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연구진, 여러번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 신소재 개발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2-11 17:18:10
  • -
  • +
  • 인쇄
플라스틱의 '탄소-수소' 결합구조 변형해
재활용해도 내구성 강한 결합체로 개발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 연구팀은 플라스틱 수지를 화학적으로 변형해 재활용하기 쉽게 만드는 방법을 고안했다. (사진=UNC 채플힐)


플라스틱의 화학구조를 바꾸어 재활용과 수익성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업사이클링' 기술이 개발됐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UNC) 연구팀은 플라스틱을 분해해 기존보다 더 강하고 단단하며 반복 재활용이 수월한 신소재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7일(현지시간) 사이언스데일리가 발표했다.

연구팀은 플라스틱수지(polymer)에서 흔히 나타나는 탄소-수소 결합을 바꿈으로서, 수지의 수명을 일회용 이상으로 확장했다. 새로운 시약으로 수지 화합물에서 수소원자를 제거해 새로운 결합체를 만들어낸 것이다.

플라스틱 재활용을 가장 어렵게 만드는 요인은 플라스틱의 화학적 성질이다. 탄소-수소 결합은 자연에서 가장 강력한 화학결합 중 하나로, 그 안정성은 천연물을 의약품으로 가공하는 일을 어렵게 하고 플라스틱 재활용을 어렵게 만든다.

2020년 연구에 따르면 미국 기준 플라스틱 쓰레기 재활용률은 고작 9%다. 현대인이 사용하는 플라스틱 물병, 그릇 및 컵은 거의 재활용되지 않는 실정이다. 녹일 수 있는 열가소성 플라스틱도 재사용할 때마다 내구성이 약해진다. 이런 고질적인 문제가 플라스틱 재활용에 있어 큰 경제적 장벽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재활용되더라도 대부분의 플라스틱은 카펫이나 폴리에스터 의류와 같이 품질이 낮은 제품으로 '다운사이클링'되며, 이마저도 결국 쓰레기 매립지로 향한다. 바다에 버려진 플라스틱은 거북이 먹이로 착각해 삼키는 등 해양생물을 위험에 빠뜨린다.

프랭크 라이프파스 UNC예술과학대학 화학과 조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이러한 플라스틱 쓰레기를 새로운 분자와 물질의 자원으로 관점을 전환한 것이 연구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더 스마트하고 기능적이며 지속가능한 폴리머를 설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재활용하기 어려운 플라스틱 폐기물을 고가의 폴리머로 변환할 방안을 구상했다.

연구팀은 운송포장에 사용되는 스티로폼부터 연구했다. 스티로폼은 폴리올레핀이라는 저밀도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연구팀은 이 폴리올레핀에서 수소원자를 선택적으로 뽑아내, 일회용 플라스틱의 수명을 아이오노머(Ionomer) 수지로 확장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아이오노머는 촉감이 부드럽고 충격 및 화학물질에 강해 다양한 식품포장에 사용되는 고부가 플라스틱 수지다.

라이프파스 교수는 "화학물질을 폴리머에 반복 적용해 계속 재활용할 수 있다면 플라스틱을 바라보는 시각을 바꿀 수 있을 것"이라며 "이 방법이 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말 그대로 쓰레기를 보물로 만들 수 있기를 바란다"고 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사이언스지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동물성 식재료 쏙 뺐더니...탄소배출 확 줄어든 '지속가능한 한끼'

지속가능한 식단을 직접 먹어보면서 알아보는 특별한 토크콘서트가 서울 성수동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에서 열렸다. 기후솔루션 주최로 16일 오후

기후/환경

+

산불 트라우마 '의사결정' 능력에도 영향..."적절한 결정 못해"

산불 등 기후재해를 겪은 생존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잘 내리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오랜시간 기다리면 더 큰

"한국 2035년까지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어떻게?

우리나라는 국제감축 활용 없이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61% 감축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1일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 글로벌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