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릉 시민들의 식수공급원인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5% 밑으로 떨어지자, 정부가 '재난사태'를 선포하고 가용한 국가자원을 모두 동원해서 가뭄극복에 나서고 있다.
1일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 강한 비가 내렸지만 비가 가장 간절한 강릉은 5mm 미만으로 그쳐 가뭄이 전혀 해갈되지 않고 있다. 강릉 시민들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1일 기준 14.6%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물 부족 사태는 더 심각해졌다.
오봉저수지 저수율은 이미 지난달 31일부터 14.9%로 15% 이하로 떨어지면서 강릉시는 수도 계량기를 75% 잠그는 제한급수를 시행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되면 지대가 조금이라도 높은 곳에서는 사실상 물이 거의 나오지 않는다고 봐야 하기 때문에 최악의 사태에 직면한 것이다.
행정안전부는 지난달 30일 오후 7시를 기해 강릉에 '재난사태'를 선포했다. 물 부족으로 재난사태가 선포된 것은 처음이다. 재난사태 선포는 이재명 대통령의 지시에 의한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강릉 오봉저수지를 비롯해 상가들을 둘러보고, 강릉시 등 관계기관들과 함께 현장에서 중단기 대책을 지시했다.
이에 범정부 차원에서 강릉 가뭄대책마련이 본격 시작됐다. 정부는 '강릉 가문 대응 현장지원반'을 구성해 가용한 행정력을 총동원하고 있다. 소방청은 강릉시 급수지원을 위해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했다.

지난달 31일부터 서울과 경기, 인천, 경북 등 전국 각지에서 물을 가득 실은 소방차들이 강릉 홍제정수장으로 쉴새없이 물을 나르기 시작했다. 이렇게 소방차로 실어나른 물이 이날 하루 2500톤에 이른다. 1일부터는 물탱크 차량으로 교체해 하루 3000톤을 급수한다.
전국에서 소방차까지 동원하며 정수장에 물을 퍼나르고 있지만 강릉 시민들의 부족한 물을 해갈시키기에는 역부족이다. 이에 시민들은 최악의 상황에 대비하는 모습이다.
시민들은 빨래는 가급적 줄이고 화장실 청소는 물티슈로 대신하고 있다. 밥을 짓는 대신 햇반을 사서 먹으며 설겆이 물을 아끼고, 머리를 감는 대신 드라이 샴푸 제품을 이용한다는 시민들도 있다. 약수터에는 물을 받으려는 시민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가뭄으로 가장 타격을 받는 곳은 상가들이다. 물을 많이 사용하는 목욕탕이나 식당은 문을 닫은 곳도 생겨나고 있다.
강릉시 관계자는 "격일제 급수나 단수와 같은 최악의 사태로 치닫지 않도록 운반 급수 등을 통해 가뭄 피해를 막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