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일에 햄버거 2개치"…육류 끊어야 지구가 산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10-29 08:45:01
  • -
  • +
  • 인쇄
기후위기 피하려면 소비 확 줄여야
대중교통·탈석탄은 6배 더 늘려야

기후위기를 완화하려면 육류 소비를 일주일에 햄버거 2개치로 줄여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6일(현지시간) 세계자원연구소(World Resources Institute) 등의 국제연구팀은 세계가 기후위기에 따른 최악의 피해를 피하려면 선진국에서 육류소비를 일주일에 약 2개의 버거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줄이고 대중교통을 현재보다 약 6배 빠르게 확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기후행동2022(State of Climate Action 2022)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핵심지표 40가지의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표의 절반 이상이 목표궤도를 벗어나고 5개는 잘못된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는 것이다. 가장 우려되는 지표는 재생에너지로 전환해야 하는 시기에 오히려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가스사용, 배출량 감축기술 도입이 미진한 철강제조업, 승용차 이용량, 맹그로브숲 손실률, 농업배출이었다.

연구팀은 삼림벌채 비율도 빠르게 줄여야 하며 석탄의 단계중단은 현재 진행속도보다 약 6배 더 빨리 이뤄져야 한다고 분석했다. 또 시멘트, 철강 등 중공업은 탄소감축에 있어 발빠르게 움직여야 하며 신재생에너지와 전기차의 성장세는 유지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니 다스굽타(Ani Dasgupta) 세계자원연구소(World Resources Institute) 소장은 올해 전세계에서 목격된 극단적인 기상이변을 지적했다. 그는 "세계는 불과 1.1도의 온난화가 초래한 재앙을 목격했다"며 "우리는 기후변화와의 싸움에서 진전 중이지만 여전히 어떤 부문에서도 승리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빌 헤어(Bill Hare) 비영리단체 '클라이밋 애널리틱스'(Climate Analytics) CEO는 전세계적으로 발전용 가스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저렴하고 건강한 대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화석가스발전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우려하며 "팬데믹,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같은 충격은 지속적인 화석연료 의존이 기후위기 뿐만 아니라 심각한 안보위기와 경제위기를 초래한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보여줬다"고 짚었다.

한편 분석기관 및 자선재단연합 시스템체인지랩(Systems Change Lab)은 긍정적인 전망의 보고서도 발표했다. 태양광발전은 2019~2021년 사이 절반 가까이 증가했으며 전기차는 2021년 판매된 승용차 10대 중 거의 1대를 차지해 전년 대비 2배에 달했다.

보고서는 세계경제를 저탄소기반으로 전환하려면 향후 10년간 매년 약 4600억 달러의 추가자금이 필요하며 정부도 화석연료에 대한 호의적인 대우를 끊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금융기관의 화석연료 및 탄소집약적 산업 인수중단을 촉구했다.

해당 보고서는 다음 달 이집트에서 시작되는 COP27 유엔기후정상회담에서 각국 정부에 발표될 예정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동물성 식재료 쏙 뺐더니...탄소배출 확 줄어든 '지속가능한 한끼'

지속가능한 식단을 직접 먹어보면서 알아보는 특별한 토크콘서트가 서울 성수동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에서 열렸다. 기후솔루션 주최로 16일 오후

가나초콜릿에 '지속가능한 카카오' 사용한다

가나초콜릿에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재배된 카카오가 사용된다.롯데웰푸드는 대표 제품인 가나초콜릿에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재배된 가나산 카카오

셀트리온, 글로벌 ESG평가 생명공학 부문 상위 5%에 선정

셀트리온은 글로벌 신용평가기관 S&P글로벌이 주관하는 '기업지속가능성평가'(Corporate Sustainability Assessment, 이하 CSA) 생명공학 부문에서 국내 바이오

[최남수의 ESG풍향계] 논란의 DEI '한국은 낙제점'

최근 ESG 이슈 중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는 DEI(다양성, 형평성, 포용성)이다. 직장에서 성별, 인종 등 기준에 따른 차별을 없애자는 내용

계단마다 10원씩...서울시-hy '기부하는 건강계단' 누적금 1.2억 돌파

서울시청 시민청 입구에 조성된 '기부하는 건강계단'을 통한 누적 기부금이 1억2000만원이 넘어선 가운데 올해도 서울시와 hy(옛 한국야쿠르트)는 건강

기후/환경

+

콜드플레이, 내한공연서 '생수병 반입금지'..."당황했지만 오히려 좋아"

8년만에 국내에서 열린 영국 4인조 록밴드 콜드플레이 내한공연에 일회용 플라스틱 생수병 반입이 금지돼 화제다. 콜드플레이는 지난 16일부터 오는 25

산림청, 경북 산불피해 4.5만여ha라더니...9만ha 넘게 '잿더미'

의성에서 시작돼 인근 지역까지 번진 경북 산불로 인한 산림 피해가 9만헥타르(㏊)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당초 산림청이 추산한 피해규모의

지구온난화 2배 빠른 유럽...지난해 기상재해로 40만명 피해

지난해 기상재해로 41만3000명의 유럽인이 피해를 입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15일(현지시간) 유럽연합의 기후변화 감시기구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

기후위기 영향?...국내 바다에 '대형상어' 급증

최근 우리나라 바다에 대형상어 혼획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동해 상어 혼획 건수가 최근 크게 증가해 2022년 1건에 불과

'물폭탄' 잦아진 이유...기후위기로 해양폭염 일수 3배 늘었다

기후위기로 해양폭염 일수가 3배까지 늘어나면서 폭풍이 증가하고 다시마, 산호초 등 해양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다.14일(현지시간) 스페인 마요르카 지

올겨울 초미세먼지 3.3% 개선됐는데...서울과 제주는 더 악화

올겨울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기간에 우리나라 초미세먼지 농도가 약 3.3%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환경부는 지난해 12월 1일부터 올 3월 31일까지 '제6차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