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회용컵 무료제공 스타벅스 '뭇매'..."플라스틱 쓰레기 뿌린 것"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1-09-29 16:07:38
  • -
  • +
  • 인쇄
스타벅스 굿즈 받으려 매장마다 인산인해
시즌마다 내놓은 굿즈들...'그린워싱' 지적
▲28일 한 스타벅스 매장에 다회용컵이 쌓여있다(사진=트위터 유저 @every*****)


스타벅스코리아가 창사 50주년을 맞아 지난 28일 하루동안 다회용컵을 무료지급한 것을 두고 '사실상 플라스틱 쓰레기를 뿌린 것'이라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이날 스타벅스 매장들은 다회용컵을 받으려는 사람들이 몰리면서 북새통을 이뤘다. 소셜서비스에서는 "내 앞에 수백명의 대기 인원이 있다"거나 "커피 한잔 받으려면 한시간반을 기다려야 한다" 등 현장체험 게시글이 줄줄이 올라왔다. 평소 스타벅스를 이용하지 않던 사람들도 다회용컵 '굿즈'를 받기 위해 너도나도 몰린 탓이다. 심지어 중고거래 사이트에서는 이날 스타벅스가 무료로 지급한 다회용컵을 판매한다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사실 스타벅스 굿즈를 받기 위한 줄서기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텀블러나 보온병, 의자 등 스타벅스는 계절이 바뀌거나 기념일이면 어김없이 MD상품을 꾸준히 출시했다. MD 상품이 새로 나올 때마다 연일 화제가 됐고,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굿즈를 유료판매할 때도 북새통을 이뤘는데 이번처럼 스타벅스 다회용 컵을 공짜로 받을 수 있는 기회가 흔치 않으므로 사람들이 더 많이 몰린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렇게 무료제공하는 '다회용컵'이 오히려 쓰레기를 양산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점이다.

스타벅스코리아는 2025년까지 국내 모든 매장에서 일회용컵을 없앤다는 계획 아래 올 7월 6일부터 제주에서 시범적으로 '매장내 일회용컵 제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또 매장에서 일회용컵 대신 텀블러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이처럼 일회용컵 퇴출에 나선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했던 스타벅스는 다회용컵을 무료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쓰레기를 만들어버린 것이다. 게다가 스타벅스는 최근 코로나19 방역을 이유로 매장 내에서 개인용 컵이나 텀블러 사용을 중지시킨 상태다. 스타벅스에서 받은 다회용컵을 정작 스타벅스에서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인 것이다. 

권장 사용횟수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스타벅스는 자사에서 판매하거나 증정하는 다회용컵의 권장 사용횟수를 20회로 정했다. 한 연구에 따르면 텀블러는 최소 50회 이상 사용해야 일회용 종이컵 하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스타벅스에서 권장한 대로 다회용컵을 사용한다면 오히려 환경을 해치는 꼴이다.

같은 시간 미국 스타벅스는 창립 50주년을 맞아 다회용컵이나 개인 텀블러를 가져오면 커피를 무료제공하는 행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국내와 차이를 보였다. 스타벅스코리아는 신세계가 지분 70%를 보유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 누리꾼은 "누구보다 환경을 생각하는 것처럼 굴면서 사실 MD 제품판매에 제일 열심인 회사"라고 비꼬았다. 또다른 누리꾼은 "진짜 환경을 생각했다면 다회용컵이 아니라 개인컵 할인을 더해줘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스타벅스를 자주 애용한다는 직장인 A씨는 "'시즌마다 새로운 텀블러를 구매하고 정작 사용하지 않는다면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이라며 "결국 그린워싱 기업들을 몰아내려면 불필요한 소비를 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매출 9.5조 포스코이앤씨 면허취소?…사고많은 건설업계 '초비상'

연매출 약 9조5000억원에 달하는 국내 건설업계 7위인 포스코이앤씨가 창사 43년만에 절체절명의 위기에 내몰렸다. 이재명 대통령이 반복적으로 중대재

LS그룹, 41년째 '무사고·무재해' 비결은?

LS가 2021년부터 ESG위원회를 지주회사 내에 출범시키며 지속가능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위원회는 ESG 방향성 정립과 정책 변화 대응,

AI로 탄소배출 '폭등'…빅테크 '넷제로' 목표 사실상 물 건너갔다

구글과 아마존 등 주요 기술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최근 급증하면서, 이들이 공언해온 '넷제로' 목표가 사실상 무력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기후

Z세대, 기업 ESG활동에 민감...67% "비싸도 ESG 실천기업 제품 구매"

Z세대는 개인 신념과 가치관에 따라 소비를 결정하는 이른바 '미닝아웃(가치소비)'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공개한 'ESG 경

네이버, 유럽 AI커머스 발판 마련...스페인 '왈라팝' 경영권 인수

네이버가 스페인 최대 중고거래 플랫폼 '왈라팝'의 지분 70.5%를 3억7700만유로(약 6045억원)에 인수하기로 5일 결정함에 따라 유럽의 AI 커머스 거점을 확

동원산업, 동원F&B 100% 자회사로 편입 완료

동원그룹의 지주사 동원산업이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한 동원F&B를 100% 자회사로 편입하는 절차를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동원그룹은 지난 4월 동원

기후/환경

+

"탄소 저장해드립니다"…노르웨이 'CCS' 사업에 33억불 투자

북유럽 국가 노르웨이가 최근 북해 해저에 이산화탄소를 영구 저장하는 '노던라이츠(Northern Lights)' 사업에 33억달러(약 4조5800억원)를 투입했다. 석유개

급류에 마을이 통째로 휩쓸려...히말라야 산간마을 '돌발홍수'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간마을에 갑자기 홍수가 발생했다.6일(현지시간) AFP 통신과 영국 가디언 등에 따르면 전날 인도 북부 우타라칸드주 히말라야 인

'괴물폭우' 예보됐는데…'띠모양 비구름대'로 기상 예측불허

'괴물폭우'가 내린다던 예보와 달리 서울 도심에는 새벽에 잠깐 강한 비가 내리다가 그쳤다. 반면 수도권과 가까운 경기북부와 강원 지역에는 시간당 3

[르포]사과 5알에 1만6000원?...폭염·폭우에 과일·채솟값 '껑충'

폭염·폭우 등 이상기후 영향으로 농산물 가격이 크게 올랐다. 치솟은 물가는 6일 뉴스트리 취재진이 찾은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한 마트에서도 고

'폭염↔폭우' 교차하는 이상기후...원인은 '해수온 상승탓'

올여름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나타나는 이상기후가 이어지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이달 3일 광주와 전남, 경남 등 우리

"숲가꾸기 정책 개선해야"…전문가들 산림정책 전환 '한목소리'

국회에서 열린 산림정책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지금처럼 운영되는 숲가꾸기 정책은 바뀌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국회 산불피해지원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