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벌레와 소변으로 버텼다"...아마존에서 31일만에 구조된 남성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3-02 11:42:44
  • -
  • +
  • 인쇄
▲아마존 정글에서 벌레와 곤충 등을 먹으며 31일간 생존한 조나탄 아코스타(영상=유니텔TV 보도화면 캡처)


남미 아마존 정글에서 실종됐던 30대 남성이 31일만에 극적으로 살아돌아왔다. 그는 그동안 벌레와 곤충을 먹으며 버텼다고 밝혔다.

1일(현지시간) 볼리비아 일간지 엘데베르와 엘디아리오에 따르면 지난 1월 25일 친구와 함께 볼리비아 북부 아마존 정글에서 사냥에 나섰던 조나탄 아코스타는 한달만에 정글에서 발견됐다.

아코스타는 현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울창한 나무들과 가시덤불 사이에서 길을 잃은 채 친구를 찾기 위해 애썼지만 소용없었다"며 당시의 암담했던 상황을 전했다. 당시 그가 소지하고 있었던 것은 산탄총 한 정과 탄약통 한 개 그리고 마체테(날이 넓고 긴 칼)와 손전등 정도였다.

정글에서 길을 잃은 그는 살아남기 위해 먹을거리를 찾아야 했다. 야생 과일을 먹기는 했지만 허기를 달래기엔 부족했다. 그럴 때마다 그는 벌레와 곤충을 먹었다. 또 신발에 모은 빗물을 마시며 버텼다. 심지어 빗물이 없을 땐 소변을 받아 마셨다고 했다. 재규어 같은 맹수를 만나기도 했지만 산탄총과 탄약으로 야생동물을 쫒아냈다.

벌레와 곤충을 먹으며 견딘 아코스타는 실종 31일만에 수색대에 의해 가까스로 발견됐다. 당시 그의 체중은 17㎏ 정도 빠졌고 발목 탈구와 탈수 등을 겪은 상태였지만 그외 건강상 큰 이상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코스타는 "내가 살아남기 위해 해야 했던 모든 일을 사람들은 믿지 못할 것"이라며 이번 사건을 겪은 후 다시는 사냥을 하러 정글을 들어가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최남수의 ESG풍향계]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통합 논의' 필요

ESG 환경이슈 가운데 가장 중요도가 높은 사안을 고르라면 역시 '기후변화'다. 지구 기온의 상승폭이 저지선인 1.5℃를 이미 돌파했을 정도로 지구 온난

우리은행, 대한적십자사와 '기부신탁' 업무협약 체결

우리은행이 대한적십자사에 적십자회비를 전달하고 기부문화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우리은행이 성숙한 기부문화 확산을 위해 대한적십자

KB국민은행, 새내기 장애대학생 135명에게 노트북PC 지원

KB국민은행이 새내기 장애대학생 135명에게 최신형 노트북과 학습보조기구를 지원했다고 14일 밝혔다.KB국민은행과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지금까지 2

하나은행, 지역 상생 '대전 D-도약펀드' 1000억원 출자

하나은행이 지역 상생을 위해 '대전 D-도약펀드'에 1000억원을 출자한다. 하나은행이 대전광역시, 대전투자금융과 함께 지역 스타트업 혁신성장 지원 및

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소재 사업회사 유상증자에 '1조원 출자'

포스코홀딩스가 그룹 이차전지소재 사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책임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사업회사 유상증자에 총 9226억원을 출자하기로 했다.포스코

CDP 환경평가 A등급 기업은 2만2777개 중 2%에 그쳐

지난해 전세계 2만2700여개 기업 가운데 환경성과 평가에서 A등급을 받은 기업은 2%에 불과했다.국제비영리기구 CDP(옛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가 지난해

기후/환경

+

[새 정부에게 바란다] "화석연료 퇴출...확실한 로드맵 필요"

"새 정부는 화석연료 퇴출에 대한 확실한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김주진 기후솔루션 대표는 새 정부가 기후정책으로 첫번째 해야 할 일로 '화석연료

훼손된 산림 회복속도 길어진다..."기온상승과 수분부족탓"

나무가 훼손된 산림이 기온상승과 강수량 부족 등으로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주

탄소만 줄이는 온실가스 정책...'탄소고착' 현상 초래한다

영국 정부의 탈탄소화 정책이 오히려 새로운 기술혁신을 제한하고, 장기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아랍에미

곤충도 못 버티는 '열대야'...도시 꿀벌 65% 줄었다

꿀벌을 비롯한 곤충도 열대야를 견디지 못하고 있다.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JMU) 연구팀은 독일 바이에른주 전역 179곳에서 곤충 현황을 조사해보니

30년간 전세계 해수면 10cm 상승..."상승속도 점점 빨라져"

해수면 상승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9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이 위성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993년 이후 지구의 해수면은 약 10c

'EU 기후목표' 환영했던 오스트리아 입장 돌변...왜?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의 '2040 온실가스 90% 감축'을 가장 먼저 환영했던 오스트리아가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EU 권고안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나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