논리적 답안"이라고 덧붙였다.

ESG 행동주의기관 '팔로우 디스'(Follow This)의 법률고문 맥킨지 우르쉬는 "법원 소송이 ABP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며 "주요 온실가스 배출기관에 대한 줄소송이 예고돼 있고, 이는 주요 정유사와 대형 투자자들이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책임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가이언을 통해 밝혔다.

자본시장의 탈탄소 추세는 앞으로 점점 더 거세질 전망이다. 블룸버그통신은 전세계 1500여개 기관이 화석연료 관련 산업에 투자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고 보도했다. 이들의 자산운용규모는 총 39조2000억달러(약 4경5798조원)에 달한다. 화석연료 투자회수 운동을 주도하는 '다이베스트인베스트'(Divest-invest)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이들 운동에 동참한 투자기관은 181개, 총 자산은 520억달러(약 60조7000억원) 규모였지만 7년이 지난 지금 기관수는 8배, 총 자산은 754배 늘었다.

일례로 캐나다 퀘벡투자신탁기금(CDPQ)은 투자 자산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극적으로 줄이기 위해 2022년말까지 4000억달러(약 468조원) 규모의 석유 관련 자산을 매각할 계획이다. 세계 최대 규모의 가족기금 포드재단은 올해 화석연료에 대한 투자를 멈추겠다고 밝혔고, 미국 하버드대학교 역시 화석연료 투자를 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북유럽 자산운용사 노르디아자산운용(Nordea Asset Management)은 포스코가 ESG 리스크를 안고 있다며 포스코 지분을 매각했다.

반면 자산운용규모가 900조원이 넘는 우리나라 국민연금공단은 ESG 투자를 늘리겠다고 선언했지만, 정작 투자결정을 할 때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관련 정보 가운데 환경 정보 입수율은 44%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동물성 식재료 쏙 뺐더니...탄소배출 확 줄어든 '지속가능한 한끼'

지속가능한 식단을 직접 먹어보면서 알아보는 특별한 토크콘서트가 서울 성수동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에서 열렸다. 기후솔루션 주최로 16일 오후

기후/환경

+

산불 트라우마 '의사결정' 능력에도 영향..."적절한 결정 못해"

산불 등 기후재해를 겪은 생존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잘 내리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오랜시간 기다리면 더 큰

"한국 2035년까지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어떻게?

우리나라는 국제감축 활용 없이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61% 감축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1일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 글로벌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