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우 전쟁은 ESG 외면이 빚어낸 참사"...ESG업계 자성의 목소리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3-15 08:10:02
  • -
  • +
  • 인쇄
러시아 CCC등급 강등에 "8년 늦었다"
수익성만큼 사회·환경 영향 고려해야


전세계 투자자들 사이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투자 실패'로 빚어진 참사라는 자성의 목소리가 퍼지고 있다.

전략기획 및 ESG 컨설팅업체 베라시티 월드와이드(Veracity Worldwide)의 창립자 스티븐 폭스(Steven Fox)는 최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SG 시대가 도래한 뒤 유럽 내에서 발발한 첫 전쟁"이라며 "기업들이 옆으로 물러앉아 가만히 보고만 있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블룸버그통신은 "ESG 투자가 활성화되면서 직원들과 소비자들이 기업에 대해 기대하는 수준이 높아졌고, 기업들이 모든 개별적인 사안에 대해 '도덕적 행위자'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근 10여년간의 상황을 놓고 봤을 때 기업과 투자자들은 전쟁이 벌어져도 최대한 기존의 수익모델을 염두에 두고 철수 여부를 판단했다면, 이번 러-우 전쟁이 서방세계에 가장 실질적인 위협으로 다가오면서 수익성 위주에서 가치 위주로 ESG 투자업계 분위기가 사뭇 달라졌다는 분석이다.

2018년 사우디아라비아의 반정부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가 터키 사우디아라비아 총영사관에서 암살된 사건 당시에도, 중국 신장의 위구르 자치구에서 벌어진 인권탄압, 홍콩 국가보안법 통과 등을 두고도 각국의 ESG 투자자들과 기업들은 별다른 조처를 취하지 않았다. 인권과 관계없이 해당 국가의 집권세력이 건재하다면 국채 등의 변동성이 줄어 수익성이 보장됐기 때문이다. 홍콩의 민주화 시위가 진압되고, 일상적인 경제활동이 재개되면서 2021년 중국의 외국인 직접투자는 14.9% 증가했다.

특히 러시아가 2014년 우크라이나의 크름반도(크림반도)를 강제로 합병했을 당시에도 투자자들의 반응은 미온적이었다. 이에 대해 870억달러(약 108조원) 규모의 자산을 운용하는 덴마크연금펀드(PFA) 사샤 베슬릭(Sasja Beslik) 지속가능성 부서 대표는 "현재 우크라이나의 비극이 벌어지기 8년전 이미 위험신호가 감지됐지만, 대부분의 펀드매니저와 ESG 분석가들은 아무런 조처도 취하지 않았다"며 업계차원에서의 각성을 촉구했다.

베슬릭 대표는 지난 8일 MSCI가 러시아 정부의 ESG 평가등급을 'B' 등급에서 'CCC' 등급으로 강등한 것에 대해 "8년 늦었다"며 "국가 리스크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고, 자산운용사들이 자체적인 분석없이 MSCI나 서스테인애널리틱스(Sustainalytics) 등 제3자인 ESG 데이터 분석업체들에 용역을 맡기면서 지나치게 의존한 탓"이라고 지적했다. MSCI의 ESG 평가등급은 'AAA' 등급부터 'CCC' 등급까지 총 7단계다.

이같은 성토가 이어지면서 투자운용사 거버가와사키(Gerber Kawasaki Wealth and Investment Management)의 로스 거버(Ross Gerber) 최고경영자(CEO)가 "중국을 우회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중국에 대한 투자를 비판하는 사람도 그 순간 중국에서 제조한 아이폰으로 타이핑을 하고 있고, 중국에서 만든 옷을 입고 있다"고 할 정도로 불문율로 여겨졌던 기존 투자자들의 중국에 대한 묵인이 깨지고 있다. 일례로 지난 8일 1조3000억달러(약 1615조원) 규모의 자금을 운용하는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중국 대표 스포츠브랜드 리닝이 중국 신장에서 중대한 인권침해를 저지르고 있어 이를 '수용불가능한 리스크'로 판단하고 투자대상에서 제외했다.

ESG행동투자기관 셰어액션(ShareAction)은 "투자자들은 진공속에서 자금운용을 하는 게 아니다. 결정을 내리든, 내리지 않든 투자자들의 행동은 세계에 영향을 미친다"며 "재무적 리스크 관리를 넘어 수익성만큼 사회와 환경에 대한 영향을 고려해야 진짜 책임투자자"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대한항공, 캐나다 2위 항공사 '웨스트젯' 지분 10% 인수

대한항공이 캐나다 2위 항공사 지분 10%를 인수하며, 글로벌 항공사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대한항공은 9일 오전 이사회를 열고 캐나다 웨스트젯 항

현대百 등 4개 계열사 자사주 취득..."주주가치 제고 차원"

현대백화점그룹이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 등 계열사 4곳의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약 3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추가 취득하기로 했다.현대백화점은

빙그레 대표이사에 ㈜제때 김광수 사장 내정

빙그레가 신임 대표이사에 ㈜제때의 김광수 대표이사를 내정했다고 9일 밝혔다.빙그레는 전창원 현 대표이사가 최근 개인적인 이유로 자진 사임 의사

LG화학, 협력사 탄소중립 지원 소매걷었다..."ESG경영 실천"

LG화학이 협력사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본격적으로 나선다.LG화학은 9일 '탄소중립 선도플랜트 구축 지원' 사업을 통해 우수 협력사인 우성케미칼의

비행기 탄소배출 막대한데...항공업계 탄소감축 '뭉그적'

항공산업은 전체 탄소배출량의 2~3%를 차지할 정도로 기후위기를 심화시키는 대표적인 운송수단으로 꼽히고 있지만, 이를 해결하려는 항공업계의 미온

삼성 '갤럭시S25' 美 'ReMA 재활용 디자인 어워드' 수상한다

삼성전자가 자사의 '갤럭시S25'가 북미 재활용산업협회 ReMA(Recycled Materials Association)가 수여하는 '2025 ReMA 재활용 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한다고 7일 밝혔

기후/환경

+

탄소배출권 거래제의 구멍?...탄소 줄고 독성물질 40% 증가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온실가스 감축에는 기여했지만 예상치 못한 또다른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허점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한국과학기술원(

"보험료 산정 어쩌나?"...美 NOAA, 기후손실액 추산 '올스톱'

미국의 국립해양대기청(NOAA)이 기후재난에 의한 손실액을 더이상 추산하지 않을 전망이다.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미국 상무부 산하기관으로, 일일 기

미국이 침몰한다?..."3380만명 침몰하는 땅에 살고있다"

미국인 3380만명이 침몰하는 땅에 살고있다는 충격적인 연구결과가 나왔다. 8일(현지시간) 미국 콜롬비아대학 레너드 오헨헨 연구팀이 발표한 연구에

무서운 '산불 연기'...美 15년간 1만5000명 사망

기후위기로 산불이 빈번해지면서 미국에서 매년 수천명이 사망하고 수십억달러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다.최근 발표된 니콜라스 나시카스 하버드대

지구온난화 책임은 '부유층'…상위 10%가 온난화 영향력 65% 차지

1990년 이후 세계 상위 10% 부유층이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력이 절반이 훨씬 넘는 6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7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국제응용

기후재난 피해는 젊은세대의 몫..."15억명이 폭염에 노출될 수도"

지구온난화가 심해질수록 젊은세대들은 폭염과 홍수, 가뭄, 산불, 흉작 등의 기후재난을 겪을 위험성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7일(현지시간) 벨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