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지구]플라스틱 쓰레기로 만든 새 둥지 90% 넘는다

장다해 기자 / 기사승인 : 2025-07-15 08:30:03
  • -
  • +
  • 인쇄
[연중기획]

▲플라스틱 노끈에 엉켜있는 흰 황새 (사진=Marta Acacio)

플라스틱 쓰레기로 만든 새 둥지가 90%를 넘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 둥지에서 태어난 새끼들 중 일부는 2주만에 쓰레기에 엉켜 목숨을 잃었다.

14일(현지시간) 영국 UEA대학 환경과학부 우르술라 하인츠 박사 연구팀은 포르투갈 남부에서 2018년~2023년까지 568개의 흰 황새 둥지를 모니터링한 결과, 둥지의 91%(517개)가 비닐봉지, 플라스틱 노끈, 헌옷 등 플라스틱 쓰레기를 사용해 만들어졌다고 밝혔다. 황새 둥지의 65%에서 비닐봉지가 발견됐으며, 노끈(베일러 끈)이 발견된 둥지는 42%, 헌옷은 18%에 달했다.

이와 동시에 연구팀은 2023년 매주 93개 둥지에서 새끼들이 겪은 엉킴 피해를 확인했는데, 이 가운데 27%(25개)의 둥지에서 엉킴 피해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둥지에서 태어난 새끼 290마리 중 12%(35마리)가 플라스틱 쓰레기에 엉켜 생후 2주 안에 사망했다.

▲ 플라스틱 쓰레기를 엮어 만든 새 둥지 (사진=Marta Acacio)

엉킴 피해를 겪은 새끼 새가 4주 이상 살아남은 경우는 단 1건에 불과했다. 새끼 새들은 건초 뭉치를 고정하는 데 쓰이는 파란색 플라스틱 노끈이나 비닐봉지 등에 엉켜 목이 졸리거나, 신체 일부분이 절단됐다. 피부가 찢기면서 상처가 감염돼 죽기도 했다.

특히 새끼 새들의 엉킴 사고 중 49%가 폴리프로필렌(PP)으로 만든 베일러 끈 때문이었다. 농경 지역에 만들어진 둥지 가운데 절반에서 베일러 끈이 발견됐다. 둥지 속 노끈이 1개 늘어날 때마다 새끼 사망률은 1.17배 증가했다.

베일러 끈은 건초나 짚 묶는 기계를 묶는 데 사용되는 농업용 끈이다. 이는 폴리프로필렌 여러 가닥으로 이뤄져 있는데, 둥지에서는 개별 가닥으로 갈라져 엉킴 위험이 커진다. 유럽 전역에서 베일러 끈은 매년 8만톤가량 사용되고 있다. 끈과 같은 농업폐기물은 밭에 매립되는 경우가 많고, 분해되는 데 30년이 걸린다. 

연구팀은 "새끼 황새에게 심각한 피해를 주는 베일러 끈을 유해물질로 간주하고 사용중단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며 "플라스틱 대신 지속가능한 소재를 사용해야 할 뿐 아니라 이미 오염된 환경에 남은 플라스틱 쓰레기를 제거하는 작업 또한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세계에서 매년 3억5000만톤 이상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발생하고 있다. 이 중 약 1900만~2300만톤이 육지 생태계로 유입된다. 이는 해양생태계에 유입되는 플라스틱의 2배에 달하는 수치로, 육지에서 서식하는 야생동물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생태지표(Ecological Indicators) 7월 14일자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아기상어' 코스닥行...더핑크퐁, 연내 상장 목표로 공모절차 착수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토종 콘텐츠 '아기상어'로 유명한 더핑크퐁컴퍼니가 연내 코스닥에 입성한다.더핑크퐁컴퍼니는 22일 금융위원회에 코

대한항공, SAF 사용확대...고베·오사카 노선도 국산SAF 1% 혼입

대한항공은 국내에서 생산한 지속가능항공유(SAF·Sustainable Aviation Fuel)를 사용하는 상용운항 노선을 확대한다고 22일 밝혔다.SAF는 폐기름, 동·

폐기된 서버 '로그기록' 있었다...KT, 소액결제 사태 새로운 단서?

KT가 폐기한 서버에서 로그기록이 별도로 백업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중국 해커집단의 국내 통신사 해킹 수법의 새로운 단서가 될지 주목된다.22일 KT가

하이트진로, 제주 이호테우해변서 ‘해변 가꾸기’ 환경정화

하이트진로가 '국제 연안 정화의 날'을 맞아 지난 19일 제주 이호테우해변에서 환경정화활동을 펼쳤다고 22일 밝혔다.하이트진로는 2020년 제주 표선해

2027년부터 국내급유 국제선 지속가능항공유 '1% 의무화'

2027년부터 국내에서 급유하는 모든 국제선 여객기에 지속가능항공유(SAF) 1% 혼합이 의무화된다.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항공업계 탄소중

대기업 취업시장 '활짝'…하반기 2만5000명 채용한다

삼성과 현대차 그리고 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하반기 대규모 신규 채용에 나사면서 침체됐던 취업시장이 활기를 띨 것으로 보인다.19일 재계에 따

기후/환경

+

"美 산불 연기로 2050년까지 190만명 사망할 것"

북미지역에서 발생하는 산불 규모가 매년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에서 산불 연기로 인한 사망자가 2050년까지 190만명에 이를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

美서 '살 파먹는' 박테리아 번성...기후위기 때문이라고?

올해 미국 루이지애나주 해안에서 일명 '살 파먹는' 박테리아로 인해 5명이 사망했다. 기후변화로 인해 박테리아가 번성한 것이 원인이라는 지적이다.1

붉게 변하는 알래스카 연어 하천…녹고있는 영구동토층이 원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알래스카 북부 브룩스 산맥의 하천이 주황빛으로 변하며 새로운 수질 위기가 드러났다.미국 워싱턴대와 알래스카대 연구진은 9

트럼프는 반친환경 정책 펴지만...美 '기후주간' 역대 최대 규모로 개막

'클라이밋 위크(Climate Week) 2025'가 미국 뉴욕에서 21일(현지시간) 8일간의 일정으로 개막했다. 이번 행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반친환경적 정

저수율 52%로 가뭄 벗어났지만...강릉, 투명페트 쓰레기에 '몸살'

강릉은 열흘전만 해도 저수율이 11.5%까지 떨어져 최악의 상황에 직면했지만 최근 잇달아 내린 비 덕분에 저수율이 52%까지 높아지면서 가뭄에서 벗어났

가뭄 벗어난 강릉...단비에 도암댐 방류덕에 저수율 50.8%

강릉이 드디어 가뭄에서 벗어났다. 몇 일 간격으로 내린 단비에 평창 도암댐 방류까지 시작하면서 저수율이 50%를 넘어섰다.강릉지역 생활용수의 87%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