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폭우' 교차하는 이상기후...원인은 '해수온 상승탓'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8-05 18:28:14
  • -
  • +
  • 인쇄
▲ 지난 3일 폭우가 쏟아져 물바다로 변한 광주시 운암동 일대 (사진=연합뉴스)


올여름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나타나는 이상기후가 이어지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

이달 3일 광주와 전남, 경남 등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밤사이 집중호우가 쏟아져 주민 2500여명이 긴급대피하는 일이 벌어졌다. 이날 전남 무안군에는 1시간동안 142.1㎜의 비가 퍼붓는 등 200년에 한번 내릴 수준의 '괴물폭우'가 쏟아졌다. 7월 중순에도 산청에 5일간 793.5㎜의 폭우가 내렸고, 가평에는 하루밤에 197.5㎜의 비가 내려 마을이 물에 잠기고 산사태가 발생했다.

'괴물폭우'는 대만도 강타했다. 대만 기상청(CWA)에 따르면 대만 남부지역에는 지난달 28일부터 일주일 내내 기록적인 폭우가 이어졌다. 특히 가오슝시 산간 지방 마오린에서는 일주일 동안 2800㎜ 이상의 비가 내렸다. 대만 연평균 강우량이 2500㎜인 걸 감안하면 1년동안 내릴 비가 7일만에 쏟아졌다. 대만 기상예보 센터장은 "대만에서 7일 연속으로 200㎜ 넘는 비가 내린 건 1998년 이후 처음"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역대급 폭우를 만들어낸 원인은 지구온난화가 초래한 폭염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달초 극한폭우가 쏟아지기전 우리나라는 보름동안 35℃ 안팎의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렸고, 대만도 39.2℃에 달하는 폭염에 시달렸다. 폭염은 육지만 달구는 것이 아니라 바닷물도 뜨겁게 달궜다. 뜨거워진 바다는 다량의 수증기를 발생시켰고, 이 수증기가 육지로 이동하면서 폭우를 뿌렸다.

이번에 대만과 한반도의 '극한호우'는 8호 태풍 '꼬마이'의 간접적인 영향이 컸다. 지난 7월 24일 필리핀 마닐라 근해에서 생겨난 태풍 '꼬마이'는 북동쪽으로 이동하면서 세력을 키우다가 북태평양고기압에 밀려 북서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중국 상하이 인근에 상륙했다. 경로상 우리나라와 대만은 태풍의 직접 영향권이 아니지만 '꼬마이'가 끌고 온 바람과 저기압이 비구름대를 형성하는 기폭제가 됐다.

▲폭우와 폭염이 번갈아 나타나고 있는 동아시아 국가들(사진=windy 캡처)

우리나라의 경우 태풍이 끌고 올라온 습한 공기가 북쪽의 찬 공기와 서해 상공에서 충돌하면서 강한 비구름을 형성했고, 전남 서해안에는 소규모 저기압들이 발생해 무안과 함평 지역에 수증기가 집중되면서 국지성 호우로 이어졌다.

대만의 경우도 비슷하다. 태풍이 북상하는 과정에서 남서풍을 함께 끌어올려 남중국해의 습한 공기가 대만으로 향하게 만들었다. 온난화에 의해 대기 중에 가득 차있던 수증기가 대만으로 밀고 들어갔고, 태풍에 의해 유입된 북쪽 대륙의 찬 공기와 만나 일주일 내내 비를 쏟아내는 이례적인 비구름을 형성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비구름을 형성하는 계기가 된 건 태풍이었지만, 애초에 이처럼 이례적인 우천이 나타날 수 있던 건 온난화와 폭염으로 만들어진 수증기가 극한폭우의 조건을 만들었다고 분석했다. 우리나라도 올 6월 때이른 폭염이 나타났다가 7월 중순 폭우가 내렸고, 다시 보름간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리다가 8월초 극한호우가 발생했다. 올 6월 기준 동해 바닷물 온도는 평년 대비 1.3℃ 올랐을 정도다.

문제는 시소처럼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발생하는 일이 앞으로 빈번해질 것이라는 점이다. 조천호 전 국립기상과학원장은 5일 뉴스트리와 통화에서 "지구온난화로 기온이 오르면 바다에서 많은 양의 수증기가 발생해 대기중 수증기량이 증가하게 된다"며 "옛날보다 훨씬 많은 양의 수증기가 공급되면서 폭우성 강수가 내릴 가능성이 훨씬 커졌고, 이로 인해 폭염과 폭우가 동시에 발생하기 쉬워졌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 7월 11일 도쿄 일대에 시간당 100㎜ 이상의 기습폭우 피해를 입었던 일본도 130년 만에 가장 더운 '6월 폭염'을 겪었다. 폭우 뒤에는 어김없이 폭염이 시작됐다. 일본 교토부는 지난달 30일 관측 사상 처음으로 낮 최고기온이 40℃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속되는 폭염으로 후쿠오카의 한 식당에서는 진열대 위에 플라스틱 음식모형이 녹아내리기도 했다.

몬순 기후대인 태국과 인도 등 동남아 국가들도 때이른 폭염을 겪은 뒤 엄청난 양의 폭우로 대홍수가 발생했다. 유럽 역시 폭염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북유럽의 기온도 30℃가 넘는 이상기온이 나타나고 있다. 독일도 폭염 뒤 기습호우로 열차가 탈선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처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상승이 억제되지 않으면 폭염과 폭우가 교차되는 이상기후 현상이 매년 반복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강릉에 '반가운 비'...폭우 쏟아졌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단비'가 내렸다. 아직 가뭄이 해갈될 정도는 아니지만 간밤에 내린 비 덕분에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주말날씨] 전국 이틀간 '세찬 비'...강릉에도 '가뭄에 단비'

이번 주말에는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린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번 비는 중국에서 형성된 비구름대가 우리나라로 진입하면서

"환경장관 약속 못믿어"...세종보 천막농성 철회 안한다

4대강 보 철거를 요구하며 금강 세종보에서 500일간 농성했던 환경단체들이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이를 철회했다.11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직접

화석연료 기업들 내뿜는 탄소...치명적인 폭염을 낳았다

엑손모빌 등 석유 대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이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발생했던 수십건의 폭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강릉 식수원 고갈 일보직전 '비소식'...이틀간 20~60㎜ 내린다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으로 쓰이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1일 오전 8시 기준 11.8%까지 낮아진 가운데 토요일인 13일 동해안에 비가 내린다는 소식이다.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