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하 4도' 난리 난 이란…이례적 폭설에 휴교령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1-16 16:42:33
  • -
  • +
  • 인쇄
가스소비 30% 급증에 '난방대란'
석유장관 "집에서 옷 더 껴입어라"
▲15일(현지시간) 이란의 수도 테헤란에 눈이 내리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례적인 추위와 폭설에 천연가스 매장량 세계 2위를 자랑하는 이란이 난방 대란에 시달리고 있다.

16일 튀르키예 아나돌루 통신사는 이란 전역에 걸쳐 극심한 한파가 몰아치는 가운데 가스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대부분의 정부기관, 대학, 학교가 문을 닫았다고 보도했다. 한겨울에도 좀처럼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지 않는 수도 테헤란의 평균 기온은 이날 영하 4°C를 기록했다.

이란은 폭설과 혹한에 잔뜩 움츠러든 모습이다. 테헤란은 주지사의 지시에 따라 모든 학교에 휴교령을 내렸다. 관공서는 직원 절반만 출근하도록 했고, 은행과 민간 기업도 이날 정규 근무 인원의 3분의 1을 제외한 모든 근로자에게 임시 휴무를 줬다. 박물관은 모두 문을 닫았다. 학교와 대학의 수업은 온라인으로 대체됐다. 

더 큰 문제는 난방이다. 이란 석유부에 따르면 올들어 이란의 가스 소비량은 지난 2022년 겨울에 비해 30% 급증했다. 수도 테헤란을 포함해 최근 몇 주 동안 전국적으로 일어난 급격한 기온 하락은 전례 없는 에너지 소비 증가로 이어졌다. 이란 기상청은 추위와 폭설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보해 난방 걱정은 더 커질 전망이다.

직접적인 원인으로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가스 공급 중단이 지목되고 있다. 2021년 12월 이란은 투르크메니스탄, 아제르바이잔과 협정을 체결해 이란을 경유하여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아제르바이잔으로 연간 15억~20억㎥의 가스를 공급하기로 했다. 이란은 이 협정으로 동북부 지방의 가스 수요를 충족시켜왔다.

하지만 투크크메니스탄 국내 수요가 증가하면서 이란에 대한 가스 공급을 중단했다. 지난 14일 이란 석유부 산하 이란국영가스공사(NIGC)는 올겨울 기온이 급격히 떨어진 북동쪽 호라산 라자비 지방의 5개 도시에서 가스 공급이 크게 줄었다고 밝혔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미국과 서방의 오랜 제재로 낙후된 인프라와 기술력이 원인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현재 이란은  거의 모든 산업 분야, 특히 철, 철강, 시멘트 산업에서 높은 에너지 소비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독일연방지질자원연구소에 따르면 이란은 2020년 전 세계에서 가스 소비량이 가장 많은 국가 순위에서 미국, 러시아, 중국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서방의 제재로 이란의 원전 발전 비중은 2020년 기준 1.73%에 불과하다. 이란은 1조2000억배럴에 달하는 역내 1위, 세계 2위의 막대한 천연가스 비축량을 두고도 인력과 기술력이 없는 데다 설비와 운송시설이 낙후돼 그저 그림의 떡처럼 바라만 보는 상황이다.

더는 손쓸 방법이 없자 자바드 오지(Javad Owji) 이란 석유부 장관은 이란 샤나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집에서 옷을 더 따뜻하게 입고 소비를 줄여야 한다"며 "아무도 '내가 소비하는 만큼 더 지불하겠다'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제재가 계속되면서 가계 부담도 커진 상황에 난방 보조금을 줄이거나 가스·전기요금을 올릴 여력도 없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세예드 에브라힘 라이시 대통령은 지난 15일 NIGC를 방문해 산업용보다 가정용 가스를 우선해 공급하라고 지시했다. 라이시 대통령은 최근 제기된 가스 부족 우려와 관련해 전임 하산 로하니 행정부 시절 충분한 양의 가스를 비축하지 않아 발생한 문제라고 주장했다.

