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나윤 기자가 쓴 기사

thumbimg

KT, 데이터 산학연 협의체 'K-데이터 얼라이언스' 결성
KT가 16일 서울 송파구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에서 'K 데이터 얼라이언스' 협약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한국적 AI 경쟁력의 핵심 자산이자 AI 모델 성능을 좌우하는 올바르고 신뢰할 수 있는 고품질 데이터 교류를 위해 한국 기업과 공공, 학계가 협력하겠다는...2025-07-16 10:30:02 [김나윤]

thumbimg

경기도, 영화관·장례식장에도 '다회용기' 공급
▲다회용기 세척센터 (사진=연합뉴스) 경기도가 도내 영화관과 병원 장례식장에도 다회용기를 공급한다.경기도는 경기도의료원 산하 6개 병원(수원, 이천, 안성, 의정부, 포천, 파주) 장례식장에서 다회용기 사용체계를 마련했다고 16일 밝혔다.도는 이날 경기도의료원...2025-07-16 09:33:13 [김나윤]

thumbimg

올 상반기 배출가스 차량 8만대 환경부 '리콜' 대상
▲의무 리콜 대상이 된 지엠아시아 캐딜락 CT4/CT5 2.0T (인증번호 LMY-GK-14-1) 차종 (사진=환경부) 환경부가 2025년 상반기 결함시정(리콜) 승인 현황을 집계한 결과, 5개 자동차 제작·수입사에서 51차종 8만 2537대의 차...2025-07-15 14:52:09 [김나윤]

thumbimg

李대통령 이어 환경장관 후보자도..."연내 탈플라스틱 로드맵 마련"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에 이어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도 연내 탈플라스틱 로드맵을 마련하겠다고 공언했다.김성환 장관 후보자는 15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 모두 발언에서 "연내 원천 감량과 순환이용에 기반한 탈(脫) 플...2025-07-15 12:51:33 [김나윤]

thumbimg

[기후테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전환하는 기술개발
▲Rh 촉매 구조와 CO2 수소화 반응 조건에서의 중간체 흡착모드 (사진=DGIST)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화학연료로 바꿀 수 있는 효율적인 기술이 개발됐다.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화학물리학과 박경수 교수 연구팀은 로듐(Rh) 촉매와 ...2025-07-15 09:56:01 [김나윤]

thumbimg

기아, 오토랜드화성 사업장에 PPA 재생에너지 첫 도입
▲기아 오토랜드 화성에 설치된 태양광 시설 (사진=기아) 기아가 국내 사업장 중 처음으로 오토랜드화성에 재생에너지 전력을 도입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재생에너지 전력은 지난 2월 한국남동발전과 체결한 재생에너지 직접구매계약(PPA)에 따른 것이다. PPA는 ...2025-07-15 09:35:48 [김나윤]

thumbimg

기후변화로 커지는 작물...당 함량 높지만 영양소는 부족해져
기후변화로 이산화탄소가 높으면 작물이 크게 자라면서 당함량은 높아지지만 영양성분은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로 인한 탄소농도 증가는 우리가 먹는 작물의 영양소까지 줄어들게 만드는 것이다.10일(현지시간) 영국 리버풀 존무어스대학 연구팀은 잎채...2025-07-14 16:02:11 [김나윤]

thumbimg

울릉도에 200㎜ '물폭탄'...도로 곳곳에 낙석 피해
▲낙석 피해를 입은 울릉군 북면 현포리 일대 (사진=울릉군) 간밤에 울릉도에 200㎜가 넘는 폭우가 쏟아져 낙석, 둑 붕괴 등 피해가 났다.14일 울릉군에 따르면 전날부터 이날까지 경북 울릉에 많은 비가 내렸다. 13일~14일 3시까지 울릉 강수량은 127.7...2025-07-14 15:30:23 [김나윤]

thumbimg

문 부수고 30초만에 훔쳐간 '포켓몬 카드'...알고보니 1억3000만원짜리
▲미국 매사추세츠 한 상점에서 도난당한 포켓몬 카드들 (사진='1st Edition Collectibles' 페이스북) 1억3700만원짜리 '포켓몬 카드'를 도둑맞은 사건이 미국에서 발생했다.미국 매사추세츠주에 있는 한 매장이 10만~11만3000달러에 달하는...2025-07-14 15:20:31 [김나윤]

thumbimg

조선대병원 수술실에서 화재...자칫 대형참사로 이어질뻔
▲14일 오전 광주 동구 조선대병원 수술실에서 불이 나 소방대원이 안전조치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광주 조선대병원 수술실에서 불이 나 환자와 의료진들이 대피했다. 불은 10여분만에 자체 진화됐지만, 자칫 대형 참사로 이어질 뻔했다.14일 광주소방본부 ...2025-07-14 11:04:26 [김나윤]

thumbimg

[날씨] 열대 수증기가 몰려온다...이번주 내내 '강한 비'
(사진=연합뉴스) 열대 수증기를 품은 거대한 저기압이 한반도로 몰려오고 있어 곳곳에 '물폭탄'이 예상된다. 14일 기상청에 따르면 한반도 상공을 층층이 덮고 있던 고기압이 물러나고 그 자리에 한반도 남쪽에서 열대 수증기를 품은 저기압이 북상하면서 비를...2025-07-14 10:06:53 [김나윤]

thumbimg

'유럽 독점 깬 포스코'...사우디 아람코 플랜트에 HIC 강재 첫 납품
▲사우디아라비아 파드힐리 프로젝트 전경 (사진=포스코) 포스코가 사우디 국영석유회사 아람코의 '파드힐리 가스 플랜트 증설사업'에 HIC 인증 에너지 강재를 공급한다고 13일 밝혔다.파드힐리 증설 프로젝트는 세계 최대 석유회사인 아람코가 기존 플랜트의 가스 처리...2025-07-14 09:19:06 [김나윤]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2035년 NDC 61.2% 정해야...산업 경쟁력 강화할 기회"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최소 61.2%로 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15일 국회 기후행동의원모임 '비상'은 성명을 통해 "20

환경부 '낙동강 녹조' 독성조사 착수...공기중 조류독소도 조사

환경부가 환경단체와 함께 낙동강 녹조 조사에 착수한다.환경부는 15일 오후부터 낙동강네트워크,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 녹조 심화지역에 대한 조류

국립공원 개구리 산란시기 18일 빨라졌다...기후변화 뚜렷한 징후

국내 서식하는 개구리들이 기후변화로 산란시기가 앞당겨진 것이 확인됐다.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내 산림과 무인도서에서 장기간 생

호주 시드니 3°C 오르면..."온열질환 사망자 450% 급증할 것"

지구 평균기온이 3℃ 상승하면 호주 시드니에서만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약 450% 급증할 것으로 나타났다.15일(현지시간) 호주 기후청과 기후변화

美 온실가스 배출량 '깜깜이 국가' 되나...기업 의무보고 없앤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대형 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기후정책의 핵심자료였던 배출 데이터가 사라질 경

단비에 강릉 저수율 16.3%로 상승...아직 '가뭄의 끝' 아니다

이틀간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최악의 사태를 면했다. 하지만 가뭄이 해갈되기까지는 아직 갈길이 멀어보인다. 15일 강릉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