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교사 딥페이크 피해 196건…가해청소년 '퇴학'도 고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4-08-28 18:09:30
  • -
  • +
  • 인쇄
▲딥페이크 피해 현안 및 대응책을 발표하는 오석환 교육부 차관(사진=연합뉴스)

최근 여성의 얼굴에 음란물을 합성한 '딥페이크' 성범죄물이 텔레그램 등을 통해 유포돼 논란이 된 가운데 올해 학생과 교사 딥페이크 피해 건수가 200건에 육박한 것으로 파악됐다.

교육부는 17개 시도교육청을 통해 딥페이크 피해를 집계한 결과 올해 1월부터 전날까지 학생·교원 피해 건수가 총 196건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학생 피해가 186건으로 대부분이다. 피해 건수를 학교급별로 보면 초등학교 8건, 중학교 100건, 고등학교 78건이다. 이 가운데 179건은 수사 당국에 수사를 의뢰한 상태다.

다만 피해 사실을 알리길 꺼리는 경우나 학교, 교육청이 아닌 다른 기관을 통해 피해 사실을 신고했을 경우가 집계되지 않아 실제 피해는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한국여성인권진흥원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 통계에 따르면 올해 10대 딥페이크 피해자는 288명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청소년들 사이에서 피해가 확산하자 교육부는 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학교 딥페이크 대응 긴금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TF는 매주 1회 학교 딥페이크 사안을 조사하고, 경찰청·여성가족부·방송통신위원회 등 관계부처와 공조·협력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시도 교육청과 비상 연락망을 운영하는 등 현장 소통을 총괄한다.

또 학생·교원 피해 사안 처리와 심리 지원도 맡는다. 학교폭력과 관련된 딥페이크의 경우 학교폭력 사안으로 처리를 지원하고, 학생 상담 프로그램인 '위(Wee) 클래스·센터'를 통해 피해 학생 상담을 지원한다. 교내 시스템으로 치료가 어려운 수준인 경우 외부 전문기관과 연계해주고, 정신건강 관련 진료·치료비를 최대 300만원까지 지원한다. 2차 피해 방지를 위해 가해자와 피해자 분리에도 나선다.

가해 청소년에 대한 처벌 수위도 높게 책정될 것으로 보인다. 김도형 교육부 학교폭력대책과장은 "학교폭력 처벌 수위는 학폭위에서 정하도록 하고 있다"면서 "딥페이크 특성상 아주 고의적이고 피해가 클 가능성이 높아 처벌 수위가 높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학폭위 조치는 서면 사과부터 최대 퇴학에 이른다. 딥페이크의 경우 고의성과 피해 규모가 크기 때문에 최대 처벌인 퇴학까지 이를 수 있다. 다만 의무교육인 초등학교나 중학교에선 전학이 최대 징계다.

오석환 교육부 차관은 "사실로 확정된 사건에 대해서는 엄중하고 단호하게 대처할 것"이라며 "직접 피해자뿐 아니라 간접 피해자의 치유와 회복도 함께 돕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경기도, 업사이클 참여기업 모집...최대 1000만원 지원

경기도와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이 '2025년 경기도 업사이클 기업육성 지원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한다고 10일 밝혔다.공모는 △집중육성 과제(최대

올해 신규 사외이사 평균연령 60.3세...女비중 첫 30% 돌파

올해 국내 100대 상장기업에 신규 선임된 사외이사의 절반 이상이 교수 출신이고, 평균연령은 60.3세로 나타났다. 사외이사 재선임 비중은 54%로 높아지

아워홈 사고직원 결국 사망...중대재해법 처벌수위 촉각

경기도 용인에 있는 아워홈 공장에서 사고를 당한 직원이 9일 끝내 사망했다. 구미현 아워홈 대표이사는 이날 입장문에서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말

LG '올레드TV' 탄소·플라스틱 줄이고 자원효율 높였다

LG전자 올레드 TV가 해외 유력 인증기관들로부터 탄소 배출 저감, 지속가능한 자원 효율성 등 환경 관련 인증을 잇따라 획득했다.LG전자는 최근 프리미

국내 中企 ESG 경영수준 2년새 대폭 '개선'...비결은?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의 ESG 성적이 대기오염물질, 온실가스 등 환경분야를 중심으로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중소&m

SK C&C, AI DX로 사고 줄이고 환경오염 막는다

SK C&C가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안전·보건·환경(SHE) 서비스를 통해 제조현장 안전수준을 한층 강

기후/환경

+

기후파괴 앞장선 美...산업시설 탄소배출량 의무보고 폐지

"기후위기는 가짜"라며 반(反)환경 정책을 펼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산업시설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의무를 폐지했다. 중국 다음으로

산불지역 '산사태' 위험성 2시간전 파악하는 예측기술 개발

산불지역이 폭우로 인해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여부를 2시간 30분 이전에 파악할 수 있는 예측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10일 한국지질자원연구

기후솔루션 "NDC 수립시 지방정부도 참여시켜야"

우리나라가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수립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지방정부 참여가 사실상 배제돼 있어 기후대응을 어렵게 한다는 지적이다.10일

'차기 정부가 해야 할 기후정책 30가지'...기후싱크탱크 제안서 발간

차기 정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생태국가 원리를 헌법에 반영하고, 기후시민의회 제도화를 통한 민주적 기후거버넌스를 구현하는 것과 아울러 기후경

'대기의 강' 2023년 튀르키예 지진 피해 키웠다

엄청난 양의 비를 몰고 오는 '대기의 강' 현상이 재작년 발생한 튀르키예 지진의 피해를 키운 것으로 밝혀졌다.8일(현지시간) 톨가 괴륌(Tolga Görü

美주택보험료 8% 이상 오른다...잦은 재난과 관세 여파

미국 전역에서 극단적인 기후재난이 잇따라 발생하는 데다, 올초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쏘아올린 관세폭탄으로 경제 불안이 가중되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