값싼 가스요금에 익숙한 테헤란의 한 학부모는 독일 국영방송 도이체벨레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3~4년간 한파가 닥칠 때마다 똑같은 촌극을 봐야 한다"면서 "에너지를 아끼기 위해 관공서와 학교가 문을 닫으면서 눈이 내릴 때마다 온나라가 마비된다"며 당국에 대응에 대한 불만을 토로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韓 금융당국 기후정책 亞 '중하위권'…"인니와 필리핀보다 점수 낮아"

우리나라가 동남아시아권 국가들에 비해 경제규모와 제도적 역량이 월등함에도 금융권의 기후대응 정책 수준은 '중하위권'에 머물고 있다는 분석이다

LG U+, 표준협회 콜센터품질지수 통신업종 2개 부문 1위

LG유플러스가 한국표준협회(KSA)가 주관하는 '2025년 콜센터품질지수(KS-CQI) 조사'에서 이동통신과 초고속인터넷·IPTV 2개 부문에서 최우수기업으로

셀트리온, 美 일라이 릴리 공장 인수..."인수와 증설에 1.4조원 투자"

셀트리온이 글로벌 빅파마 일라이 릴리(Eli Lilly)와 미국 뉴저지주 브랜치버그에 소재한 약 4600억원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인수 계약을 체결했

CJ제일제당, 폭염도 견디는 배추 신품종 '그린로즈' 개발

CJ제일제당이 국내 최초로 여름철 폭염에도 잘 자라는 고온적응성 배추 품종 개발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배추는 기후변화로 생산량이 줄고 있는 대

'차량 1대당 탄소 3㎏ 감축'…현대차, 재활용 소재 '타이어 스틸벨트' 개발

현대자동차그룹이 철 스크랩 등 재활용 소재를 80% 이상 사용한 타이어 스틸벨트(Steel belt)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이 기술로 제작한 타이어를 장착한

해킹 사고 터진 KT와 롯데카드 "ESG평가 감점요인"

KT와 롯데카드가 해킹 사고로 ESG 평가점수가 하락할 전망이다.ESG 평가기관 서스틴베스트는 '정보보호' 사안에서 심각성이 중대하다고 판단하며 해당

기후/환경

+

정부 "2035 재생에너지 37% 늘려 전력부문 탄소감축 높이겠다"

정부가 2035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최대 37%까지 늘려서 전력생산 부문 탄소배출량을 2018년 대비 68~79%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발전비

韓 금융당국 기후정책 亞 '중하위권'…"인니와 필리핀보다 점수 낮아"

우리나라가 동남아시아권 국가들에 비해 경제규모와 제도적 역량이 월등함에도 금융권의 기후대응 정책 수준은 '중하위권'에 머물고 있다는 분석이다

[날씨] 가을 알리는 '요란한 비'...24일 시간당 20∼30㎜ 폭우

오는 23일 밤부터 남해안에 비가 내리기 시작해 24~25일 많은 비가 오겠다. 이 비가 그치면 가을이 성큼 다가온다.23일 오전 제주에서 내리기 시작한 비가

공기보다 더 빨리 뜨거워지는 강물...'하천폭염' 속도 4배 빠르다

하천의 수온이 상승하는 '하천폭염'(Riverine Heatwaves) 속도가 공기가 데워지는 대기폭염 속도보다 최대 4배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미국 펜셀베니아주

서울시 반지하 침수 막겠다더니...올해도 1072가구 잠겼다

올해도 폭우로 서울시 반지하 주택 1072가구가 물에 잠겼는데도 서울시는 침수대책은커녕 피해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

해빙 붕괴로 가라앉는 미세조류...기후위기 더 악화시킨다

북극의 얼음이 빨리 녹으면서 얼음 속에 살던 미세조류가 예상보다 일찍 가라앉아 바다의 탄소저장 기능이 흔들리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극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