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환경 제노사이드" 규탄...푸틴의 환경범죄 3가지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3-29 16:08:37
  • -
  • +
  • 인쇄
우크라 환경파괴로 전쟁끝나도 피해 지속
IAEA 협약·람사르 협약·부쿠레슈티 조약 위반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저지른 환경파괴로 우크라이나는 전쟁중인 현재 뿐 아니라 전쟁이 끝난 뒤에도 지속가능한 발전에 치명타를 입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28일(현지시간) 미국 정치 전문매체 더힐(The Hill)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환경보호 및 천연자원부 이리나 스타브척(Iryna Stavchuk) 부장관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 "국제법, 인권, 환경 및 핵 안보, 국제평화에 대한 명백한 위반행위"라면서 "이는 세계적인 환경 재앙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전쟁의 환경적 영향을 중심으로 러시아를 규탄했다.

◇우크라이나 정부, 러시아의 '환경 제노사이드' 규탄

스타브척 부장관은 "우크라이나가 유엔(UN)에 제출한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는 1990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의 65%를 감축하기로 명시돼 있다"며 "전쟁이 끝난 뒤 도시 재건을 위해 필요한 콘크리트와 철근만 하더라도 생산시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면서 기후목표 달성에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며 우려했다.

지난 15일 우크라이나 정부는 전쟁으로 인한 환경 피해 보고서를 발간해 유네스코(UNESCO) 생태지구과학국 산하 '인간과 생물권 사업'(Man and the Biosphere Programme·MAB) 국제조정이사회에서 러시아를 퇴출시킬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유네스코는 1971년 환경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하기 위해 MAB을 시작했고, 자연보전뿐만 아니라 그곳에 거주하는 사람까지 고려하는 '생물권'이라는 용어를 국제사회에 처음 도입했다.

보고서는 이번 전쟁으로 "무분별한 착취가 진행되고 있고, 자연생태계가 파괴되고 환경이 오염되고 있다"면서 "가장 잔혹한 형태의 '환경적 제노사이드'가 벌어지고 있다"며 환경과 관련한 국제조약을 수차례 위반한 러시아의 환경범죄를 규탄했다.

◇원전 시설 포격...IAEA협약 위반

가장 심각한 조약 위반 사례로는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위협이 꼽힌다. 평화적 목적의 원전 시설에 대한 무장공격이나 위협은 UN 헌장, 제네바협약에 대한 추가의정서, 국제원자력기구(IAEA) 협약에 대한 위반이다.

러시아는 전략적인 이유로 침공 초기 체르노빌 원전을 가장 먼저 점거했고, 유럽 최대규모의 자포리자 원전에 포격을 가했다. 특히 체르노빌에서는 1986년 폭발사고로 히로시마 원폭 투하 때보다 1000배 더 많은 방사능 물질이 방출됐고, 20만명이 평생 방사능 정기검진을 받게되면서 세계적인 반핵운동의 계기가 됐다. 이 때문에 국제사회에서는 체르노빌 참사가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지난 27일 류드밀라 데니소바 우크라이나 의회 인권담당관에 따르면 체르노빌 원전 출입금지구역에서 31건의 화재가 발생해 1만㏊가 넘는 삼림이 소실됐다. 산불은 진압된 상황이지만 언제고 땅속에 남아있는 불씨가 연기와 바람을 타고 넘어와 원전 인근으로 확산할 수 있는 상황이다.

◇토양에 스며드는 독극물...람사르 협약 위반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산업단지와 식수공급 및 하수처리 시설을 집중 폭격하면서 독극물과 화학물질이 대기와 토양을 오염시키고 있다. 오염물질이 지하수에도 스며들면서 우크라이나 시민들은 심각한 물부족을 겪고 있다. 또 39만7700㏊에 달하는 람사르 등록 습지 14곳 그리고 20여개의 자연보호구역과 국립공원이 파괴됐다.

람사르 등록 습지는 람사르 협약으로 선정돼 국제적인 중요성을 지닌 습지를 말한다. 람사르 협약은 1971년 이란의 람사르에서 물새 서식 습지대를 보호하기 위해 채택됐다. 이는 자연자원과 서식지의 보전 및 이용에 관한 최초의 국제협약이다.

환경전문가들은 습지가 파괴됨에 따라 철새들의 이동경로가 교란되고, 소나무, 삼나무, 향나무, 주목, 난초, 늑대, 느시 등을 포함한 멸종위기종의 서식지가 보호받지 못하면서 생태계가 심각하게 파괴될 것으로 내다봤다.

