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나윤 기자가 쓴 기사

thumbimg

선박과 충돌해 죽는 고래가 수만마리...해결책은?
지난해 12월 미국 하와이에서 척추가 꺾인 채 헤엄치는 혹등고래가 포착된 일이 있었다. 문(Moon)이라고 불리는 이 암컷 혹등고래는 지난해 9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B.C) 북해안의 핀 섬(Fin Island) 고래연구소 인근에서 처음 발견됐는...2023-04-10 18:03:04 [김나윤]

thumbimg

자동차 번호판이 197억원? 무슨 번호길래...
▲두바이에서 진행된 자동차 번호판 경매 (사진=연합뉴스)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희귀 자동차 번호판이 197억원에 낙찰돼 화제다.9일(현지시간) 국영 WAM통신에 따르면 이슬람 금식성월인 라마단을 맞아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두바이 통치자가 연 자...2023-04-10 15:41:49 [김나윤]

thumbimg

볶음밥·만두국...가공식품도 '유전자변형 돼지호박' 검출
미승인된 유전자변형 주키니호박(돼지호박)을 원료로 만든 가공식품 13종이 추가로 확인돼 판매중단 조치가 내려졌다.식품의약품안전처는 돼지호박을 원료로 사용한 가공식품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13개 제품이 미승인 유전자가 검출돼 위해식품판매차단시스템을 통해 즉시 판...2023-04-10 15:09:14 [김나윤]

thumbimg

블랙핑크 지수, 산림보호 동참...첫 솔로앨범부터 'FSC 인증'
▲FSC 인증의 의미를 팬들에게 알리는 블랙핑크 지수 (사진=FSC 코리아) 블랙핑크 지수가 국제산림관리협의회(FSC)의 인증을 받은 솔로앨범 'ME'를 발매했다. 10일 국제산림관리협의회(FSC)는 YG엔터테인먼트와 공동으로 제작한 블랙핑크의 멤버 ...2023-04-10 14:49:51 [김나윤]

thumbimg

기후변화로 홈런수가 증가한다?..."공기밀도 때문"
기후변화로 인해 야구경기에서 홈런이 급증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7일(현지시간) 미국 다트머스대학 연구진은 2010년 이후 진행된 미국 메이저리그 야구경기 10만건과 개별 홈런 타구 22만건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현재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는 홈런의 ...2023-04-10 12:38:31 [김나윤]

thumbimg

생활용품 1000여개 최대 50% 할인...쿠팡 ‘블랙 생필품 위크’
▲(사진=쿠팡) 쿠팡이 생활용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쇼핑할 수 있는 기회인 '블랙 생필품 위크' 기획전을 오는 16일까지 진행한다고 10일 밝혔다. 1000여개가 넘는 상품을 최대 50% 할인된 가격에 만날 수 있다. 블랙 생필품 위크는 고물가로 인해 ...2023-04-10 10:41:33 [김나윤]

thumbimg

롯데웰푸드, 탄소중립 위한 글로벌 RE100 가입
▲롯데웰푸드 RE100 가입 선언식에 참여한 이창엽 대표(가운데), 박경섭 생산본부장(좌), 황덕남 ESG위원장 (사진=롯데웰푸드) 롯데웰푸드(옛 롯데제과)가 10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글로벌 RE100에 가입했다.RE100(Renewable Electric...2023-04-10 09:29:06 [김나윤]

thumbimg

트위터 로고 다시 '파랑새'...시바견으로 바꾼지 3일만에
▲도지코인.(사진=언스플래시) 트위터의 로고가 '시바견'으로 바뀐지 3일만에 원래의 '파랑새'로 다시 돌아왔다.6일(현지시간)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인수한 트위터에는 지난 3일 등장했던 시바견이 자취를 감추고 다시 파랑새 로고가 나타났다. ...2023-04-07 18:05:29 [김나윤]

thumbimg

수산화알루미늄 '선택적 반덤핑' 형평성 논란...국산 인조대리석만 '불똥'
▲주방 싱크대 상판에 시공된 LX하우시스의 인조대리석 (자료=LX하우시스 홈페이지) 중국산을 제외시키고 호주산 인조대리석용 수산화알루미늄에 대해서만 '선택적 반덤핑관세'를 부과할 것이 예고되면서 국내 인조대리석 제조업체들이 난데없이 불똥을 맞게 생겼다.7일...2023-04-07 17:11:18 [김나윤]

thumbimg

백김치에서 '식중독균' 검출...식약처, 판매중단·회수
(자료=식약처) 국내산 백김치 제품에서 식중독균이 발견돼 회수조치에 들어간다.7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기준치를 넘는 식중독균이 검출된 백김치의 판매를 중단하고 회수한다고 밝혔다.회수대상 제품은 식품제조업체인 농업회사법인 예소담이 제조, 판매한 '예소담 특백김치'...2023-04-07 16:55:30 [김나윤]

thumbimg

폭염과 홍수 '기상이변' 속출하는데...美 지난해 온실가스 '급증'
지난해 미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급증해 폭염과 홍수 등 이상이변을 더욱 부채질하고 있다는 지적이다.5일(현지시간) 미국 해양대기청(NOAA)은 대기중 이산화탄소(CO2), 메탄, 아산화질소 등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 수치가 지난해 급증했다고 보고했다....2023-04-07 14:50:06 [김나윤]

thumbimg

임신하려면 '프라이팬' 멀리하라?...'PFAS' 女임신확률 40% 낮춘다
코팅 프라이팬을 비롯해 각종 조리기구와 가구에까지 쓰이는 '과불화화합물'(PFAS)이 여성의 불임 위험성을 더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미국 마운트시나이 아이칸 의과대학과 싱가포르 KK 여성어린이병원 등으로 구성된 연구팀은 혈중 과불화화합물(PFAS) 수치가 ...2023-04-07 14:37:22 [김나윤]

Video

+

ESG

+

KB국민은행, 서울숲에서 어린이 꿀벌 체험 프로그램 진행

KB국민은행은 생태계 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자 서울숲 꿀벌정원에서 어린이 꿀벌체험 '안녕, 꿀벌'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이번 프로그램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기후/환경

+

산불 트라우마 '의사결정' 능력에도 영향..."적절한 결정 못해"

산불 등 기후재해를 겪은 생존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잘 내리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오랜시간 기다리면 더 큰

"한국 2035년까지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어떻게?

우리나라는 국제감축 활용 없이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61% 감축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1일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 글로벌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