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견됐던 '딥페이크' 정부는 그동안 뭐했나?...뒷북 대응책에 '비판'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4-08-27 19:20:54
  • -
  • +
  • 인쇄
▲딥페이크 관련 대화를 나누는 텔레그램 단체대화방(사진=연합뉴스)

여성의 얼굴에 나체 사진 등 음란물을 합성한 '딥페이크(Deepfake) 성범죄물'이 온라인에서 범람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나자, 정부는 부랴부랴 대응책을 내놓고 있지만 피해가 이미 확산된 상태여서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경찰청은 오는 28일부터 내년 3월까지 딥페이크 성범죄 특별 집중단속을 실시한다고 27일 밝혔다. 경찰은 딥페이크 탐지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이번 기회에 불법합성 성범죄물 제작부터 유포까지 추적·검거해서 피의자를 발본색원하겠다는 방침이다.

경찰청은 "일부 누리소통망에서는 참여자들끼리 특정 지역·학교 공통 지인을 찾아 이를 대상으로 허위영상물 등을 공유하는 등 시간이 흐를수록 범행 수법이 구체화·체계화되고 있는 양태를 보여 시급히 대응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허위영상물 등 범죄 발생 건수는 2021년 156건에서 2022년 160건, 2023년 180건으로 꾸준히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올 7월까지 발생건수는 297건으로 지난해보다 100건이 늘어났다.

딥페이크 제작에 가담하는 청소년들도 많고 피해를 당하는 청소년들도 늘어나면서 교육당국도 비상이 걸렸다. 교육부는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에 '디지털 성범죄 대응 및 예방을 위한 교육 안내 협조 요청' 공문을 보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하는 예방교육을 실시해 달라고 주문했다. 아울러 '딥페이크'와 관련된 학생들의 피해·가해 현황도 수집하고 있다.

국회도 관련법 개정안을 줄줄이 발의했다. 한정애 민주당 의원은 딥페이크 영상 배포뿐 아니라 소지·구입·시청한 자까지 처벌하는 법률개정안을 대표 발의했고, 황명선 의원도 딥페이크를 이용한 불법 촬영물에 관한 처벌을 3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하도록 강화하는 성폭력처벌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김혜정 한국성폭력상담소 소장은 "불법 촬영부터 유포, 합성, 성적 모욕 등이 학교나 가족 같은 일상적인 공간에서도 벌어지는 상황에서 여성들이 직접 내 주변 사람이 가해자인지 찾아나서는 상황에 이른 것같다"며 "성평등 교육이나 플랫폼 규제, 처벌 강화 등 여러 기관의 협력을 통한 문제 해결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의 대응이 대부분 '피해 예방'과 '재발 방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실효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서비스(SNS)에서는 "지금 당장 피해본 사람들은 어떻게 해결하나", "플랫폼에 직접 대화방 정보를 요청하는 식으로 더 적극적으로 나섰으면 좋겠다" 등 현 상황에 대한 대책은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 누리꾼은 "딥페이크 논란은 이전에도 연예인들 대상으로도 있었던 거 같은데, 피해가 커지고서야 대책을 마련한다"며 뒷북 대책을 꼬집기도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LG화학, 협력사 탄소중립 지원 소매걷었다..."ESG경영 실천"

LG화학이 협력사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본격적으로 나선다.LG화학은 9일 '탄소중립 선도플랜트 구축 지원' 사업을 통해 우수 협력사인 우성케미칼의

비행기 탄소배출 막대한데...항공업계 탄소감축 '뭉그적'

항공산업은 전체 탄소배출량의 2~3%를 차지할 정도로 기후위기를 심화시키는 대표적인 운송수단으로 꼽히고 있지만, 이를 해결하려는 항공업계의 미온

삼성 '갤럭시S25' 美 'ReMA 재활용 디자인 어워드' 수상한다

삼성전자가 자사의 '갤럭시S25'가 북미 재활용산업협회 ReMA(Recycled Materials Association)가 수여하는 '2025 ReMA 재활용 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한다고 7일 밝혔

코오롱, 사회 밝히는 '선행의 주인공' 찾는다

코오롱그룹이 사회 곳곳에서 선행을 실천하며 '살맛나는 세상'을 만들어나가는 주인공들을 찾는다.코오롱의 비영리 재단법인 오운문화재단은 오는 6

현대제철, CDP 선정 기후대응 원자재 부문 우수기업 수상

현대제철이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인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로부터 기후변화 대응 분야 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현대

'해킹사고' 부실 대응 SK텔레콤..."ESG 등급 하락 불가피"

SK텔레콤 해킹사태로 고객 개인정보가 무방비로 유출되면서 SKT의 ESG평가에서 사회(S)부문과 종합부문 등급이 1등급씩 하락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고객

기후/환경

+

무서운 '산불 연기'...美 15년간 1만5000명 사망

기후위기로 산불이 빈번해지면서 미국에서 매년 수천명이 사망하고 수십억달러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다.최근 발표된 니콜라스 나시카스 하버드대

지구온난화 책임은 '부유층'…상위 10%가 온난화 영향력 65% 차지

1990년 이후 세계 상위 10% 부유층이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력이 절반이 훨씬 넘는 6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7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국제응용

기후재난 피해는 젊은세대의 몫..."15억명이 폭염에 노출될 수도"

지구온난화가 심해질수록 젊은세대들은 폭염과 홍수, 가뭄, 산불, 흉작 등의 기후재난을 겪을 위험성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7일(현지시간) 벨

하와이, 美 최초로 관광객들에게 '기후세' 걷는다

관광세를 받고 있는 미국 하와이주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관광객들에게 '기후세'까지 거둘 예정이다.하와이주 의회는 환경보호와 기후위기로 인한

해빙이 녹으면 바닷물 색도 변한다...이유는?

지구온난화로 극지방 해빙(海氷)이 줄면서 바닷물 색까지 변화하고 있다. 이는 조류와 플랑크톤의 광합성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2일(

10만ha '잿더미' 만든 영남권 산불…온실가스 764만톤 배출

10만헥타르(ha)가 넘는 산림을 잿더미로 만들어 역대 최악으로 기록된 3월 영남지역 산불로 인해 760만톤이 넘는 온실가스가 배출된 것으로 확인됐다.산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