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우 전쟁은 ESG 외면이 빚어낸 참사"...ESG업계 자성의 목소리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3-15 08:10:02
  • -
  • +
  • 인쇄
러시아 CCC등급 강등에 "8년 늦었다"
수익성만큼 사회·환경 영향 고려해야


전세계 투자자들 사이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투자 실패'로 빚어진 참사라는 자성의 목소리가 퍼지고 있다.

전략기획 및 ESG 컨설팅업체 베라시티 월드와이드(Veracity Worldwide)의 창립자 스티븐 폭스(Steven Fox)는 최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SG 시대가 도래한 뒤 유럽 내에서 발발한 첫 전쟁"이라며 "기업들이 옆으로 물러앉아 가만히 보고만 있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블룸버그통신은 "ESG 투자가 활성화되면서 직원들과 소비자들이 기업에 대해 기대하는 수준이 높아졌고, 기업들이 모든 개별적인 사안에 대해 '도덕적 행위자'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근 10여년간의 상황을 놓고 봤을 때 기업과 투자자들은 전쟁이 벌어져도 최대한 기존의 수익모델을 염두에 두고 철수 여부를 판단했다면, 이번 러-우 전쟁이 서방세계에 가장 실질적인 위협으로 다가오면서 수익성 위주에서 가치 위주로 ESG 투자업계 분위기가 사뭇 달라졌다는 분석이다.

2018년 사우디아라비아의 반정부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가 터키 사우디아라비아 총영사관에서 암살된 사건 당시에도, 중국 신장의 위구르 자치구에서 벌어진 인권탄압, 홍콩 국가보안법 통과 등을 두고도 각국의 ESG 투자자들과 기업들은 별다른 조처를 취하지 않았다. 인권과 관계없이 해당 국가의 집권세력이 건재하다면 국채 등의 변동성이 줄어 수익성이 보장됐기 때문이다. 홍콩의 민주화 시위가 진압되고, 일상적인 경제활동이 재개되면서 2021년 중국의 외국인 직접투자는 14.9% 증가했다.

특히 러시아가 2014년 우크라이나의 크름반도(크림반도)를 강제로 합병했을 당시에도 투자자들의 반응은 미온적이었다. 이에 대해 870억달러(약 108조원) 규모의 자산을 운용하는 덴마크연금펀드(PFA) 사샤 베슬릭(Sasja Beslik) 지속가능성 부서 대표는 "현재 우크라이나의 비극이 벌어지기 8년전 이미 위험신호가 감지됐지만, 대부분의 펀드매니저와 ESG 분석가들은 아무런 조처도 취하지 않았다"며 업계차원에서의 각성을 촉구했다.

베슬릭 대표는 지난 8일 MSCI가 러시아 정부의 ESG 평가등급을 'B' 등급에서 'CCC' 등급으로 강등한 것에 대해 "8년 늦었다"며 "국가 리스크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고, 자산운용사들이 자체적인 분석없이 MSCI나 서스테인애널리틱스(Sustainalytics) 등 제3자인 ESG 데이터 분석업체들에 용역을 맡기면서 지나치게 의존한 탓"이라고 지적했다. MSCI의 ESG 평가등급은 'AAA' 등급부터 'CCC' 등급까지 총 7단계다.

이같은 성토가 이어지면서 투자운용사 거버가와사키(Gerber Kawasaki Wealth and Investment Management)의 로스 거버(Ross Gerber) 최고경영자(CEO)가 "중국을 우회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중국에 대한 투자를 비판하는 사람도 그 순간 중국에서 제조한 아이폰으로 타이핑을 하고 있고, 중국에서 만든 옷을 입고 있다"고 할 정도로 불문율로 여겨졌던 기존 투자자들의 중국에 대한 묵인이 깨지고 있다. 일례로 지난 8일 1조3000억달러(약 1615조원) 규모의 자금을 운용하는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중국 대표 스포츠브랜드 리닝이 중국 신장에서 중대한 인권침해를 저지르고 있어 이를 '수용불가능한 리스크'로 판단하고 투자대상에서 제외했다.

ESG행동투자기관 셰어액션(ShareAction)은 "투자자들은 진공속에서 자금운용을 하는 게 아니다. 결정을 내리든, 내리지 않든 투자자들의 행동은 세계에 영향을 미친다"며 "재무적 리스크 관리를 넘어 수익성만큼 사회와 환경에 대한 영향을 고려해야 진짜 책임투자자"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한은행' 지난해 ESG경영 관심도 1위...KB국민·하나은행 순

지난해 1금융권 은행 가운데 ESG경영에 가장 많은 관심을 쏟은 곳은 신한은행으로 조사됐다.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이 뒤를 이었다.1일 데이터앤리서치

"AI시대 전력시장...독점보다 경쟁체제 도입해야"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전력시장에 경쟁체제를 도입하고, 전력수요처에 발전설비를 구축하는 분산형 시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대한상공

KCC그룹, 산불 피해복구 위해 3억5000만원 기부

KCC그룹이 산불 피해복구를 위해 3억5000만원을 기부했다고 31일 밝혔다.KCC는 2억원, KCC글라스는 1억원 그리고 KCC실리콘은 5000만원을 전국재해구호협회를

8년만에 바뀐 '맥심 모카골드' 스틱...친환경 디자인으로 변경

맥심 '모카골드'와 '슈프림골드' 스틱이 8년만에 친환경 디자인으로 바뀌었다.동서식품은 커피믹스의 주요제품인 '맥심 모카골드'와 '맥심 슈프림골드'

LG U+, CDP 기후변화대응 부문 최고등급 '리더십A' 획득

LG유플러스는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의 2024년 기후변화대응 부문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리더십 A등급'을 획득했다고 31일 밝혔다.CDP는 매년 전세계

코오롱ENP, 에코바디스 ESG 평가서 '상위 1%'

산업용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전문기업 코오롱ENP가 세계적 권위의 ESG 평가에서 '상위 1%' 등급을 획득했다. 코오롱ENP는 글로벌 ESG 평가기관 에코바디스(E

기후/환경

+

산불이 끝이 아니다...비오면 산사태 위험 200배

경북 대형산불이 지나간 자리에 산사태라는 또다른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2∼3개월 뒤 장마철과 겹치면 나무가 사라진 산은 속수무책으로 무너질 수

작년 이상고온 103일 '열흘 중 사흘'..."기후위기 실감"

지난해 열흘 중 사흘가량이 '이상고온'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9월은 절반 이상이 이상고온 상태였다.정부가 1일 공개한 '2024년 이상기후 보고서'

경북산불 연기 200㎞ 이동했다...독도 지나 먼바다까지

경상북도에서 발생한 산불 연기가 강풍을 타고 최초 발화지에서 최소 200㎞ 넘게 떨어진 동해 먼바다까지 퍼졌다.1일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와 대구

경북산불 피해 '눈덩이'...3700여채 불타고 3300명 터전 잃어

경상북도 북부에서 발생한 산불로 주택 3700여채가 불에 타고 주민 3300여명이 귀가하지 못하는 등 산불 피해규모가 갈수록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1

벌써 나타난 '빨간집모기'...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

일본뇌염을 옮기는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벌써 나타났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지난 27일 제3급 법정 감염병인 일본뇌염 주의보를 전국

잿더미로 변한 산…"생태계 복원까지 100년 이상 걸릴 것"

이번 산불로 잿더미로 변한 산림이 원상태로 복귀되는데 100년 이상 걸릴 수도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이영근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관은 31일 "올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