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빙수 유입되는 지역서 감염위험
다음 팬데믹은 빙하가 녹은 지역에서 시작될지도 모른다.
19일(현지시간) 스테판 아리스-브로수(Stéphane Aris-Brosou) 캐나다 오타와대학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세계 최대 북극담수호인 하젠호수(Lake Hazen)의 토양 및 퇴적물을 유전자 분석한 결과 녹는 빙하에 가까울수록 바이러스가 유출될 위험이 더 크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기후변화로 지구 기온이 오르면서 빙하와 영구동토층에 갇혀있던 바이러스와 박테리아가 깨어나 지역야생동물을 감염시킬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2016년에도 시베리아 북부 폭염으로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탄저균이 유출된 바 있었다. 이 탄저균에 감염된 순록사체가 민간지역에 노출돼 최소 7명이 감염되고 어린이 한 명이 사망했다.
연구팀은 지역빙하가 녹은 물이 유입되는 하젠호수에서 토양과 퇴적물 샘플을 수집해 RNA와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 바이러스 및 곰팡이와 밀접하게 일치하는 특징을 식별하고 이들 바이러스가 관련 없는 유기체를 감염시킬 가능성을 평가했다.
그 결과 해빙수가 다량 유입되는 지역과 가까울수록 바이러스 유출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 외에도 미확인 바이러스들이 빙하에 잠재돼있다는 증거가 나오고 있다. 지난해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 연구팀은 중국 티베트고원에서 채취한 얼음샘플에서 바이러스 33종의 유전물질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 가운데 28종은 미확인 종으로, 해당 바이러스들은 최대 약 1만5000년 된 것으로 추정됐다.
그런가하면 2014년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는 시베리아 영구동토층에서 3만년 된 바이러스를 채취, 되살리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의 저자인 장 미셸 클라베리(Jean-Michel Claverie)는 당시 BBC와의 인터뷰에서 이러한 얼음층의 노출은 "재앙을 일으킬 수 있다"고 전했다.
다만 아리스-브로수 박사의 연구팀은 높은 유출위험 예측이 실제 유출이나 전염병의 예측과는 다르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바이러스와 그것을 옮길 매개체가 환경에 동시에 존재하지 않는 한 유출 가능성은 낮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에 발견된 바이러스의 감염 유발여부도 아직 평가되지 않은 상태며 연구팀은 추후 수개월 내로 식별한 바이러스를 수량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기후변화가 잠재적 숙주와 고대바이러스 및 박테리아가 접촉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는 점이다. 아리스-브로수 박사는 "기온이 오르면서 특정 환경에서의 유출위험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확실하지만 이것이 전염병으로 이어질지는 불분명하다"고 밝혔다.
아윈 에드워즈(Arwyn Edwards) 영국 애버리스트위스대학 환경미생물학 학제간센터 소장은 "북극이 빠르게 온난화되는 상황에서 기후에 미치는 영향이 인류에게 가장 큰 위험으로 다가오고 있으며, 다른 곳에서 온 질병이 북극의 취약한 지역사회와 생태계에 침투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따라서 그는 지구 전체의 미생물을 탐구해 이러한 위험을 시급히 파악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왕립학회회보B(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