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모기' 빨리 성장하고 오래산다...질병 위험도 증가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06-30 13:15:00
  • -
  • +
  • 인쇄
최근 10년 새 모기 서식지 3배 증가
말라리아와 뎅기열 발병지역도 확대

기후변화로 모기 서식지가 지난 10년 사이에 3배 늘어났고, 모기가 옮기는 말라리아와 뎅기열같은 질병의 발생지역도 더 넓어지고 있다.

비영리 기후연구단체 클라이밋센트럴(Climate Central)은 미국의 약 250개 지역의 지난 40년간 데이터를 조사한 결과 70% 이상이 모기가 살기좋은 덥고 습한 환경이 조성됐다는 연구자료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기후변화로 폭염이 더 자주, 더 심하게 발생하고 폭풍과 홍수로 인해 물웅덩이가 많아졌다"며 "이로 인해 모기가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됐다"고 했다.

런던 위생 및 열대의학대학(London School of Hygiene and Tropical Medicine)의 올리버 브래디(Oliver Brady) 교수는 "기온이 상승하면 모기가 더 빨리 성장하고 더 오래 살 수 있다"며 "또 모기 안에 있는 바이러스나 기생충이 더 빨리 성숙한다"고 했다. 그는 "예전에는 겨울이 되면 모기가 죽었지만 이제는 사계절 내내 번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문제는 모기가 단순히 피를 빨아먹고 밤잠을 방해하는데서 그치는 것이 아닌 말라리아, 뎅기열 등 인간에게 치명적인 질병을 옮긴다는 것이다. 실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는 최근 말라리아 경보를 발령했다. 과학자들은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미국에서 말라리아가 더 흔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개체수가 불어난 모기로 인해 말라리아가 확산될 수 있다. 미국 조지타운대학(Georgetown University) 연구보고에 따르면 말라리아가 창궐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모기의 활동 범위가 크게 확장되고 있다. 보고서는 "말라리아를 옮기는 아노펠레스 모기는 평균적으로 1년에 약 21피트씩 고지대로 이동하고 남쪽으로 약 3마일씩 이동한다"고 밝혔다.

조지타운대학에서 기후변화를 연구하는 콜린 칼슨(Colin Carlson) 박사는 "이 속도는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나올 수 없다"며 "아직 말라리아를 접하지 못해 방역 대책이 없는 지역은 심각한 위협이 된다"고 말했다. 칼슨 박사는 또 "모기는 뎅기열 등 치명적인 질병 매개체가 될 수 있다"며 "비정상적으로 많은 강우량과 따뜻한 기온이 모기에게 이상적인 조건을 제공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그는 "뎅기열이 점점 확산되고 있다"며 "서유럽, 미국, 중국에 거주하는 10억명의 새로운 사람들이 뎅기열 전염에 적합한 기상 조건에 노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주 유럽질병예방통제센터(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ECDC)는 "뎅기열을 옮기는 흰줄숲모기가 유럽으로 밀려들고 있다"고 경고했다. 셀린 고스너(Celine Gossner) ECDC 신종 및 전염병 연구 수석은 "놀라운 것은 확산 속도"라며 "불과 10년 만에 이 모기가 서식하는 지역이 3배로 증가했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올리버 브래디 교수는 "유럽에서 뎅기열이 점점 늘어난다는 것은 이미 뎅기열이 있는 지역의 상황은 더욱 악화된다는 의미"라며 "특히 중국과 인도는 수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고 사소한 변화도 잠재적으로 재앙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캐리생태계연구소(Cary Institute of Ecosystems Studies)의 섀넌 라도(Shannon LaDeau) 박사는 "이미 기후위기의 최전선에 있는 지역 사회가 모기 매개 질병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을 것"이라며 "바로 이곳에 지원이 집중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과학자들은 모기 매개 질병을 줄이기 위한 연구에 나서고 있다. 영국 생명공학기업 옥시텍(Oxitec)은 번식이 불가능하게 만드는 변형 유전자가 포함된 모기를 실험하고 있다. 또한 호주 모나쉬대학교(Monash University) 연구진은 모기 내부에서 바이러스가 복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중이다.

브래디 교수는 "결국 기후변화를 줄이지 못하면 이러한 대책은 미봉책에 불과하다"며 "적극적인 기후 완화가 가장 확실한 해결책"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강릉에 '반가운 비'...폭우 쏟아졌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단비'가 내렸다. 아직 가뭄이 해갈될 정도는 아니지만 간밤에 내린 비 덕분에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주말날씨] 전국 이틀간 '세찬 비'...강릉에도 '가뭄에 단비'

이번 주말에는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린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번 비는 중국에서 형성된 비구름대가 우리나라로 진입하면서

"환경장관 약속 못믿어"...세종보 천막농성 철회 안한다

4대강 보 철거를 요구하며 금강 세종보에서 500일간 농성했던 환경단체들이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이를 철회했다.11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직접

화석연료 기업들 내뿜는 탄소...치명적인 폭염을 낳았다

엑손모빌 등 석유 대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이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발생했던 수십건의 폭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강릉 식수원 고갈 일보직전 '비소식'...이틀간 20~60㎜ 내린다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으로 쓰이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1일 오전 8시 기준 11.8%까지 낮아진 가운데 토요일인 13일 동해안에 비가 내린다는 소식이다.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