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주입기마다 색깔이 달라...스웨덴 '에코 라벨' 부착 의무화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1-10-04 16:50:30
  • -
  • +
  • 인쇄
에너지 소매업자 대상 '재생에너지 인증제'
재생에너지 비율, 연료 원산지 표기 의무화
▲에탄올 E85, 가솔린 및 디젤 주유기에 표기된 환경라벨(사진=녹색자동차협회)


스웨덴이 1일(현지시간)부터 유류와 가스 연료주입기에 '에코 라벨' 부착을 의무화한 재생에너지 인증제를 시행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스웨덴의 에너지 소매업체들은 유류 및 가스 연료주입기에 의무적으로 에코 라벨을 부착하는 한편 전기자동차 충전소 및 웹사이트에 관련 정보를 표시해야 한다.

스웨덴 에너지청은 소비자들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에너지 등급별로 기후영향도와 재생가능한 원료 및 화석원료의 비율 등을 색상으로 구분해 표기하도록 했다. 소비자들은 이 라벨만 보면 자신이 사용하는 연료의 재생에너지 비율과 원산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연료 소매업체들에게 연료주입기에 친환경 등급표기를 의무화한 것은 스웨덴이 세계 최초다. 스웨덴은 생산자를 대상으로 한 전력인증제도를 지난 2003년 도입했다. 에너지에 환경등급을 매기는 제도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세계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스웨덴 당국은 이번 에코 라벨표기를 통해 화석연료, 바이오연료 및 전기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강조하고 지속가능한 연료의 가치를 운전자에게 인식시키기를 기대하고 있다.

마리 펠라스 스웨덴 녹색자동차협회(Swedish Association of Green Motorists) 회장은 "환경운동가들이 거의 10년동안 연료주입기에 에코 라벨을 붙이고자 캠페인을 벌여왔다"며 "마침내 실현돼서 매우 기쁘다"고 밝혔다.

스웨덴과 유사한 사례로는 지난해 12월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서 시행한 기후변화 경고표시제가 있다. 케임브리지는 미국 최초로 주유소에 기후위험도를 알리는 노란색 경고 게시를 의무화했다. 다만 스웨덴의 인증제는 등급별로 다양한 색상으로 표기한다는 점에서 보다 세분화되고 차별화돼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KB국민은행, 서울숲에서 어린이 꿀벌 체험 프로그램 진행

KB국민은행은 생태계 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자 서울숲 꿀벌정원에서 어린이 꿀벌체험 '안녕, 꿀벌'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이번 프로그램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기후/환경

+

산불 트라우마 '의사결정' 능력에도 영향..."적절한 결정 못해"

산불 등 기후재해를 겪은 생존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잘 내리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오랜시간 기다리면 더 큰

"한국 2035년까지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어떻게?

우리나라는 국제감축 활용 없이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61% 감축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1일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 글로벌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