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는얼굴 '이라와디돌고래' 캄보디아 메콩강에선 멸종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02-21 12:24:09
  • -
  • +
  • 인쇄
세계적 멸종위기종...전세계 개체수 89마리도 안돼
▲희귀 민물고래 '이라와디돌고래' (사진=연합뉴스)


이제 캄보디아 북동부에서 희귀종 민물고래 '이라와디돌고래'를 더이상 볼 수 없게 됐다. 마지막 남은 이라와디돌고래 한마리가 어망에 걸려 죽었기 때문이다.

20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지난 15일 라오스와 국경을 접한 캄보디아 북동부 쓰뚱 뚜렝주 내 메콩강 강둑에서 이라와디돌고래 한 마리가 숨진 채 발견됐다. 이 이라와디돌고래는 이 지역에 살고 있던 마지막 개체였다.

죽은 돌고래는 약 1주일 전에 어망에 꼬리가 걸리면서 생긴 상처 때문에 꼬리로 헤엄을 치지 못해 결국 죽음에 이른 것으로 파악됐다. 헤엄을 치지 못하니 먹이섭취를 제대로 할 수 없었던 것이다. 

세계자연보호기금(WWF)에 따르면 몸길이 2.6m에 몸무게 110kg이나 나가는 이 돌고래는 25살 수컷이며, 사체가 발견된지 사흘전에 숨진 것으로 추정됐다. 마지막 개체의 죽음에 캄보디아 어류보존국은 페이스북에 해당 사진을 싣고 "라오스 국경 인근 마지막 이라와디돌고래의 죽음에 깊은 슬픔을 표한다"고 밝혔다.

캄보디아 북동부에 있는 이라와디돌고래는 국제적인 보호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활동, 메콩강물 흐름의 변화, 기후변화 등으로 전체 개체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특히 이라와디돌고래들은 먹이를 찾기 위해 사람들이 쳐놓은 그물에 들어가거나 폭발물을 이용해 어업하는 곳을 떠돌다 죽은 사례가 많았다.

이라와디돌고래는 고래목 강거두고래과에 속하는 민물 돌고래로 메콩강 지역을 포함한 인도차이나와 벵골만, 호주 북부지역에서 주로 발견됐다. 그러나 최근 수년간 메콩강에서는 오염과 불법 포획 등이 늘어나면서 이라와디돌고래는 멸종위기에 직면했다.

특히 기후변화에다 상류에 우후죽순 건설되는 댐으로 물의 양이 줄어들면서 돌고래가 먹이로 섭취하는 수생생물 수도 급격히 줄어 위기에 처했다. 지난 1997년 캄보디아 어류 당국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당시 이라와디돌고래의 개체수는 약 200마리였다. 하지만 2020년에는 그 수가 89마리로 급감했으며, 그것도 스뚱 뜨렝주에서 멀리 떨어진 메콩강 하류지역에서만 목격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돌고래가 살던 지역의 한 주민은 "이번에 죽은 이라와디돌고래는 이곳에서 살던 마지막 민물 돌고래"라며 "먹이가 부족하고 생태계도 파괴되고 있는 만큼 더는 돌고래를 보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대한항공, 캐나다 2위 항공사 '웨스트젯' 지분 10% 인수

대한항공이 캐나다 2위 항공사 지분 10%를 인수하며, 글로벌 항공사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대한항공은 9일 오전 이사회를 열고 캐나다 웨스트젯 항

현대百 등 4개 계열사 자사주 취득..."주주가치 제고 차원"

현대백화점그룹이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 등 계열사 4곳의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약 3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추가 취득하기로 했다.현대백화점은

빙그레 대표이사에 ㈜제때 김광수 사장 내정

빙그레가 신임 대표이사에 ㈜제때의 김광수 대표이사를 내정했다고 9일 밝혔다.빙그레는 전창원 현 대표이사가 최근 개인적인 이유로 자진 사임 의사

LG화학, 협력사 탄소중립 지원 소매걷었다..."ESG경영 실천"

LG화학이 협력사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본격적으로 나선다.LG화학은 9일 '탄소중립 선도플랜트 구축 지원' 사업을 통해 우수 협력사인 우성케미칼의

비행기 탄소배출 막대한데...항공업계 탄소감축 '뭉그적'

항공산업은 전체 탄소배출량의 2~3%를 차지할 정도로 기후위기를 심화시키는 대표적인 운송수단으로 꼽히고 있지만, 이를 해결하려는 항공업계의 미온

삼성 '갤럭시S25' 美 'ReMA 재활용 디자인 어워드' 수상한다

삼성전자가 자사의 '갤럭시S25'가 북미 재활용산업협회 ReMA(Recycled Materials Association)가 수여하는 '2025 ReMA 재활용 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한다고 7일 밝혔

기후/환경

+

탄소배출권 거래제의 구멍?...탄소 줄고 독성물질 40% 증가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온실가스 감축에는 기여했지만 예상치 못한 또다른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허점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한국과학기술원(

"보험료 산정 어쩌나?"...美 NOAA, 기후손실액 추산 '올스톱'

미국의 국립해양대기청(NOAA)이 기후재난에 의한 손실액을 더이상 추산하지 않을 전망이다.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미국 상무부 산하기관으로, 일일 기

미국이 침몰한다?..."3380만명 침몰하는 땅에 살고있다"

미국인 3380만명이 침몰하는 땅에 살고있다는 충격적인 연구결과가 나왔다. 8일(현지시간) 미국 콜롬비아대학 레너드 오헨헨 연구팀이 발표한 연구에

무서운 '산불 연기'...美 15년간 1만5000명 사망

기후위기로 산불이 빈번해지면서 미국에서 매년 수천명이 사망하고 수십억달러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다.최근 발표된 니콜라스 나시카스 하버드대

지구온난화 책임은 '부유층'…상위 10%가 온난화 영향력 65% 차지

1990년 이후 세계 상위 10% 부유층이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력이 절반이 훨씬 넘는 6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7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국제응용

기후재난 피해는 젊은세대의 몫..."15억명이 폭염에 노출될 수도"

지구온난화가 심해질수록 젊은세대들은 폭염과 홍수, 가뭄, 산불, 흉작 등의 기후재난을 겪을 위험성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7일(현지시간) 벨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