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동해에 밍크고래가?...처음 촬영된 어미와 새끼의 모습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04-12 10:04:46
  • -
  • +
  • 인쇄
▲울릉도에서 포착된 어미 밍크고래와 새끼 밍크고래 (영상=수과원)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이 울릉도에서 바다를 유영하는 밍크고래 어미와 새끼의 모습을 영상에 담았다고 12일 밝혔다.

수과원 고래연구소는 지난 1일부터 4일간 울릉도 주변 해양포유류 조사를 실시했다. 이 과정에서 지난 2일 밍크고래 3마리와 참돌고래 약 400마리, 미확인 고래종 3마리를 발견했다.

밍크고래 3마리 가운데 2마리는 어미와 새끼로 확인됐다. 이에 수과원 조사팀은 어미 밍크고래와 새끼 밍크고래의 이동 모습을 드론으로 촬영했다. 영상에는 새끼고래가 품에 붙었다 떨어지기를 반복하며 어미를 따라가는 모습이 담겨있다.

▲드론으로 촬영된 어미 밍크고래와 새끼 밍크고래 전신 (사진=수과원)

연구소는 국내 처음으로 밍크고래 전신을 드론으로 촬영하는데 성공했다. 우리나라에서 고래의 전신을 촬영한 것은 지난 2022년 동해 향고래 이후 두번째다.

밍크고래 어미와 새끼 몸에는 아열대·열대지방에 서식하는 상어에게 물린 상처가 관찰됐다. 수과원은 어미고래가 태평양 중서부 따뜻한 바다에서 낳은 새끼를 데리고 대한해협을 거쳐 울릉도까지 이동한 것으로 추정했다.

호주와 남극에서 남극밍크고래(Balanoptera bonaerensis) 어미와 새끼가 촬영된 사례는 있지만, 남극이 아닌 북태평양에서 밍크고래가 촬영된 것은 처음이다.

이외에도 참돌고래 약 400마리가 울릉도 연안에서 발견됐다. 이는 고래연구소 조사를 통해 발견된 참돌고래 중 우리나라 동쪽끝에서 발견된 사례로 기록됐다.

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동해를 오가는 밍크고래의 회유 경로에 대한 중요한 자료가 확보됐을 뿐만 아니라, 국민들에게 우리 바다 고래를 더 알릴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 해양포유류 조사 해역 범위와 빈도를 확대해 지속가능한 해양생태계 보전·관리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이지웰, 글로벌ESG 평가기관에서 '우수기업' 인증획득

현대이지웰이 글로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기관에서 우수기업을 인증하는 '브론즈' 메달을 받았다.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복지솔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기후/환경

+

북극 '오존 파괴의 비밀' 풀었다...얼음 속 '브롬 가스'가 단서

얼음이 얼 때 발생하는 브롬가스가 북극 오존층을 파괴하는 원인으로 밝혀졌다.극지연구소는 북극 대기 경계층의 오존을 파괴하는 '브롬 가스'의 새로

'가뭄에 단비' 내리는 강릉...저수율 16.7%로 상승

지난 주말 내린 비로 최악의 사태는 피해간 강릉에 또 비가 내리면서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7일 오전 6시 기준 16.7%로 전일보다 0.1%포인트(p) 높아졌다

구글 DC 하나가 57만톤 배출?…AI로 英 탄소감축 '빨간불'

영국에 설립될 구글의 신규 데이터센터(DC)가 연간 57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할 것으로 추정되자, 환경단체와 기후전문가들이 환경 영향에 대해 강력히

인천 온실가스 49% 비중 영흥화력..."2030년 문 닫아야" 촉구

수도권 내 유일한 석탄발전소인 인천 영흥화력발전소의 2030년 폐쇄를 촉구하는 시민사회 목소리가 모였다. 기후위기인천비상행동과 전국 시민연대체

'2035 NDC' 뜸 들이는 EU...기후 선도그룹 위상 '흔들'

유럽연합(EU)이 올해 유엔(UN)에 제출해야 할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 대한 감축목표를 기한내에 확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회

태양빛으로 방사능 오염된 토양 정화하는 '인공식물' 개발

태양빛으로 방사능에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인공식물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울산과학기술원(DGIST) 화학물리학과 김성균 교수연구팀은 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