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발 가로수' 사라지나...환경부 "가로수잎 75% 유지해야"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3-31 12:01:02
  • -
  • +
  • 인쇄
생태·대기질 유지 및 탄소감축에 수목 건강 중요
자생종·밀원식물·식이식물 우선해 수종 다양화
▲지난 16일 속초 시내 도로변에서 봄맞이 가로수 가지치기가 진행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나무 몸통만 남을 정도로 가지를 싹둑 자르는 무분별한 가지치기를 제한하는 지침이 생겼다.

31일 환경부와 국립생물자원관은 가로수 가지치기를 할 때 잎을 75% 유지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은 '도시 내 녹지관리 개선방안'을 마련했다. 그동안 도시 녹지관리는 생태·환경기능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은데 대한 개선책인 셈이다.

일례로 생물다양성, 도심 온도 조절, 대기질 개선 등의 기능을 갖춘 가로수는 도로 부속물로 관리되며 손쉽게 강전정(전체가지 절단) 가지치기를 당하거나 다른 생물종들과의 연계 등을 고려하지 않고 무분별한 외래종을 마구잡이식으로 식재하는 등의 문제가 지적됐다.

이에 환경부는 '도시 내 녹지관리 개선방안'을 통해 도시숲을 가꿀 때 단일종은 10% 이하, 동일 속은 20% 이하, 같은 과는 30% 이하로 유지되도록 해서 수종을 다양화시키는 '10-20-30 원칙'을 마련했다.

또 앞으로 나무를 심을 때 자생종과 꿀이 많은 '밀원식물', 새와 곤충의 먹이가 되는 '식이식물'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 다만 플라타너스와 은행나무처럼 자생종이 아니더라도 널리 분포돼 있는 수종은 그대로 유지할 것을 권했다.

개선방안에는 나무그늘이 도시면적의 30% 이상을 차지하도록 도심속 건물에서도 잘 관리된 나무가 3그루 이상 보이도록 하고, 300m만 가면 공공 녹지공간을 볼 수 있도록 '3-30-300 규칙'에 대한 내용도 담았다.

가로수 가지치기에 대한 가이드라인도 제시됐다. 그동안 간판을 가린다는 등의 이유로 무분별하게 가로수 가지치기를 해서 나뭇잎과 가지를 모두 잃고 기둥만 앙상하게 남은 '닭발 가로수'들이 즐비했다. 하지만 앞으로는 나뭇잎이 달린 수목 부분을 75% 이상으로 유지하는 선에서 가지치기를 해야 한다. 닭발 가로수를 만들면 가로수의 대기오염 정화기능이 훼손되고 잎마름병에 취약해진다는 게 환경부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나뭇잎의 25% 이상을 쳐내면 에너지 생산능력이 떨어져 수명이 단축된다고도 지적했다. 개선방안은 수목 건강을 위해 식재 구덩이를 2m 이상 파고, 뿌리를 다치게 하지 않도록 굴착과 트렌칭 공법 등을 제한해야 할 필요성도 제기했다.

이 관계자는 "도시 내 녹지는 도시생태축 연결, 생물서식처, 도심열섬 완화, 탄소흡수, 대기오염 정화 등 다양한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한다"라며 "도시생태계 건강성 향상을 위해 관련 부처 모두의 협력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구글 DC 하나가 57만톤 배출?…AI로 英 탄소감축 '빨간불'

영국에 설립될 구글의 신규 데이터센터(DC)가 연간 57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할 것으로 추정되자, 환경단체와 기후전문가들이 환경 영향에 대해 강력히

인천 온실가스 49% 비중 영흥화력..."2030년 문 닫아야" 촉구

수도권 내 유일한 석탄발전소인 인천 영흥화력발전소의 2030년 폐쇄를 촉구하는 시민사회 목소리가 모였다. 기후위기인천비상행동과 전국 시민연대체

'2035 NDC' 뜸 들이는 EU...기후 선도그룹 위상 '흔들'

유럽연합(EU)이 올해 유엔(UN)에 제출해야 할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 대한 감축목표를 기한내에 확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회

태양빛으로 방사능 오염된 토양 정화하는 '인공식물' 개발

태양빛으로 방사능에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인공식물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울산과학기술원(DGIST) 화학물리학과 김성균 교수연구팀은 태

강릉 저수율 16.5%까지 상승...수요일 또 강릉에 '반가운 비'

강릉 시민들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6일 오전 6시 기준 16.5%를 기록했다. 주말 전후 오봉저수지 인근에 내린 81㎜의 비가 지

폭염 극심했던 유럽...올해 이상기후로 입은 피해 '70조원'

올해 극한기후로 인해 유럽이 약 430억유로(약 70조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독일 만하임대학과 유럽중앙은행(ECB) 연구팀은 올여름 폭염과 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