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카타르월드컵도 그린워싱?…탄소중립 '헛발질'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2-11-17 17:58:35
  • -
  • +
  • 인쇄
"이산화탄소 발생량 최소 1000만톤"
러시아월드컵 4배…당초 약속의 3배
▲2022 카타르 월드컵이 진행되는 스타디움 974(사진=국제축구연맹)

"카타르 월드컵은 최초의 탄소 중립 월드컵이 될 것"이라는 주최측 발언에 대해 전문가들이 허무맹랑한 소리라고 지적했다.

카타르 월드컵 주최 측은 지난 2020년 1월, 이번 행사를 최초의 탄소 중립 월드컵으로 만들 것이라고 공약했다. 이들은 월드컵 진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온실가스 배출을 상쇄하고, 재생 에너지를 활용해 인근 지역에 탄소 감축 대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제축구연맹(FIFA)은 지난해 6월, 카타르 월드컵의 탄소 배출 추정치를 계산해 약 363만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대회인 2014년 브라질 월드컵(272만톤)과 2018년 러시아 월드컵(217만톤)보다 배출량이 많지만 주최 측은 탄소 대부분이 항공기 이용, 숙박, 기반 시설 구축 과정에서 배출되므로, 경기장 간의 이동 거리를 줄이고 전기버스, 지하철 이용을 활성화하며, 부족한 부분은 탄소 배출권 구매를 통해 상쇄할 것이라 말했다.

하지만 벨기에 '카본 마켓 워치'(Carbon market watch)는 국제축구연맹이 탄소 배출량을 추정할 때 항공기 편도행에 의한 환경영향만을 고려했으며, 월드컵을 위해 조성된 건축물의 탄소 발자국을 건물 예상 수명으로 나눠 계산했기 때문에 탄소 배출량이 과소평가된 것이라 지적했다.

영국 랭커스터대 마이크 버너스-리(Mike Berners-Lee) 교수는 "카타르 월드컵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최소 1000만 톤이 넘을 것"이라며 "주최측 주장보다 세 배 가까이 많은 수치"라고 말했다.

또한 경기장을 한 지역에 집중시켜 항공기 운항을 최소화한다고 밝혔지만, 카타르 공항은 월드컵을 대비해 매일 160편의 항공편을 운항할 것이라고 발표해 주최측 주장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있다.

기후학자 케빈 앤더슨(Kevin Anderson) 교수는 영국매체 BBC와의 인터뷰에서 "국제축구연맹은 정말 전형적인 (그린워싱) 행동을 보였다"며 "모든 수준에서 (탄소중립에) 실패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우리은행 'G.우.주 프로젝트' 시행...경기도 보호아동 위해 6억 지원

우리은행이 'G.우.주 프로젝트'를 통해 보호아동을 위해 4년간 매년 1억5000만원을 지원한다.우리은행은 경기주택도시공사(GH),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전략은...KEMI, 17일 세미나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오는 17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 전략'을 주제로 ESG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3일

방시혁 하이브 의장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50억 기부

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모교인 서울대학교에 기부한 50억원이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사용된다.서울대는 3일 오후 6시 서울 관악구 서울대 문화관 중강

KCC '2025 ESG 보고서' 발간...온실가스 '스코프3'까지 확장

KCC가 ESG경영 성과와 지속가능 전략을 담은 '2025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올해 11번째로 발간되는 이번 보고서는 지속가능경영보고

"중대재해는 기업 ESG평가의 핵심리스크...등급 차감요소로 작용"

'중대재해'가 기업의 가치와 ESG 평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스틴베스트가 3일 발간한 '중대재해

기후/환경

+

바닐라·유제품 생산량도 감소?...기후변화로 생산량 감소세

바닐라와 유제품 등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품과 향신료가 기후변화에 의해 생산량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샬럿 와테인

美 캘리포니아 반년만에 또 '대형산불'...폭염과 강풍에 불길 확산

올 1월 로스앤젤레스(LA) 대형산불로 몸살을 앓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또다시 대형산불이 발생했다.3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산림소방국(Cal Fire)에

"더이상 못 참겠다"…환경부, 계양산 러브버그 직접 방제

인천 계양산에 떼로 나타났던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로 인해 주민들의 불편이 커지자, 환경부가 결국 직접 방제에 나섰다.최근 계양산 정상을

때이른 폭염에 '가장 더운 6월'...1년만에 평균기온 또 갈아치웠다

올 6월 우리나라 전국 평균기온이 역대 최고를 기록하면서 '역대 가장 더웠던 6월'로 기록됐다.4일 기상청이 발표한 2025년 6월 기후특성에 따르면 6월 전

'불지옥'으로 변한 유럽...독일과 그리스 산불 계속 확산

역대급 폭염이 덮친 유럽에서 유럽으로 인한 산불이 곳곳에서 발생하면서 가득이나 뜨거운 대기를 더 뜨겁게 달구고 있다. 3일(현지시간) dpa통신 등에

[주말날씨] 낮 최고 36℃ '찜통더위'...밤에도 28℃ '열대야'

이번 주말도 낮밤을 가리지 않고 찜통더위가 이어지겠다. 중부지방은 대체로 흐리고 남부지방과 제주도는 가끔 구름많겠다.전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