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재생에너지 종사자 4200만명이 될 것

기후변화 대응에 실패하면 전세계 GDP의 18%가 사라질 것이라고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이 경고했다.
11일 세계경제포럼(WEF)은 정치·재계·학계 등 각 분야 리더 1만2000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10년 이내 가장 심각한 위협으로 닥칠 10대 리스크를 담은 '2022 글로벌 리스크 리포트'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10년 내 전세계가 맞이할 가장 큰 리스크는 '기후변화 대응 실패'로 지목됐다. 만약 '리스크 1위'인 기후변화 대응에 자칫 실패할 경우 전세계 GDP의 18%에 달하는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나머지 9가지 리스크로 △극심한 날씨 △생물다양성 손실 △사회통합 훼손 △생계 위기 △감염병 △인간에 의한 환경 파괴 △천연자원 위기 △부채 위기 △지경학(Geo-economics)적 갈등으로 꼽았는데, 이 역시 기후위기 대응이 실패하게 되면 발생할 위협이 대부분이다. WEF는 "기후위기야말로 의심할 여지없이 인류가 직면한 최대의 장기적 위협"이라고 밝혔다.
WEF는 이에 따라 '넷제로(net-zero) 전환'에 대한 관심이 급부상할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지난해 11월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를 기점으로 기후위기에 대한 국제적 인식의 제고와 함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움직임이 탄력을 받았다.
하지만 파리기후변화협정이 설정한 인류생존의 마지노선 '1.5℃ 목표'가 무색하게 각국의 현행 목표 대로라면 2050년 지구 평균기온은 2.4°C를 향해 가고 있고, 가장 긍정적인 시나리오에서조차 1.8°C를 기록하면서 제한선을 넘어설 전망이다.
WEF는 각국 정부와 기업이 실질적으로 유효한 기후대응을 취할 수 있는 시간이 8년 남짓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했다. 이 때문에 WEF는 앞으로 급격한 전환이 이뤄지면서 각 조직 및 기관들이 업무를 수행하는 데 큰 어려움이 따를 것이며, 이는 곧 경제적 변동성을 높이고 금융체계를 불안정하게 만들 것으로 예상했다.
일례로 탄소세와 같은 각종 규제가 화석연료 의존도가 높은 공급망에 큰 타격을 입힐 수 있고, 기후변화에 민감한 소비자들이 탄소집약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불매하면서 수요 파괴도 함께 일어날 수 있다. 특히 2050년에 이르면 화석연료 산업분야 한 곳만 놓고 봤을 때 800만명의 실업자가 발생할 예정이다.
또 정부가 투자자들에게 화석연료 기업의 자산을 매각하도록 너무 심한 압박을 가할 경우 에너지 가격 불안정성과 에너지 안보 위기로 이어져 사회불안과 더 크게는 지정학적인 충돌까지 발생할 수 있다. WEF는 이같은 '무질서한 전환'은 피할 수 없으며, 상기한 위기 역시 빙산의 일각에 불과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WEF는 '무질서한 전환'이 '탄소중립 속도조절론'에 대한 변명거리로 쓰여서는 안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특히 기업들에 있어 '무대응'이 가장 큰 리스크로 작용할 것이라며 정부의 규제를 기다리기에 앞서 먼저 행동을 취하도록 촉구했다. 또 2050년 재생에너지 산업 종사자가 2018년 1100만명에서 4200만명으로 늘어날 것이라며 탄소집약적인 산업 분야 직원들에게 새로운 기술을 가르쳐 이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권고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