◇항만파괴로 수질오염 심각...부쿠레슈티 조약 위반

지난 14일 러시아군이 자포리자 남부를 포격하면서 방사능 오염수가 우크라이나 국토를 반으로 가르는 2290km 길이의 드니프로 강에 처리 과정 없이 누출됐다. 드니프로 강의 물줄기는 흑해로 흘러들어간다.

게다가 러시아는 아조우해에 위치한 항구도시 마리우폴을 비롯해 우크라이나 남부해안의 주요 요충지를 겨냥하면서 항만시설을 파괴하고 있다. 함선을 위해 연료를 비축해 둔 저장고나 기름을 실은 선박들이 침몰하면서 해양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다.

이는 1992년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를 포함한 흑해 연안국들이 흑해를 환경오염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루마니아에서 맺은 부쿠레슈티 조약을 위반한다.

이처럼 수차례 국제환경조약을 위반한 러시아에 대해 우크라이나 정부는 "1977년 채택된 제네바협약 제1 추가의정서에 따르면 각국은 광범위하고 장기적으로 심대한 위해로부터 자연환경을 보호할 의무가 있으며, 이를 의도하거나 이같은 영향이 예상되는 전쟁수단을 금지하고 있다"며 국제사회가 우크라이나의 자연환경을 지키기 위해 관련 조처를 취할 수 있는 모든 조처를 취하도록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ESG '환경·사회' 지표 투자전략 반영했더니 지수 수익률 상회"

투자전략에 ESG 세부지표를 반영하면 시장대비 높은 장기수익률과 안정적인 위험관리 성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

'몸짱 소방관' 2026년 달력 만든다...'우리동네GS'에서 사전예약

오는 11월 9일 소방의 날을 맞아 2026년도 '몸짱 소방관 달력'이 나온다.몸짱 소방관 달력의 정식명칭은 '소방관 희망나눔달력'으로, 서울시 소방재난본

SK이노, 에이트린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전과정평가(LCA) 무상 지원

SK이노베이션이 소셜벤처 '에이트린'의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대한 전과정평가(LCA)를 무상 지원한다.SK이노베이션은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

KT도 '유심' 무상교체 시행...김영섭 대표는 연임포기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다시한번 사과하고,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

노동부 칼 빼들었다...'런베뮤' 지점과 계열사도 근로감독

고용노동부가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런던베이글뮤지엄'의 모든 지점과 운영사인 엘비엠의 계열사까지 근로감독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런던베이글

SPC 허진수-허희수 형제 '나란히 승진'...경영승계 '속도낸다'

SPC그룹은 허진수 사장을 부회장으로, 허희수 부사장을 사장으로 각각 승진 발령하면서 3세 경영승계 작업을 가속화했다.4일 SPC그룹은 이같은 인사단행

기후/환경

+

아마존 '지구허파' 옛말?...14만건 산불로 '탄소배출원'으로 전락

'지구의 허파'로 불리는 아마존 열대우림이 지난해 산림벌채보다 산불로 인해 발생한 이산화탄소가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유럽연합(EU) 공동연구

韓선박 무더기 운항제한 직면하나?..."탄소감축 못하면 국제규제"

한국 해운업계가 탄소배출을 줄이지 못해 일부 선박이 운항제한이나 벌금을 맞을 위기에 직면했다.기후솔루션은 5일 전세계 100대 해운사의 온실가스

화석연료 못버리는 국가들..."파리협약 1.5℃ 목표달성 불가능"

전세계가 지구온난화를 1.5℃ 이내로 억제하기로 합의한 '파리기후변화협약'이 사실상 실패했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5일(현지시간) 미국 시사주간

[뷰펠] 에너지 저장하는 '모래 배터리' 개발...베트남 스타트업의 도전

뉴스트리가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 '뷰티풀펠로우'에 선정된 기업을 차례로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뷰티풀펠로우는 지속가능하고 혁신적인

[단독] 정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률 '61%안'으로 가닥

2035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가 '61%안'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4일 정부 안팎 관계자들에 따르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5

국제기후기금 97%는 기술에 '몰빵'...사회적 지원은 '찔끔'

국제적으로 조성된 기후기금의 97%는 기술투자에 투입됐고, 사람과 지역사회를 위한 지원은 거의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3일(현지시간) 영국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